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국립순천대학교
입학안내
LOGIN
법학과
학과소개
입학안내
학사안내
열린마당
국립순천대학교
지역혁신을 선도하는
글로컬 대학,
세계를 품은
남해안권 거점 대학!
전공소개
학과장인사말
학과연혁
교수진소개
전임교수
겸임교수
명예교수
졸업후진로
학과발전계획
학사안내
학사일정
교육목표
교과과정
전공능력별 맵핑
신·편입학
대학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학생활동/부속시설
학생활동
학생회장 인사말
학생회소개
학생회소식
부속시설
범민법학연구소
판례실습실
법학전공세미나실
고시원
법과 사회현상 토론회
장학제도/발전기금
장학제도
발전기금
커뮤니티
이용안내
공지사항
채용공고
보도자료
자료실
포토갤러리
SEARCH
검색 활성화
통합검색
검색
검색 비활성화
검색 비활성화
전체메뉴
HOME
LOGIN
전체메뉴 닫힘
Eco mover, Glocal SCNU
전임교수
전임교수
교수진을 소개합니다.
한귀현 교수
이병운 교수
박영목 교수
최관호 교수
한종규 교수
김성은 교수
정애령 교수
한귀현
교수 (Han, Kwi-Hyeon)
직급
교수
전공/학위
행정법
전화번호
061-750-3432
이메일
khhan@sunchon.ac.kr
연구실
518호
더보기
학력
동아대학교 법과대학 (법학사, 1991)
동아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법학석사, 1993)
동아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법학박사, 1997)
주요경력
독일 뮌헨대학교 법학부 연수 (1995-1996, DAAD)
박사 후 연구과정 (Post-doc.) 연수 (1998-1999, 부산대 법학연구소)
한국법제연구원 부연구위원 (2002-2005)
5급·7급·9급 공무원 임용시험 등 시험출제(선정)위원
행정사, 세무사, 감정평가사, 공인중개사, 경비지도사 등 시험출제위원
국립순천대학교 고시원장 역임 (2009.03.-2010.07.)
국립순천대학교 학생생활관장 역임 (2016-2017)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로스쿨 방문교수(Visiting Scholar) (2013.08.-2014.07.)
한국공법학회, 한국행정법학회, 한국국가법학회 부회장 역임
한국비교공법학회 회장 역임 (2019)
중앙행정심판위원회 비상임위원 (2020.05.-2024.05.)
중앙징계위원회 위원 (2018.12.-2024.12.)
전라남도 행정심판위원회, 소청심사위원회, 토지수용위원회, 적극행정위원회 위원
(사)한국환경한림원 정회원
한국토지주택공사 인사위원회 위원
국립순천대학교 제22기·제23기 교수회의장 (2022.02.-2024.11.)
국립순천대학교 대학평의원회의장 (2022.02.-2024.11.)
국립순천대학교 범민법학연구소 소장
현재, 국립순천대학교 법학과 교수
주요 연구실적
단행본
환경법의 기본원리 (저서:세종출판사,1997)
다이시와 행정법 (역서:세종출판사,1997)
환경법개설 (역서:도서출판 단군,1998)
미국환경법의 이론과 실제 (저서:동남기획,2001)
일환경법론 (저서:한국법제연구원, 2002)
일본경찰법 (역서:한국법제연구원, 2003)
의료의 법률학 (역서:한국법제연구원, 2004) [연구보고서]
지방자치단체의 환경보호에 관한 법제개선방안 (한국법제연구원,2002)
자연재해대책법의 개선방안 연구 (국립방재연구소 연구용역보고서, 2003)
주민참여법제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2003)
행정상의 갈등해소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2004)
지방자치단체의 사무구분체계와 국가관여법제의 개선방안연구 (법제처 연구용역보고서,2004)
주요 논문
조례제정권의 한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1993)
독일환경법上의 사전배려원칙 (박사학위논문,1997)
환경법에 있어서 리스크와 위반자책임 (박원영교수 논문집,1997)
현대국가의 과제와 환경보호 (동아법학 제23호, 1997)
