예, 교양교과목으로 이수한 교과목의 이수구분은 교양(공통필수, 교양필수, 교양선택)으로 하고, 일반선택으로 하지 않음.
이수구분을 일반선택으로 하는 경우
주전공이외의 학부(학과, 전공)의 전공교과목을 이수한 경우
교직과정이수자가 아닌 학생이 교직교과목을 이수한 경우
학군사관후보생교육과정(R.O.T.C.) 이수를 위한 군사학 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경우
이수구분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수구분별로 부족한 학점은 아래와 같이 이수하면 됨
공통필수교양교과목
① 2006교육과정의 실용교육교과목 '실용영어회화1' 또는 '실용영어(TOEIC)1'중에서 선택하여 1개 교과목 이수
② 2006교육과정의 실용교육교과목 '실용영어회화2' 또는 '실용영어(TOEIC)2'중에서 선택하여 1개 교과목 이수
③ 2006교육과정의 기본교양교과목 '컴퓨터개념및실습' 또는 'Visual Basic'중에서 선택하여 1개 교과목 이수
①,②,③ 중에서 부족한 학점 이수
교양필수(기초전공교양)교과목
`95~`98 교육과정의 소속학부(과, 전공)의 교양필수교과목 또는 `99~`06 교육과정의 기본교양선택교과목을 이수하여 부족한 학점을 충족하면 됨.
교양선택교과목
해당 적용교육과정의 교양선택교과목 또는 `99~`06 교육과정의 자유교양선택교과목을 이수하여 부족한 학점을 충족하면 됨
교양선택교과목의 영역별 이수학점 구분없이 총학점을 규정학점 이상으로 이수하면 됨.
교양교과목의 이수구분별 이수학점을 초과이수한 학점 및 교양교과목(`99~`06 교육과정의 다른 모집단위의 기본교양선택교과목 등)으로 이수한 학점은 교양선택교과목 학점으 로 인정
전공선수, 전공필수, 전공선택교과목
소속학부(학과,전공)의 해당 적용교육과정의 전공교과목(전공필수,전공선택, 전공선수) 또는 `99~`06교육과정의 전공교과목을 이수하여 부족한 학점을 충족하면 됨.
이수구분(전공선수, 전공필수, 전공선택)별 이수학점 구분없이 총학점을 규정학점 이상 으로 이수하면 됨.
99학년도 이후 교육과정 적용자는 교과목을 어떻게 이수해야 하는가?
공통교양필수교과목
영어회화 교과목
[1999~2002교육과정 적용자가 2005학년도 이전에 아래와 같이 이수한 경우 공통교양필수교과목의 학점으로 인정]
'영어회화 1. 2' : 2005학년도까지는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으므로, 대체교과목은 지정되어 있지 않음
'영어회화3~6'을 미이수한 경우 : 자유교양선택교과목중 외국어영역 및 기본교양선택교과목중 영어교과목(시사영어, 영어강독)을 이수한 경우 학점인정【'95~'98 교육과정 적용자가 '99~'05 교육과정으로 바꾼 경우 '95~'98교육과정의 교양 선택교과목 중 외국어 영역의 교과목을 이수했거나 '99~'04학년도에 자유교양선택교과목의 외국어 영역, 기본교양선택교과목 중 영어 교과목을 이수한 경우도 학점 인정】
'95~'98 교육과정의 공통필수교양교과목인 “영어Ⅰ(2학점)”을 이수한 경우 '99~'05 교육과정의 공통교양필수교과목 “영어회화1”을 이수한 것으로, “영어Ⅱ”를 이수한 경우 “영어회화2”를 이수한 것으로 인정
아래 교과목은 동일교과목 이므로, 중복이수한 경우 1개 교과목(성적이 우수한 교과목의 학점)의 학점으로만 인정
'99 ~ '02 교육과정'03 ~ '04 교육과정
'99 ~ '02 교육과정
'03 ~ '04 교육과정
이수구분
