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Eco mover, Glocal SCNU

전임교수

전임교수

  • 노희천

    노희천교수 (Noh, Hui-Chon)

    직급
    교수
    전공/학위
    서양고대철학, 논리학 / 철학박사
    전화번호
    061-750-3483
    이메일
    eudaimon@scnu.ac.kr

    학력

    • 전남대학교 졸업
    •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박사과정 졸업

    경력

    • 1996-1997 서울대학교 Post-Doc. 연수 연구원
    • 2006-2007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 Diego, Visiting Scholar
    • 2017-2018 아테네 대학교 Visiting Professor

    연구실적

    • 아리스토텔레스 탐구에서 논리의 위상문제, 『철학연구』. 제62집.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상국가의 정체에 관하여. 『범한철학』. 69집. 범한철학회. 2017
    •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 7-8책들에 나타난 이상국가관에 관하여. 『대동철학』. 대동철학회 2014. 12
    • 아리스토텔레스 『명제론』의 ‘pathemata’(16a6-7) 해석문제. 『범한철학』. 63집. 범한철학회. 2011
    • 아리스토텔레스의 『분석론』 후서에 나타난 지식(episteme)의 문제. 『범한철학』. 51집. 범한철학회. 2008
    • 아리스토텔레스의 학적 연역(apodeixis)에 관한 연구. 『범한철학』. 제50집. 범한철학회. 2008.
    • 아리스토텔레스 『변증론』의 ‘ti esti’(103b22) 해석문제. 『철학연구』. 97집. 대한철학회. 2006
    •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 수사술과 변증술의 대응관계에 관한 연구. 『철학연구』.95집. 대한철학회. 2005
    •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술적 연역(νθμημα)에 관한 연구. 『철학연구』. 85집. 대한철학회. 2003.
    •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술』에 나타난 ‘ΠΙΣΤΙΣ’(설득수단)에 대하여. 『철학연구』. 80집. 대한철학회. 2001
    •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속성의 존재론적 위상문제. 『철학연구』. 70집. 대한철학회. 1999
    • 아리스토텔레스의 예증추론에 관한 연구. 『철학』. 제56집. 한국철학회. 1998.
    • 아리스토텔레스의 의미론. 『철학』. 43집. 한국철학회. 1995
    • 아리스토텔레스의 진리관. 『철학연구』. 54집. 대한철학회. 1995
    • Aristoteles의 辨證法에 관하여. 『서양고전학연구』. 제4집. 한국서양고전학회. 1990.
  • 김철신

    김철신교수 (Kim, Chul - shin)

    직급
    부교수
    전공/학위
    중국고대철학(제자백가),도가
    전화번호
    061-750-3484
    이메일
    kchs@sunchon.ac.kr

    학력

    • 연세대학교 철학과 (철학박사, 2004.08)
    • 연세대학교 철학과 (문학석사, 1992.08)
    • 연세대학교 철학과 (문학사, 1989.02)

    학위 논문

    • 박사 : 莊子의 관점에서 본 論辯思潮
    • 석사 : 公孫龍의 名實觀 考察

    전공 및 최근 관심분야

    • 전공분야 : 고대 중국철학, 도가, 논변사조, 先秦 유가
    • 최근 관심분야 : 정치철학

    연구 논문

    • 『公孫龍子』의 세 주석에 대한 타당성 고찰, [동양철학연구] 제51집, 동양철학연구회, 2007.08.
    • 후기묵가의 공손룡 비판-사물과 인식의 문제를 중심으로, [철학연구] 제82집, 철학연구회, 2008.08.
    • 공손룡(公孫龍) 철학 이해의 한 방식, [철학] 제82집, 한국철학회, 2005 봄.
    • 후기 묵가의 “이명거실(以名擧實)” 고찰, [동양철학] 제21집, 한국동양철학회, 2004.07.
    • 鄧析의 재발견-惠施 철학의 연원을 찾아서, [철학연구] 제92집, 철학연구회, 2011.03.
    • 공손룡과 후기묵가의 정명론 비교 연구, [동서비교문학저널] 제 10호,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04봄·여름.
    • 中國 古代 論辯思潮의 재발견, [철학논총] 제53집 제3권, 새한철학회, 2008.07.
    • 도가(道家)철학의 관점에서 본 인격완성, [인격교육] 제5권 제1호, 한국인격교육학회, 2011.04.
    • 춘추말에 등장한 명학적 해법들에 대한 유형분석(1)-老子의 無名과 鄧析의 兩可를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제30집,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04.
    • 중국 고대철학사의 맥락에서 재조명한 『공손룡자』의 사유방식과 세계이해, [동양철학] 제33집, 한국동양철학회, 2010.07.
    • 국립순천대학교 교양교육과정 개편에 따른 <독서와 표현> 영역 개설안, [교양교육연구] 제8권 제2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5.06. (2인, 제1)
    • 교과목 포트폴리오와 CQI 보고서: 올바른 정의(定意)와 구현 방향, [사회과학연구] 제58권 제1호, 사회과학연구원, 2019.06. (2인, 교신)
    • ‘合同異’로서의 惠施 철학 읽기의 한 방식, [동방학지] 第 壹百二十三 輯,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4.01.
    • 리더십 유형 분석-先秦시대 儒家와 道家를 중심으로, [남도문화연구] 27호, 남도문화연구소, 2014.12.