정보공개제도와 환경보호 - 독일 환경정보법(UIG)을 중심으로- (공법학연구 창간호, 1999)
현대행정법의 전개에 있어서 새로운 경향 (독일학연구 제 15호, 1999)
미국환경법의 제도적 특징과 환경공익보호단체 (공법학연구 제2권, 2000)
자율규제에 의한 환경보호 (동아법학 제 28호,2000)
토양오염과 오염토양정화책임의 법리 -독일연방토양보호법(BBodSchG)을 중심으로 - (공법학연구 제3권 제1호,2001)
유럽연합의 계획환경영향평가지침 (공법학연구 제4권 제1호,2002)
日本의 새로운 토양오염대책법 (토지공법연구 제17집,2003)
일본의 지방분권화와 관련법제 (월간법제 통권 제544호,2003)
지방자치시대의 환경보호와 법적문제(토지공법연구 제18집,2003)
지방자치경찰제도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법제연구 제24호,2003)
주민소환제도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토지공법연구 제21집,2004)
사전방재기능의 강화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공법학연구 제5권 제2호,2004)
독일행정법상의 집중효에 관한 연구 (법제연구 제26호,2004)
개인정보보호법제의 동향과 개선방안(공법학연구 제6권 제2호, 2005.6)
행정분쟁해결과 재판외분쟁해결법제의 최근 동향(토지공법연구 제26집, 2005.6)
협동적 행정작용으로서의 행정과 사인간의 협상의 법리(법제연구 통권 제29호, 2005.12)
환경리스크의 통제에 관한 법리(환경법연구 제27집 제4호, 2005.12)
닫기
이병운
교수 (Lee, Byung-Woon)
직급
교수
전공/학위
노동법
전화번호
061-750-3434
이메일
lawlee@sunchon.ac.kr
연구실
508호
더보기
학력
법학사., 법학, 순천대학교
법학석사., 사회법(노동법/사회보장법), 순천대학교
법학박사., 사회법(노동법/사회보장법), 원광대학교
주요경력
원광대학교, 전남대학교, 순천대학교 등 강사 (2000.8 - 2006.2)
사회과학연구소 특별연구원(2003.8 - 2005.7)
박사 후 연구원(Post-doc.) (2005.9 - 2006.3, 사회과학연구소)
한국노동법학회 이사 및 편집위원(현재)
한국비교노동법학회 감사 및 편집위원(현재)
한국노사관계학회 이사(현재)
한국사회법학회 이사(현재)
한국사회보장학회 이사(현재)
한국사회복지학회 회원
한국기업법학회 회원
한국법정책학회 회원, 한양법학회 회원
한국노동경제학회 회원
노동판례연구회 회원
한국노동법학회 교육상임이사 및 편집위원
한국비교노동법학회 부회장 및 논문편집위원
공인노무사 출제위원
2012.4.16~현재 순천대학교 입학관리 본부장
2006. 3 ~ 2008. 3 법학과 전임강사
2008. 4 법학과 조교수
2010 - 한국비교노동법학회 부회장
2010 - 한국비교노동법학회 학회지 편집위원회 편집위원
2010 - 한국산업인력공단 공인노무사 전문자격시험 출제위원
2010 - 한국노동법학회 학회지 편집위원회 편집위원
2009 - 한국노동법학회 이사
2009 - 전남지방노동위원회 차별시정담당 공익위원
2009 - 순천시 노사민정 분쟁조정협의회 위원
2009 - 한국노동법학회, 한국비교노동법학회, 한국사회보장학회 학회지 논문심사위원
2009 - 경제정의실천연합 순천지부 정책연구소 지역경제부위원장
2008 - 원광대학교, 조선대학교, 동아대학교 석
박사학위논문 심사위원
2008 - 원광대학교,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소 논문심사위원
2006 - 법률구조법인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순천지부 이사
2006 - 한국사회법학회, 한국노사관계학회, 한국기업법학회, 한국사회보장학회, 한국법정책학회, 한양법학회 이사
주요 연구실적
고용조정제도에 관한 연구-근로기준법 제31조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1998)
특정 근로자의 고용보장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2003)