교과목코드
교과목명
학점
이수구분
교과목코드
교과목명
학점
공통교양필수
영어회화1
GA1101
1
공통교양필수
GA1106
영어회화1
2
공통교양필수
영어회화2
GA1102
1
공통교양필수
GA1107
영어회화2
2
[1999~2005교육과정 적용자가 영역별 이수학점이 부족한 경우 아래와 같이 이수]
1999~2002학년도 교육과정 적용학생
(1)영어회화(1-3) ;3학점
2006교육과정의 실용교육교과목 '실용영어회화1' 또는 '실용영어(TOEIC)1'중에서 선택 하여 1개 교과목을 이수하거나 2개교과목(4학점)을 모두 이수
1개 교과목(2학점)만 이수할 경우, 부족한 1학점은 다른 교양교과목의 학점으로 충족
(2) 영어회화(3-6) ;3학점
2006교육과정의 실용교육교과목 '실용영어회화2' 또는 '실용영어(TOEIC)2'중에서 선택하여 1개 교과목 이수하거나 2개 교과목(4학점)을 모두 이수
1개 교과목(2학점)만 이수할 경우, 부족한 1학점은 다른 교양교과목의 학점으로 충족
(3) 2006교육과정의 실용교육교과목중 영어 교과목 3개(6학점)를 이수한 경우 영어회화1-6을 모두 이수한 것으로 인정
컴퓨터 관련 교과목
[1999~2002교육과정 적용자가 2005학년도 이전에 아래와 같이 이수한 경우 공통교양필수교과목의 학점으로 인정]
'99∼'02 교육과정 적용자가 "컴퓨터기초"와 "컴퓨터응용" 교과목을 모두 미이수한 경우 : "컴퓨터활용" 교과목을 이수하고, 자유교양선택교과목의 과학과 기술 영역에서 1개 교과목을 이수하면 학점인정
'99∼'02 교육과정 적용자가 "컴퓨터기초"나 "컴퓨터응용" 교과목 중 1개 교과목을 미이수한 경우 : 부족한 학점은 "컴퓨터활용" 교과목을 이수하거나 자유교양선택교과목의 과학과 기술 영역에서 1개 교과목을 이수하면 학점인정.
【 '95∼'98 교육과정 적용자가 '99∼'05교육과정으로 바꾼 경우 '95∼'98 교육과정의 교양선택교과목 중 자연과학 영역의 교과목을 이수했거나 '99∼'05학년도에 자유교양선택교과목의 과학과 기술영역의 교과목을 이수한 경우도 학점 인정】
'03∼'05교육과정 적용자가 '99∼'02 교육과정의 "컴퓨터기초"나 "컴퓨 터응용" 교과목을 이수한 경우 : '03∼'05 교육과정의 "컴퓨터활용" 교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
[1999~2005교육과정 적용자가 영역별 이수학점이 부족한 경우 아래와 같이 이수]
1999~2002학년도 교육과정 적용학생(컴퓨터기초, 컴퓨터응용;4학점)
2006교육과정의 기본교양교과목 '컴퓨터개념및실습' 또는 'Visual Basic'중에서 선택하여 1개 교과목(3학점)을 이수하고, 부족한 1학점은 다른 교양교과목의 학점으로 충족
'컴퓨터 기초 또는 컴퓨터응용' 교과목중 1개 교과목만 이수한 학생의 경우에도 '컴퓨터 개념및실습' 또는 'Visual Basic'중에서 선택하여 1개 교과목(3학점) 이수
* 2003~ 2005학년도 교육과정 적용학생(컴퓨터활용;2학점)
2006교육과정의 기본교양교과목 '컴퓨터개념및실습' 또는 'Visual Basic'중에서 선택하여 1개 교과목(3학점) 이수
독서와 표현(2001~2002교육과정 적용자)
신 교육과정이 운영되는 2006년 3월 이후 졸업자부터 이수 면제
기본교양선택교과목
'99∼'05 교육과정 적용자가 해당 적용교육과정 이후에 신설된 소속학부(학과, 전공)의 기본교양선택교과목을 이수한 경우 기본교양선택교과목으로 인정
자유교양선택교과목
반드시 3개 영역 이상을 이수해야함.
