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SCNU POPUP

1/4
닫기
닫기

국립순천대 화학교육과,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서 ‘우수포스터 발표상’ 2건 수상에 대한 상세정보
국립순천대 화학교육과,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서 ‘우수포스터 발표상’ 2건 수상
작성자 대외협력본부 등록일 2025.08.04

- 고등학생 대상 과학 탐구 수업·AI 융합 교육 연구로 현장 적용 가능성 인정


- 최원호·박철규 교수팀, 과학교사 양성 위한 실천적 연구성과 주목받아




국립순천대학교(총장 이병운)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최원호 교수 연구팀과 박철규 교수 연구팀이 지난 7월 27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서 열린 ‘2025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각각 우수포스터 발표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는 초·중·고 및 대학 과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교수, 연구자, 교사, 학생 등이 참여하는 학술단체로, 실제 수업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과학교육 내용의 개발과 전달 방법 개선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최원호 교수의 지도로 진행된 송화진 학생의 연구는 고등학생 대상 과학 탐구 수업에서 관찰, 소통, 자기반성 활동을 강화했을 때 나타나는 과학적 태도의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는 최신 교육과정에서 강조되는 가치·태도 중심 과학교육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탐색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박철규 교수 연구팀(김상우·박찬유 학부생, 문샛별 석사 졸업생)은 인공지능 융합 화학 탐구 수업이 고등학생의 인공지능 리터러시와 지식정보처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본 연구는 미래 핵심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화학교육의 확장 가능성과 AI 융합 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함께 조망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국립순천대학교 화학교육과 최원호 학과장은 “과학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갖춘 미래 과학 교사와 화학 연구자 양성을 목표로,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천적 연구와 교수-학습 활동을 연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겠다.”라고 밝혔다.


김상우, 박찬유 학생

송화진 학생


SCNU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Wins Two “Outstanding Poster Presentation Awards” at the Korean Society for Field Science Education Conference

- Recognized for applicability in the classroom through research on science inquiry lesson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AI-integrated education

- Professors Choi Won-ho and Park Chul-gyu’s teams draw attention for practical research results to foster future science teacher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CNU, President Lee Byung-woon) announced that research teams led by Professor Choi Won-ho and Professor Park Chul-gyu from the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won “Outstanding Poster Presentation Awards” at the 2025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Field Science Education, held on July 27 at 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NIST).


The Korean Society for Field Science Education is an academic organization dedicated to improving the quality of science education at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university levels. The society focuses on developing science education content applicable to actual classrooms and on improving methods for delivering such content.


The research presented by student Song Hwa-jin under the guidance of Professor Choi analyzed changes in students’ scientific attitudes when observation, communication, and self-reflection activities were strengthened during science inquiry lessons for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gained attention for its empirical explor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value- and attitude-centered science education” emphasized in the latest curriculum.


Professor Park’s team ? comprising undergraduate students Kim Sang-woo and Park Chan-yu, and master’s graduate Moon Saet-byeol ? examined the impact of AI-integrated chemistry inquiry lessons on high school students’ AI literacy and knowledge-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The study was recognized for its dual perspective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AI-integrated education and the potential for expanding chemistry education to cultivate future core competencies.


Professor Choi Won-ho, Chair of the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at SCNU, stated, “With the goal of nurturing future science teachers and chemistry researchers equipped with scientific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we will continue to operate diverse programs that connect practical research applicable to the classroom with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문의처

화학교육과

책임자

학과장

최원호

061)750-3394

담당자

조 교

최혜진

061)750-3390

배포처

대외협력본부 대외협력과

책임자

과 장

김규환

061)750-3191

담당자

담 당

박세리

061)750-3001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