도급적 노무자의 근로자성(안전보건연구동향 vol.3,2007)
일본 노동안전위생법의 개정 배경과 내용(노동법논총 제12호, 2007)
근로계약법의 입법화를 둘러싼 일본에서의 최근 논의(기업법연구 제21권 1호, 2007)
노동시장의 환경변화와 고용정책법제의 대응과제(노동법학 제20호, 2005)
대기업 정규직 노동조함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한양법학 제20집, 2007)
기업의 경영정보 보호와 근로계약상의 의무(기업법연구 제19권 3호, 2005)
고용시장의 변화와 고용보장법제의 최근 입법동향(노동법논총 제7집, 2005)
노동법과 사회보장법의 교착-고령사회대비 노동법의 개선과제-(도서출판 관악사, 2005)
노동법실무쟁점(도서출판 관악사, 2005)
노사자치의 한계와 노동법적 규제의 정당성(노동법학 제19호, 2004)
미국의 인사고과에 대한 법적 규제(기업법연구 제17집, 2004)
민법상 부양의무와 사회보장법상 가족책임의 사회적 평가와 조정(사회보장연구 제30집, 2004)
고령사회와 고령자 고용에 관한 법제도 개선과제(사회법연구 제2호, 2004)
근로권과 고용보험법의 재조명(노동법논총 제6집, 2004)
지방의 노사갈등과 인력난 해소 및 고용창출을 위한 혁신역량강화프로그램(한국노총, 2004)
고용보험제도의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방안(기업법연구 제15집, 2003)
고용형태 다양화의 요인과 실태(기업법연구구 제12집, 2003)
"고령자 고용촉직을 위한 사회보험제도의 근로유인효과 제고방안", 노동법논총, 제19집, 2008. 08., pp.315-366
"외국인근로자의 보건의료 현황과 문제점", 한양법학, 제31집, 2010.08., pp. 323-252
"개정 고용허가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노동법논총, 제18집, 2010.04., pp. 1-36
"고령자 고용관계법상 중견전문인력 정책의 법제도적 개선방안"", 원광법학, 제26권 제1호, 2010.03., pp. 611-639
"미국법상 고용분쟁 중재제도"", 원광법학, 제25권 제2호, 2009.06., pp. 345-375
"도급적 노무자의 근로자성 여부와 사업주 책임여부"", 안전보건연구동향, 제7호, 2008.03., pp. 62-66
"일본 노동안전위생법의 개정 배경과 내용"", 안전보건연구동향, 제7호, 2008.03., pp. 62-66
"일본 노동안전위생법의 개정 배경과 내용"", 노동법논총, 제12집, 2007.12., pp. 1-23
"근로계약법의 입법화를 둘러싼 일본에서의 최근 논의"", 기업법연구, 제21권 제4호, 2007.03., pp. 367-394
"대기업의 정규직 노동조합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 안양법학, 제20집, 2007.02., pp. 101-134
"기업의 경영정보 보호와 근로계약상의 의무"", 기업법연구, 제19권 제3호, 2005.09., pp. 479-506
"노동시장의 환경변화와 고용정책법제의 대응과제"", 노동법학, 제20호, 2005.06., pp. 1-64 ·"미국의 인사고과에 대한 법적 규제"", 기업법연구, 제17집, 2004.06., pp. 235-258
"민법상 부양의무와 사회보장법상 가족 책임의 사회적 평가와 조정"", 사회보장연구, 제20권 2호, 2004.06., pp. 179-207
"고령사회와 고령자 고용에 관한 법제도 개선과제"", 사회법연구, 제2호, 2004.06., pp. 85-107 ·"근로권과 고용보험법의 재조명"", 노동법논총, 제6집, 2004.02, pp. 26-52
"고용보험 제도의 운영상 문제점과 개선방안"", 기업법연구, 제15권, 2003.12., pp. 429-463
"고용형태 다양화의 요인과 실태"", 기업법연구, 제12권, 2003.03., pp. 591-615
학술활동(발제,특강포함)
"스위스채무법상 표준근로계약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노동법학회 추계학술대회, 강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10. 08.
