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원예는 가장 발달된 농업형태로서, ICT융합농업, 우주농업, 식물공장 등의 기초분야이다. 또한 온실철구조물, 창문커튼운용관련기계기구, 난방기, 수경재배시스템, 관수시스템, ICT복합환경제어기기 등과 같은 관련산업의 발달이 요구되는 분야이다. 시설원예는 새로운 농업경영형태로서, 시설의 구조와 형태의 합리적인 개량, 저렴하고도 질 좋은 자재의 개발 및 보급, 환경관리 및 재배관리 기술의 개선, 작형 및 작부체계의 합리화, 시설재배용 품종의 육성, ICT융복합 활용기술의 실용화, 수경재배기술 고도화 등이 시급히 달성되어야 한다. 본 실험실에서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을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연구·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시설원예 작물재배의 성패를 좌우하는 시설의 구조와 설계 및 시설내 환경요인의 특성과 물리적 메커니즘을 연구하며,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과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러나 선진국들의 시설이나 재배기술을 그대로 설치, 도입하여 왔기 때문에 개선해야 할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즉, 시설의 구조와 형태의 합리적인 개량, 저렴하고도 질 좋은 자재의 개발 및 보급, 환경관리 및 재배관리 기술의 개선, 작형 및 작부체계의 합리화, 시설재배용 품종의 육성 등을 시급히 달성해야 한다. 본 실험실에서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을 우리 나라의 실정에 맞게 연구ㆍ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시설원예 작물재배의 성패를 좌우하는 시설의 구조와 설계 및 시설내 환경요인의 특성과 물리적 메커니즘을 연구하며,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과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주요연구과제
ICT융복합과제 ‘스마트온실 구조해석 및 에너지 절감기술 개발’
토마토의 3D 이미지 생육데이터분석 및 정밀도 개선
이미지 분석을 위한 토마토 생육진단지표 연구
온실 ICT융복합 실태조사와 복숭아형 랙피니언천창 적용 단동온실 및 CFD 유동해석
우리나라 환경원예의 현황과 기술 및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일본의 녹차 가공기술 및 관련제품의 현황과 특성
컨설팅 서비스(작물의 생육환경 개선을 위한 정보제공)
대량신속처리형 자동녹차덖음기 개발
식물 생장촉진 근권 미생물에 의한 딸기 왜화 방지 기술 개발
지역농업클러스터 농과계대학 기반조성사업(시설오이특화사업단)
지역농과계대학 연구기반조성사업(오이사업단) - 차종별 향기분석 및 묘사분석 적용
대학 IT연구센터 육성지원사업 - U-농업을 위한 융합형 IT응용기술 연구개발
화훼원예학실험실
담당교수
강종구 교수님
전화/팩스
061-750-3247
이메일
jgkang@scnu.ac.kr
실험실소개
본 실험실에서는 관상식물의 번식, 재배, 이용에 관하여 공부하고 있다. 국화와 카네이션등 주요 절화류를 대상으로 양액재배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분화류의 생산 System, 시비, 관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연구과제
화훼류 양액재배에 관한 연구
화훼류 품질 향상과 효율적인 물 사용을 위한 온실 내 관수 자동화에 관한 연구
분화류 생산을 위한 시비 및 관수에 관한 연구
분화류 내건성 증진을 위한 ABA 처리에 관한 연구
관상용 양배추의 엽색변화에 관한 연구
생물공학실험실
담당교수
노일섭 교수님
전화/팩스
061-750-3249
이메일
nis@scnu.ac.kr
실험실소개
본 실험실에서는 원예작물(배추, 무, 사과, 배 등)을 주요 대상으로 작물의 유용형질에 관한 분자수준의 연구뿐만 아니라 전통육종을 수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고등식물의 자가불화합성 및 웅성불임 관련 분자적 연구(형질전환, 마커개발 등)에 주력하고 있다. 주요업적으로는 1) 배추, 사과 및 배의 자가불화합성 유전자형 결정법 개발, 2) RNA interference법에 의한 자가화합성 배추 육성, 3) 배추 full length cDNA library 작제, 4) 식물병 및 스트레스 관련 유전자 cloning 및 활용, 5) CMS를 이용한 갓의 F1 품종 육성법 개발 등이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원예작물의 육종 기반 및 소재 개발, 고품질의 원예작물 생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육종의 이론 및 분자수준의 기초적 연구에 관한 강의는 학생들에게 생명현상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는 지식을 제공하고 있다.
