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SCNU POPUP

1/4
닫기
닫기

약학과 정승현 교수, 유전적 인자 약물계량 연구논문 국제 저명 학술지 게재에 대한 상세정보
약학과 정승현 교수, 유전적 인자 약물계량 연구논문 국제 저명 학술지 게재
작성자 대외협력실 등록일 2023.04.11

- 알레르기 치료 약물 펙소페나딘(fexofenadine)의 정량적 인자 규명, 

향후 다른 약물로 확대 연구 예정 -





국립 순천대학교(총장 직무대리 강의성) 약학대학 약학과 정승현 교수가 주저자 (공동 제 1저자)로 발표한 ‘fexofenadine 의약품의 집단 약물계량 유전적 다형성 분석’ 연구논문이 국제 저명 학술지(SCIE)‘Journal of Pharmaceutical Analysis’에 게재되었다.


본 연구는 콧물, 가려움, 두드러기 등 알레르기 증상을 완화하는 항히스타민 계열로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펙소페나딘(fexofenadine) 약물에 대해 개체 간 체내 약물농도 및 약효반응의 다양성 인자들을 규명하고, 이에 따른 치료 효과 상관성을 정량 예측화하여 제안했다.


임상에서 오랜 기간 경험적 용량 및 용법에 의존해 사용되어 온 펙소페나딘(fexofenadine)은 개체 간 상당한 약동-약력학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유전적 정보 및 정량적 인자규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 게재된 논문과 연구 요약 모식도(우)


이번 연구는 organic-anion-transporting-polypeptide 1B1과 2B1의 유전적 다형성에 따른 펙소페나딘(fexofenadine)의 개체 간 약동-약력학 다양성을 설명하고, 두 인자간 다양성의 상대적 기여도에 대한 부분 역시 정량화해서 제시하였다.


위와 같은 집단 약물계량학 연구는 펙소페나딘(fexofenadine)뿐만 아니라 여러 의약품에 대해 환자와 집단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고려한 정밀 약학 접근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순천대학교 정승현 교수는 “향후 다양한 의약품들에 유사한 연구를 적용하여 의약품들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약효를 극대화하는 이상적 임상적용 연구를 지속해 나가겠다”라며, “본 연구 분야에 관한 후학 양성에도 최선을 다해 국민 보건 향상과 정밀약학 분야 발전에 이바지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전남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이용복 교수 연구팀(장지훈 박사)과의 공동연구로 진행되었으며, 해당 결과들은 정승현 교수와 장지훈 박사의 공동 집필과 이용복 교수의 교신하에 발표되었다. 논문이 게재된‘Journal of Pharmaceutical Analysis’는 ‘Pharmacology & Pharmacy’ 분야에서 상위 3% 이내 (Rank: 9/279, JCR 96.95%)에 해당하는 국제 권위지로 Impact factor는 14.026에 해당한다.


[문의] 약학대학 약학과 정승현 교수 061)750-3757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