"미국의 장애인차별금지법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법학회 세미나,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0.08.08.
"외국인근로자의 산업재해 현황과 산업안전보건교육"", 한국비교노동법학회 하계학술대회, 코엑스, 2010.07.07.
"한국과 영국의 연령차별금지법제의 비교"", 학국노동법학회 하계학술대회, 순천대학교, 2010.06.25. ·"로스쿨 도입에 따른 법학부의 위기와 노동법 교육"", 한국노동법학회 동계학술대회, 서강대학교, 2009.12.18.
"경제위기극복과 일자리를 위한 노사협력과 지원체계 구축"", 광양만권산업평화 Forum, 순천대학교, 2009.05.27.
"노동관계법상 사용자 지위에 관한 판례의 경향"", 노동판례연구회 세미나, 조선대학교, 2009.03.14.
"노사관계 정책의 방향과 전망, 그리고 과제."", 전남동부법률문화 Forum,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 2008.12.02.
"이명박 정부하의 노사관계정책의 전망과 과제"", 광양만권 경제자유구역비즈니스인력양성사업단 Forum, 순천대학교, 2008.05.22.
"미국 고용평등법상의 사용자책임과 입증책임론"", 노동판례연구회 세미나, 순천대학교, 2008.01.11.
"일본 노동안전위생법의 개정 배경과 내용."", 한국비교노동법학회 하계학술대회,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08.01.11
"고령자 고용촉진을 위한 기업정년제의 문제점과 법적 과제"", 한국비교노동법학회 추계학술대회,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12.02
"노동조합의 노블리스 오블리제와 법."", 한국법학회·한국법정책학회 공동학술대회, 경주대학교, 2006.11.25
닫기
박영목
교수 (Park, Young-Mok)
직급
교수
전공/학위
민사법
전화번호
061-750-3438
이메일
smurf02@sunchon.ac.kr
연구실
506호
더보기
학력
고려대학교 법과대학(법학사, 1998)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과(법학석사, 2003)
고려대학교 대학원 법학과(법학박사, 2008)
주요경력
강원대학교, 광운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강사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연구교수
법무부 법무자문위원회 전문위원
한국민사법학회 회원
한국비교사법학회 회원
주요 연구실적
매매계약에서의 위험이전시기(석사학위논문)
이행불능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계약채무의 불이행으로 인한 비용배상(비교사법, 2008)
유치권의 성립요건과 효력범위 -수급인의 유치권을 중심으로-(안암법학, 2008)
특정물매매와 하자 없는 물건에 대한 급부의무(민사법학, 2009
광고모델의 품위유지의무위반과 법적 책임(비교사법, 2009)
무자력으로 인한 소유권이전등기의무의 불이행과 계약의 해제 - 대법원 2006. 6. 16. 선고 2005다39211 판결 -(민사법학, 2009)
닫기
최관호
교수 (Choi, Gwan ho)
직급
교수
전공/학위
형사법/박사
전화번호
061-750-3439
이메일
lawcgh@scnu.ac.kr
연구실
516호
더보기
학력
건국대학교 법학과 (법학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법학전공 (법학석사)
건국대학교 대학원 법학전공 (법학박사)
주요경력
민주주의법학연구회 회장 (2024)
순천대학교 10·19연구소 소장
민주주의법학연구회 회원 (현)
한국형사법학회 회원 (현)
한국비교형사법학회 회원(현)
한국입법정책학회 회원 (현)
여수지방해양수산청 보통징계위원회 민간위원
광주지방검찰청 순천지청 정보공개심의위원
대통령직속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 자문위원
순천경찰서 경미범죄심사위원회 자문위원
국가인권위원회 자유권 제1전문위원회 위원
독일 훔볼트대학교 법학부 방문학자(Visting Scolar)(2020.2.~2021.1.)
순천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부속 고시원 원장 (2019)
서남대학교 전임강사·조교수 (2011.3.~2015.2.)