주요연구과제
사과, 배 품종의 자가불화합성 유전자형 결정 및 최적 수분수 선발
양배추류 수입대체 및 수출용 품종육성
녹차의 품종육성 및 도입, 증식에 관한 연구
무(Raphanus sativus L.)의 자가불화합성 유전자 좌상의 유전자군 해석
배추의 자가불화합성 인자형 동정 기술 개발
Brassica웅성측 자가불화합성 유전자 SP11영역의RNAi에 의한 자가화합성 계통 육성
국내 재배 무 계통에 있어서 자가불화합성 유전자형의 다형성 분석
배추의 자가불화합성 인자형 동정 기술 개발
Fox-hunting system을 이용한 배추속 작물의 저발현 기능유전자 대량 획득 및 육종소재
돌산갓 CMS(세포질 웅성불임성) 모본 및 고수량성 F1 품종육성
양앵두의 최근 연구동향 및 외래 품종의 도입 가능성 분석
기능성유전체 연구를 통한 병저항성 배추 계통 육성
배추 웅성불임성 마커 개발
월동형 배추 품종 육성을 위한 내한성 분자 마커 및 육종 소재 개발
국내기반 형질전환 발현 시스템 구축 및 복합저항성 녹색꽃양배추 소재 개발
양배추의 내한성 관련 분자마커 및 육종소재 개발
녹비작물을 이용한 감자의 연작장해 경감 연구
원예종자 개발을 위한 육종 통합 지원 시스템 구축 연구
채소원예학실험실
담당교수
박종인 교수님
전화/팩스
061-750-3241
이메일
jipark@scnu.ac.kr
실험실소개
실험실에서는 우리 인체에 필요한 영양적, 기능적, 약리적 효과가 뚜렷한 여러 가지 채소작물의 생리, 생태 및 형태적 특성을 구명하고, 고품질의 채소작물을 생산하기 위한 재배관리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환경요인(온도, 습도, 광 등)을 분석하여 안전한 기능성 채소작물 생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연구과제
쪽파의 주년 생산체계 확립을 위한 휴면 생리에 관한 연구
고흥군 발전계획 수립
쪽파 종구 생산을 위한 남부지역 채종포 선발 시험
고흥 재래마늘의 우량품종 육성을 위한 생육 및 품질의 특성 조사
시설오이의 생산기술 경영 유통 합리화를 통한 농가소득제고와 일류화 및 신수요 창출
시설오이농가의 실질소득증대를 위한 친환경기능성오이 생산기술지원 컨설팅 및 산업화(오이사업단)
과수작물 육종에 있어 분자마커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다국적 종자회사들을 중심으로 자체 분자마커 개발기술과 대용량 마커선발(High-throughput(HT)-MAS) 시스템 확립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국적 종자회사들은 첨단생명공학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병해충 저항성 품종 선발할 때 분자마커를 이용하여 선발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육종연한을 단축하고 있다. 본 실험실은 분자육종을 위해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술을 도입하여 유전체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생산된 유전체 정보, 유전자 정보, 분자마커 등을 이용한 고품질 신품종 육성 및 육종효율 증진 등 고부가 산업창출의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과수작물(사과, 배, 체리 등)의 형질관련 분자마커 개발 및 유전자형 대용량 분석법 개발을 통한 Marker Associated Selection (MAS)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연구과제
장미과 과수(사과, 배)에 대한 자가불화합성 유전자의 체계적 분류 및 배우체형 자가불화합성의 분자적 기구해석에 관한 연구
장미과 과수 등의 고정밀 DNA마커(SSR, RBIP)의 개발과 게놈정보 기반구축
녹차의 품종육성 및 도입, 증식에 관한 연구
양파 유전체 해석을 통한 순도검정용 SSR 마커개발 및 국내 육성 양파계통 분석
멜론의 흰가루병(Powdery mildew), 덩굴쪼김병(Fusarium wilt) 저항성 분자마커 개발 및 저항성계통 육성
멜론, 수박의 흰가루병 race 검정 및 저항성 분자마커 개발, MABC 384 SNP Chip 개발
박과채소(멜론, 수박, 오이)의 덩굴마름병(Gummy Stem Blight) 저항성관련 분자마커 개발
흰가루병 저항성 오이 bloomless 대목용 호박 품종 육성을 위한 흰가루병 저항성 및 bloomless 관련 분자마커 개발
원예작물의 MAS 지원용 대용량 분자마커 지원 시스템 개발을 위한 유전체 해석 및 SNP 개발
양배추 전시포 운영을 통한 국산 품종 사용률 확대에 대한 국내·외 양배추품종의 순도검정, 병저항성 마커검정 (GSP 원예종자사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