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Eco mover, Glocal SCNU

나노·마이크로디그리

나노·마이크로디그리

나노디그리
농식품유통.마케팅과정


과정 개요(소개)

  • 농식품 시장 환경이 급변학, 소비자의 농식품에 대한 니즈가 다양해지며, 유통채널이 다변화되는 상황에서 소비자의 농식품 수요에 부응한 농식품 유통 및 마케팅 분야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합니다.
  • 이 과정은 농식품 유통 및 마케팅 분야 전문인력이 갖추어야 할 능력을 집중적으로 교육하고자 하며, 학생들이 농산물 및 가공식품의 상품적 특성을 이해하고, 마케팅 실무 역량을 배양할 수 있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농식품 시장은 물론 상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소비자 특성과 니즈 등을 분석하는 방법 및 지식을 습득할 수 있으며, 소비자 니즈에 부응하는 농식품 유통 및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실무 역량을 배양함으로써 농식품 분야 기업 및 경영체 취업이 가능합니다.

과정 편성표(교육과정 편람 참고)

학기 과목코드 교과목명 학점 시간 담당교수 개설
학부(과)·전공
이론 실습

2학기

AG0606

농산물유통론

3

3

3

송경환

농업경제학전공

AG0651

농업경제통계론

3

3

0

한재환

농업경제학전공

FT0675

식품저장및실습

3

2

2

천지연

식품공학전공

FT0703

식품학입문

3

3

0

천지연
김중범
허창기
오임경
(팀티칭)

식품공학전공

교과목 개요

교과목명 교과목 개요 비고

농산물유통론

· 농축산물 유통의 시장기구, 기능, 구조, 유통비용, 가격형성 등에 관한 이론을 강의한다.
· 나노디그리과정을 개설하면서 농식품 유통 및 마케팅 실무 역량 강화를 위한 농식품 유통전략과 기획 관련 이론과 실습을 강화할 예정이다.


농업경제통계론

· 농업경제학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통계학은 물론 추론통계학의 주요 내용인 신뢰 추정 및 가설 검정, 그리고 농업계량경제학에 필요한 기초통계학을 습득하게 된다.
· 나노디그리과정을 개설하면서 농식품 유통 및 마케팅 분야의 시장 및 유통, 마케팅 관련 자료 분석 역량 향상을 위한 실습을 강화할 예정이다.


식품저장및실습

· 식품의 제조, 가공 및 저장, 유통 등의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야기되는 생물학적, 이화학적 변패 요인을 이해하고 대상 식품의 영양적, 기호적, 위생적 품질 가치를 일정기간동안 유지 및 개선시키는데 적용할 수 있는 각종 저장 이론 및 방법(기술)을 학습한다.


식품학입문

· 식품과학의 다양한 과학적 측면을 개론적 수준에서 기초화학, 영양학, 미생물학, 가공 및 분석에 대해 학습한다.


참여교원

구분 학부·학과·전공 직급 성명 비고

주관학과

농업경제학과

교수

송경환

책임교수

주관학과

농업경제학과

교수

교수

주관학과

참여학과

식품공학과

교수

천지연

참여학과

참여학과

식품공학과

교수

김중범

참여학과

참여학과

식품공학과

교수

허창기

참여학과

참여학과

식품공학과

부교수

오임경

참여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