변호사시험, 공무원시험, ·경찰순경시험 출제위원
아산시청 청문위원 (2013.5.1.~2015.3)
일본 홋카이도대학(北海道大學) 외국인객원연구원 (2010.9.~2011.3.)
건국대학교, 목포대학교, 배재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강사
주요 연구실적
논문
"과거사 사건 재심에서 정의와 인권회복의 방안", 아주법학 재15호, 2021.
"10.19사건법의 내용과 문제점", 민주법학 제77호, 2021.
"전라남도 '여수.순천 10.19사건 희생자 및 유족 생활보조비 지원 조례(안)'에 대한 검토", 민주법학 제81호, 2023.
“명령과 복종의무의 형법규범적 내용과 한계 군형법 제44조 항명죄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사이버공간에서의 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과거사 사건 재심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여순사건 재심을 중심으로", 민주법학 제74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20.11.1., 119-147쪽
사이버공간에서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자의적 법집행 사례와 그 비판: 형사법적 통제를 중심으로”, 법과사회 제59호, 법과사회이론학회, 2018.12.30., 111-141쪽.
성충동 약물치료 효과의 문제점과 법적 요건”, 민주법학 67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8.7.1., 117-143쪽.
““‘위법하지만 구속력 있는 명령’에 복종한 행위의 위법성 판단”, 일감법학 제38호,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10.31., 229-253쪽.
“이적동조죄의 불법성과 불복종”, 민주법학 제56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4.11.1., 180-203쪽.
“해상에서의 해적행위에 대한 형법의 적용범위”, 법학연구 제21권 제4호,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10.31., 59-79쪽.
“해방 후 한국전쟁 직후까지의 한국형법학의 방법론”, 일감법학 제26호,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10.31., 43-86쪽.
“표현의 자유에 대한 형사법적 규제의 법리와 그 대안: 명예훼손죄를 중심으로”, 민주법학 제50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2.11.1., 415-443쪽.
“한국전쟁 당시의 민간인 학살에 대한 공소시효 기산일”, 서남법학 통권6호, 서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12.31., 233-250쪽.
“민주법학과 형사법학방법론”, 민주법학 제41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09.11.1., 111-143쪽.
“사이버모욕죄 도입에 대한 비판”, 민주법학 제39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09.3.1., 93-123쪽.
“군사법개혁”, 온 국민이 함께 가는 민주적 사법개혁의 길, 필맥, 2006.10.25.
“한반도평화와 국가보안법”, 민주법학 제25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04.2.28., 78-103쪽.
단행본
최정학·최관호, 형법총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4.
홍완식·최관호 외 10인, 법학개론, 피앤씨미디어, 2013.
최정학·최관호, 형법각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12.
닫기
한종규
교수(Han, Jong Kyu)
직급
교수
전공/학위
상사법
전화번호
061-750-3433
이메일
jkhan422@scnu.ac.kr
연구실
510호
더보기
학력
성균관대 법과대학(법학사)
미국 Boston Univ. 로스쿨(금융법 석사)
성균관대 대학원 법학과(상사법 박사)
주요경력
일본 도쿄 와세다대학 방문연구 (2022.8 ~ 2023.7)
독일 Marburg Univ., Unidroit(로마), Max Planck비교사법연구소(함부르크) 방문연구.
방위사업청 정책자문위원회 및 방위사업기획·관리실무위원회 위원
액센츄어(Accenture), Contract Manager
아시아나 IDT(주), 전략기획팀
일은증권(주) 감사실, 법무팀
대한상사중재원(KCAB) 중재인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초빙교수(국제거래법)
성균관대, 전북대, 광운대, 경찰대, 동국대, 중앙대 등 외래강사
성균관대 법학연구소 선임연구원
한국기업법연구소, 항공우주정책법학회, 상사판례학회 이사
순천시 기부심사위원회, 공동주택관리 분쟁조정위원회, 임대주택 분쟁조정위원회 위원
구례경찰서 보통징계위원회 민간위원
학교법인 학산학원 이사.