    저서

    • 독서와표현, 태학사, 2018.02. (8인 공저)
    • 민주주의 강의2 : 사상,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2007.12. (6인 공저)
    • 이강수 읽기를 통해 본 노장철학연구의 현주소, 예문서원, 2005.08. (12인 공저)

    수상내역

    • 제 14회 철학연구회 논문상, 철학연구회, 2010. 06.05
    • 순천대학교 2017년 교육우수상, 2018. 02. 26.
    • 순천대학교 2016년 교육우수상, 2017. 02. 27.
    • 순천대학교 2015년 우수교원상, 2016. 03. 15.
    • 연세대학교 최우수강사, 연세대학교, 2011.12.21
    • 연세대학교 우수강사, 연세대학교, 2010.12.21
    • 연세대학교 최우수강사, 연세대학교, 2009.12.18
    • 연세대학교 우수강사, 연세대학교, 2005. 12.21
  • 정용환

    정용환교수 (Chung, Yong - Hwan)

    직급
    교수
    전공/학위
    감성철학, 중국철학, 윤리학 / 철학박사
    전화번호
    061-750-3485
    이메일
    cyonghwan@scnu.ac.kr

    학력

    • 한국학중앙연구원 철학전공(박사, 2004)
    • 한국학중앙연구원 철학전공(석사, 1996)
    • 전남대학교 철학과(학사, 1994)

    경력

    •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교 방문교수, 2019~2020
    • 전남대학교 인문한국 연구교수, 2009~2012
    • 전남대학교 철학교육사업단 박사후연구원 및 계약교수, 2006~2009
    • 미국 아리조나 대학교 연구학자, 2001~2002
    • 주요연구실적

