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Eco mover, Glocal SCNU

마이크로디그리

마이크로디그리

마이크로디그리

스마트복합환경조절과정


과정소개

  • 스마트농업은 농업 분야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농·축산물과 식품 생산은 물론 유통, 판매, 소비에 이르는 농업 전 과정에 대한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이며, 특히 스마트팜은 센서 및 정보통신기술, 기기제어, 빅데이터 등으로 복합환경제어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시설농업기술을 뜻함.
  • 농산물의 생산량 증가, 노동시간 감소를 통해 농업 환경 개선.
  • 빅데이터 기술과 결합해 최적화된 생산·관리의 의사결정 가능.
  • 최적 생육환경 제공을 통한 수확 시기와 수확량 예측, 품질과 생산량 향상 가능.

과정 편성표(교육과정 편람 참고)

개설
학부·학과·전공
학기 과목코드 교과목명 학점 시간 이수 구분 이수학점
이론 실습

원예학전공

2

HO0859

원예학개론

3

3

0

선택

9

1

HO0872

수경재배학및실습

3

2

2

선택

2

HO2009

스마트팜운영과실제

3

2

2

선택

융합

바이오시스템

기계공학과

1

AM0852

응용컴퓨터프로그래밍

3

2

2

선택

2

AM2004

농업정보통신

3

2

2

선택

1

AM0669

응용계측및실습

3

2

2

선택

교과목 개요

교과목명 교과목 개요 비고

원예학개론

원예학은 과수, 채소, 화훼, 시설원예 등의 기초학문으로 원예작물의 생장, 발육, 재배, 번식 등 전공 기초 이론과 기술에 대해 전반적으로 학습하고 심화전공교육 및 취업활동에 도움이 되도록 강의한다.


수경재배학및실습

원예작물의 무토양재배를 위한 재배시스템, 배양액의 조제 및 관리 등에 관한 이론을 학습하고 실습을 통하여 실제 기술을 습득한다.


스마트팜운영과실제

스마트팜의 이론과 운영을 이해하고 체험을 통하여 스마트팜에 관한 기술을 체득한다.


응용컴퓨터프로그래밍

프로그래밍 언어인 Java, Python 등을 통해 변수, 조건문, 반복문, 메소드, 클래스와 객체 등을 학습하여 데이터 처리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작성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기법을 습득한다.


농업정보통신

정보통신기술(ICT)의 기초이론을 바탕으로 스마트농업에 필요한 데이터, 시스템, 플랫폼 구성의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응용계측및실습

농업에서 사용되는 각종 센서의 원리와 응용, 아날로그 신호의 특성, 신호 처리, 컴퓨터를 이용한 계측 시스템의 구성 등을 학습한다.


참여교원

구분 학부·학과·전공 성명 비고

주관학과

원예학전공

이범선

책임교수

참여교원

원예학전공

장보국

참여교수

참여교원

융합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이명훈

참여교수

참여교원

융합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문병은

참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