미국 뉴욕주 변호사
주요 연구실적
“기업의 인권경영과 지배구조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세계의 인권경영 법제를 비교하여”, 가천법학 제12권 제2호, 2023.6.30
“주주 우선의 기업지배구조, ESG 그리고 지속가능한 회사의 목적 - 미국에서의 판례와 논의를 중심으로”, 상사판례연구 제35권 제4호, 2022.12.31
“2020년 상법 개정안 주요 이슈의 비교법적 연구”, 비교법연구 제20권 3호, 2020.12
“초국경 환경오염 관련 국가의 책임과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출 사태의 적용”, 환경법과 정책 제25권, 2020.9.
"스마트 계약과 중재에 의한 분쟁해결", 중재연구 제30권 제1호, 2020.3.
"항공운송분야에 있어서 블록체인의 적용과 법적 쟁점",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34권 제2호, 2019.12.
블록체인과 법(단행본, 공저자, 박영사, 2019)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계약의 법적 쟁점 연구 국제사법 쟁점을 중심으로”, 상사법 연구 제37권 제3호, 2018. 11.
“인도 합작투자의 법적 문제 연구”, 법학논집(이화여대) 제22권 제4호, 2018.6.9.(2 인공저자 중 주저자)
“국제중재산업의 국가지원에 관한 연구 -홍콩과 중국의 사례를 비교하여”, 선진상사법률연구 통권 제75호 (법무부), 2016.7.
“국제중재의 활성화를 위한 법원의 역할 -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을 중심으로”, 법학논집(이화여대) 제20권 제3호, 2016.3
“베트남 국제사법의 특징과 유의점 -재산관계의 준거법을 중심으로”, 법학연구(한국법학회), 2016.3
“국제매매계약 해제로 인한 원상회복시 이행지 결정의 준거법”, 국제사법연구(국제사법학회), 2015.12
“미국 준거법 결정이론의 발전과 연방헌법상의 제한”, 미국헌법연구(미국헌법학회), 2014. 4
닫기
김성은
교수 (Kim, Seongeun)
직급
교수
전공/학위
민사법
전화번호
061-750-3435
이메일
se.kim@scnu.ac.kr
연구실
520호
더보기
학력
연세대학교 법과대학(법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법학석사, 법학박사)
주요경력
가톨릭대, 가천대, 강원대, 경인교대, 광운대, 덕성여대, 한경대, 한동대, 홍익대 강사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연구교수
(사)한국집합건물진흥원 전문위원
주요 연구실적
한국의 근저당권과 독일의 보전토지채무에 관한 비교 연구(박사학위논문)
독일의 토지공개념 운동: 아돌프 다마슈케와 독일토지개혁가연합을 중심으로(일감부동산법학 제21호, 2020.8.)
커먼즈 개념의 민사법적 소고(토지법학 제37권 제1호, 2021.6.)
재건축부담금의 성질과 정당성에 대한 검토(집합건물법학 제39집, 2021.8.)
개신교회 담임목사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충남대 법학연구 제32권 제4호, 2021.11.)
닫기
정애령
교수 (Jung Aeryung)
직급
조교수
전공/학위
헌법
전화번호
061-750-3431
이메일
arjung@scnu.ac.kr
연구실
512호
더보기
학력
숙명여자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법학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헌법전공(법학석사)
독일 빌레펠트대학교 (Uni. Bielefeld) (법학박사)
주요경력
2016-2017 숙명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책임연구원
2017-2018 국회의장 산하 사단법인 한국여성의정 교육팀장
2018-2023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법학부 초빙교수
2023-2025 숙명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교수 (한국연구재단 A유형)
한국헌법학회 총무이사/ 한국비교공법학회 출판이사/한국공법학회 홍보이사/유럽헌법학회 학술이사 등
숙명여대, 한국외대, 광운대 시간강사 등
주요 연구실적
석사논문: 국가정보제공행위에 의한 기본권 침해의 판단구조에 대한 고찰: 글리콜, 오쇼판결을 중심으로, 2007.