해당적용교육과정 이후에 신설된 자유교양선택교과목을 이수한 경우 자유교양 선택교과목으로 인정
'95∼'98 교육과정적용자가 '99∼'05교육과정으로 바꾼 경우 교양선택 교과목으로 이수한 학점은 자유교양선택교과목의 학점으로 인정하되, '95∼'98 교육과정의 교양선택교과목의 영역과 동일한 '99∼'05 교육과정의 자유교양선택 교과목 영역은 아래표와 같음.
'99∼'05교육과정
'95 ~ '98 교육과정 (교양선택 교과목 영역)
'99 ~ '04 교육과정
(자유교양선택 교과목 영역)
어문학
→
언어와 문학
외국어
→
외국어
역사 / 철학
→
역사 /철학과 가치관
사회과학
→
인간과 사회
자연과학
→
과학과 기술
예 / 체능
→
문화 / 예술과 체육
교양교과목의 이수구분(공통필수, 기본교양선택)별 이수학점을 초과이수한 학점 및 교양교과목('99∼'05 교육과정의 다른 모집단위의 기본교양선택교과목 등)으로 이수한 학점은 자유교양선택교과목 학점으로 인정하되, 3개 영역 외의 기타영역의 학점으로 인정
전공교과목
'99∼'05교육과정적용자가 해당 적용교육과정 이후에 신설된 소속학부(학과,전공)의 전공교과목을 이수한 경우 전공교과목의 학점으로 인정
일반선택교과목
주전공이외의 학부(학과,전공)의 전공교과목을 이수한 경우
교직과정이수자가 아닌 학생이 교직교과목을 이수한 경우
학군사관후보생교육과정(R.O.T.C.) 이수를 위한 군사학 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경우
이수구분(공통필수, 기본교양선택, 자유교양선택, 전공)별로 초과이수한 학점은 일반선택교과목 학점으로 인정받지만, 이수구분을 일반선택으로 정정할 필요 없음. [예, 교양교과목으로 이수한 교과목의 이수구분은 교양(공통필수, 기본교양선택, 자유교양선택)으로 하고, 일반선택으로 하지 않음.]
98이전 교육과정을 적용받는 학생들이 대체교과목으로 재이수 하였으나, 학점체계가 달라 이수구분별 이수학점이 부족한 경우는 어떻게 인정되는지?
교양 또는 전공교과목의 총 이수학점을 규정 학점 이상으로 이수하면 됨
(예) 기초전공교양· 교양필수 학점이 부족한 경우(`98이전 교육과정)
`98교육과정 적용자 물류학과 교양교과목 이수학점.
교양교과목 이수학점
기초전공교양
교양선택
계
9
21
30
기초전공교양
기초전공교양(기준)
기초전공교양(이수)
교과목명
학점
교과목명
학점
경제학개론
3
경제학개혼
3
전산학 및 실습
3
대체교과목
2
통계학
3
통계학
3
계
9
계
8
적용교과정별로 초과 이수한 교양교과목을 졸업학점으로 인정할 수 있는 범위가 있는데, 그 적용은 어떻게 되는가?
`96이전 교육과정 적용자 : 제한없음.
`97-`98 교육과정 적용자 : 15학점까지만 졸업학점으로 인정
`99-`04 교육과정 적용자 : 18학점까지만 졸업학점으로 인정
`05교육과정 적용자 : 10학점까지만 졸업학점으로 인정
(다만, 평생교육 사과정이수자가 평생교육사 교과목을 이수할 경우는 20학점)
2006교육과정 적용자 : 교양교과목을 초과하여 이수한 학점은 10학점까지만 졸업학점으로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