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디그리
기능성소재효능평가과정
학기 | 과목코드 | 교과목명 | 학점 | 시간 | 담당교수 |
개설 학부(과)·전공 |
|
---|---|---|---|---|---|---|---|
이론 | 실습 | ||||||
2학기 |
FT0609 |
농산식품가공학 |
3 |
3 |
0 |
천지연 |
식품공학전공 |
FT0669 |
기능성식품학 |
3 |
3 |
0 |
허창기 |
식품공학전공 |
|
BI0671 |
생물신소재공학 |
3 |
3 |
0 |
김대헌 |
의생명과학전공 |
|
BI0688 |
세포배양학 |
3 |
3 |
0 |
김종진 |
의생명과학전공 |
교과목명 | 교과목 개요 | 비고 |
---|---|---|
농산식품가공학 |
농산식품 재료에 따라 물리적, 화학적, 미생물학적 가공 방법의 원리 및 변화를 학습하고 이를 통한 저장성, 영양성, 기호성 및 기능성 개선 둥 식품 산업 전반에서 이용되고 있는 처리 과정의 이해와 이에 따른 변화의 가치에 대하여 학습하여 식품가공 산업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실무에 요구되는 기초 이론을 탄탄히 배양한다. |
|
기능성식품학 |
고부가 식품산업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기능성 식품의 정의, 종류, 사례, 소재별 기능성, 국가별 정책 등에 대하여 바르게 이해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화 동향을 학습하여 종합적이고 창의적인 사고 능력을 기를 수 있다. |
|
생물신소재공학 |
인간의 다양한 성인병의 발병 원인과 기전에 대한 기초 원리를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생물 유래 신소재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생체분자의 분리동정의 원리를 학습하고, 생체분자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및 결과의 분석에 대해 학습한다. |
|
세포배양학 |
세포배양학은 살아있는 세포 (동물세포) 를 다루는 기술과 지식을 배우는 학문으로, 배양기 안에서 세포를 살아가게만 하는 것이 아니라 증식시키고, 분화시키고, 때로는 죽이며, 세포를 변형시키고 조작하여 새로운 것을 배우고자 한다. 세포배양 직무에 필요한 기술 습득을 통하여 연구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
구분 | 학부·학과·전공 | 직급 | 성명 | 비고 |
---|---|---|---|---|
주관학과 |
식품공학과 |
교수 |
천지연 |
책임교수 |
주관학과 |
식품공학과 |
부교수 |
허창기 |
주관학과 |
참여학과 |
의생명과학과 |
부교수 |
김대헌 |
참여학과 |
참여학과 |
의생명과학과 |
조교수 |
김종진 |
참여학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