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Eco mover, Glocal SCNU

나노·마이크로디그리

나노·마이크로디그리

나노디그리
동아시아문화사상전문가과정


과정 개요(소개)

  • 한류 수요 증가로 인한 한류문화콘텐츠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동아시아 문화사상 전문가 육성
  • 글로컬대학 위상에 맞는 학위 체제를 구축하고, 대학원 진학 및 지역 연계 기업에 필요한 우수한 인재 육성

  • 동아시아의 문화와 사상을 이해함으로써 동아시아인의 철학적 이론을 탐구하고, 이론과 실체를 접목하는 자질을 기른다.
  • 동아시아 지역과 사회에 대한 기본 지식을 쌓고, 철학과 언어를 배운다.
  • 현실과 미래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인문학자로서의 인격과 창의력을 기른다.

  • 정보화·다원화 시대에 부응하기 위한 교육 기회를 창출하고, 한류문화콘텐츠를 다각도에서 분석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전문성을 확보한다.

과정 편성표(교육과정 편람 참고)

개설
학부·학과·전공
학기 과목코드 교과목명 학점 시간 이수 구분 이수학점
이론 실습

철학전공

1

PH2002

문화콘텐츠철학

3

3

0

선택

9

철학전공

1

PH2004

동아시아인의생각코드

3

3

0

선택

글로벌중국학전공

1

CL2002

중국문화의이해

3

3

0

선택

글로벌중국학전공

1

CL0684

중국사회와경제

3

3

0

선택

교과목 개요

교과목명 교과목 개요 비고

문화콘텐츠철학

애니메이션, 웹툰, 게임, 사진, 소설, 영화, , 노래, 신화, 우화 등의 콘텐츠에 내재한 철학적 주제에 대해 학습한다. 나아가 콘텐츠를 표현하는 디지털 매체가 현대인의 세계관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대해 성찰한다. 수강생은 철학이론에 기반해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문화콘텐츠를 해석하거나 창작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른다.


동아시아인의생각코드

현대사회에 여전히 영향력을 발휘하는 동아시아의 독특한 사유방식의 특징을 탐구한다. 이 작업은 동아시아에서 3천 년 동안 빚어진 세계관, 인간관 그리고 자연관을 이해함으로써 글로컬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정체성을 성찰하는 데도 단단히 한몫할 것이다.


중국문화의이해

한 나라의 문화는 사용하는 언어에 기초하고 있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문화 연구를 위한 가장 우선적인 대상은 문학 자료이다. 중국은 선진시대부터 이미 문학에 관심을 보였고, 이를 정치와 교화에 이용했다. 따라서 중국 문학에 대한 이해는 중국 이해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중국 문학의 전반적인 모습을 역사 흐름에 근거해 이해한다.


중국사회와경제

사회적 전환을 겪고 있는 현대 중국의 급진적 변화를 이해하고 앞으로의 변화를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 중국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참여교원

구분 학부·학과·전공 성명 비고

주관학과

철학전공

노희천

책임교수

철학전공

김철신

참여교수

철학전공

정용환

참여교수

철학전공

소병철

참여교수

참여학과

글로벌중국학전공

김훈호

참여교수

글로벌중국학전공

정동보

참여교수

글로벌중국학전공

박성우

참여교수

글로벌중국학전공

배주애

참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