박사논문: Grundrechtsschutzsystem auf europaischer Ebene ? am Beispiel des personenbezogenen Datenschutzes, (유럽의 기본권보호 시스템에 대한 고찰 -개인정보보호를 중심으로), 2016.
1. 불법콘텐츠 확산방지를 위한 매개자 규제의 정당성과 유럽법제검토, 미디어와 인격권 제10권 제3호, 언론중재위원회, 2024.12.
2. 대리모에 의해 출생한 자녀의 친자관계 - 유럽인권법원 18.5.2021-71552/17 (Valdis Fjolnisdottir ua/Island) 판결을 중심으로-, 유럽헌법연구 제44호, 유럽헌법학회, 2024.04.
3.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데이터의 활용과 재산적 권리 - 유럽연합의 데이터 활용 관련법제를 중심으로 -, 유럽헌법연구 제42호, 유럽헌법학회, 2023.08
4. 낙태죄의 비범죄화의 태아의 생명보호, 헌법재판연구 제10권 제1호, 헌법재판연구원, 2023.06.
5. 제4차 산업혁명시대 인공지능의 의사결정과 인격권 보장 -반부패 정책을 위한 채용절차를 중심으로-, 한국부패학회보 제28권 제1호, 한국부패학회, 2023.03.
6.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안내의 검토를 통한 취약아동돌봄 입법의 방향-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안내 위헌확인(헌재 2022.1.27. 2019헌마583) 판례를 중심으로 -, 입법학연구 제20권 제1호, 한국입법학회, 2023.02.
7. 공유수면 매립지 권한분쟁의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관할권 - 헌법재판소 2020.7.16. 선고 2015헌라3 결정을 중심으로, 공법연구 제50권 제3호, 2022.02.
8. 지능정보사회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완하는 데이터 활용과 개인정보보호, 공법학연구 제23권 제1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22.02.
9. 코로나 시대 공정한 선거를 위한 자유로운 선거운동 방안모색, 유럽헌법연구 제37호, 유럽헌법학회, 2021.12.
10. 합법적 낙태에 대한 명예훼손적 표현의 판단 -독일의 베이비코스트(Babycaust) 판결을 중심으로-, 인권법평론 제27호, 공익인권법센터, 2021.08.
11. 기본권 침해심사기준으로서 ‘적법한 절차’ -인터넷 패킷감청 결정을 중심으로, 공법연구 제49권 제4호, 한국공법학회, 2021.06.
12. 유럽연합(EU)의 유럽인권협약 가입과정의 문제에 대한 고찰, 세계헌법연구 제26권 제3호,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020.12.
13. 동성 간 생활공동체의 법적 보장을 통한 현행 헌법상 혼인제도의 보완, 헌법학연구 제26권 제2호, 한국헌법학회, 2020.06.
14. 보건의료데이터 활용의 헌법적 정당성과 해외입법동향, 한국부패학회보 제25권 제1호, 한국부패학회, 2020.03.
15. 태아의 생명보호의 헌법적 접근을 토대로 한 낙태죄의 개선입법방향 - 헌법재판소 2019.4.11. 2017헌바127결정에 대한 평석, 공법학연구 제21권 제1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20.02.
16. 잊힐 권리 실현방안의 모색, 미디어와 인격권 제5권 제2호, 언론중재위원회, 2019.12.
17. 개인정보 국외이전 허용요건의 검토 -유럽연합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일반규칙(GDPR)을 중심으로, 공법학연구 제20권 제2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05.
18. 지방자치단체 공휴일 지정에 관한 소고, 공법학연구 제19권 제4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18.11.
19.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보를 위한 헌법규정 신설에 대한 고찰 - 유럽국가 헌법의 남녀동등권 규정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유럽헌법연구 제26호, 유럽헌법학회, 2018.04.
20. 독일 통신데이터저장제도(Vorratsdatenspeicherung) 비판적 고찰- 유럽연합지침과 독일의 통신데이터저장제도 재도입 법률을 중심으로, 공법연구 제45권 제3호, 한국공법학회, 2017.02.
21. 사생활 보호와 개인정보보호의 관계에 대한 연구, 공법학연구 제17권 제3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16.08.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