      연구논문
      • 맹자의 도덕 감정 배양설, 『철학논총』 99, 2020.01
      • 맹자 시비지심의 윤리학적 함의, 『철학논총』 95, 2019.01
      • 맹자의 사단설과 생물학적 유비 논증, 『철학연구』 144, 2017.11
      • 순자의 경험주의적 진리관과 치도론의 명암, 『동서철학연구』 82, 2016.12
      • 맹자 예론에서 존중심의 윤리학적 의미, 『철학논총』 82, 2015.10
      • 혜강 『성무애락론』에서 감정의 음악미학적 함의, 『철학연구』 107, 2014.12
      • 맹자철학에서 유덕자의 윤리학적 함의, 『동양철학연구』 77, 2014.02
      • 공맹유학의 도덕 감정론, 『철학연구』 128, 2013.11
      • 맹자 도덕론에서 미움, 분노, 그리고 의로움, 『철학논총』 74, 2013.10
      • 유교문화에서 음양론과 여성의 감정, 『철학연구』 125, 2013.02
      • 맹자 권도론의 덕 윤리학적 함축, 『동양철학연구』 72, 2012.11
      • 도덕 지식의 주관적 정당화 조건: 맹자의 고자 의외설 비판, 『철학논총』 69, 2012.07
      • 儒學者的鄕村學校和社會參與, 『徽學』 7, 2012.03
      • 유가 도덕론에서 의지, 감정, 품성에 관하여, 『동양철학연구』 68, 2011.11
      • 맹자의 도덕 감정론에서 부끄러움의 의미, 『철학논총』 66, 2011.10
      • 한국 감성의 개념사적 이해, 『감성연구』 2, 201102
      • 도가사상에서 구속적 정서의 해체 이론, 『동양철학연구』 64, 2010.11
      • 유교국가의 정치적 아크라시아와 비애로서 기묘사화, 『철학연구』 115, 2010.08
      • 자기이해 과정에서 감성의 역할, 『동서철학연구』 55, 2010.03
      • 정서와 숙고의 해석학으로서 주희의 격물설, 『동서철학연구』 54, 2009.12
      • 자기기만의 감정과 반사실적 자아, 『호남문화연구』 45, 2009.09
      • 장자의 제한적 상대주의: 맹자의 불인지심과 포정해우, 『동양철학연구』 59, 2009.08
      • 아크라시아 혹은 방심: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유가, 『동서철학연구』 52, 2009.06
      • 마음: 유가의 보편주의와 도가의 해체주의, 『철학연구』 108, 2008.11
      • 유가의 존재론적 언어, 『동양철학연구』 55, 2008.08
      • 한국의 근대적 자아 : 문화적 맥락, 타자의 모방, 자기진정성, 『철학연구』 106, 2008.05
      • 음악과 언어, 그리고 삶-도가와 유가를 중심으로, 『철학연구』 105, 2008.02
      • 이주민과 문화다원주의, 『범한철학』 46, 2007.09 (공저)
      • 고자의 성무선악설과 맹자의 성선설, 『동양철학연구』 51, 2007.08
      • 유가 가치론의 다양성에 대한 범주적 담론, 『철학연구』 103, 2007.08
      • 성리학적 본질은 어떻게 현실을 주재하는가?, 『철학연구』 101, 2007.02
      •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仁개념, 『동양철학연구』 49, 2007.02
      • 한비자의 통치술에서 사적 의도들의 문제, 『대동철학』 36, 2006.09
      • 성리학에서 본질 환원론적 구도의 형성과 그에 따른 현실 제약에 대하여, 『철학연구』 97, 2006.02
      • 성리학적 본체-쓰임의 관계에서 표현의 역할, 『철학연구』 95, 2005.08
      • 맹자의 선천적이고 직관적인 선(善)의 실행 가능성, 『철학』 82, 2005.02
      • 순자의 권위적 경험주의의 도그마, 『대동철학』 28, 2004.12
      • 존재와 존재의 만남: 은유와 興으로부터, 『청계논총』 1, 1999.12
      • 저역서
        • 『인(仁)의 재발견: 사랑과 협력의 근거』, 인간사랑, 2016.04
        • 『유교·도교·불교의 감성이론』, 경인문화사, 2011.12 (공저)
        • 『철학적 성찰로서 유교론』, 철학과현실사, 2011.02
        • 『감성담론의 세 층위: 균열, 분출, 공감』, 경인문화사, 2010.08 (공저)
        • 『주자대전』 1-13책 (문집1-64권), 전남대 철학연구교육센터, 대구한의대 국제문화연구소, 2010.02 (공역)
        • “The Experience of Modernity and Changing Conceptions of Knowledge in Korean Confucianism”, The Encounter of Knowledge Cultures in the North-South Dialogue, IKO-Verlag Fuer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 Frankfurt & London, 2008 (공저)
        • “Korean Confucianism and Human Beings”, Concepts of Human Being and Interculturality. Cultures of Humanization and Recognition, Verlag Mainz, Aachen, 2008 (공저)
        • 『장재의 철학: 기 해석과 성리학적 개념 체계』, 경인문화사, 2007.02
        • 『뚜 웨이밍의 유학 강의』, 청계, 1999.03 (역서)
        학술회의 발표
        • 맹자철학의 유덕자에 관하여, 現代視角看東亞思想史上的理想人學, 중국 연변대학 국제학술회의, 2013.8.19
        • “Hate, Resentment, and Righteousness in Mengzi’s Moral Sentimentalism”, Philosophy as Inquiry and Way of Life, 23rd World Congress of Philosophy, International Federation of Philosophical Societies, 그리스 아테네대학교, 2013.08.10
        • 공맹유학의 도덕 감정론, 중국 유학에서 감정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철학연구소 제16회 목요철학향연, 이화여자대학교, 2013.06.27
        • 유가사상에서 음양론과 여성의 감정, 여성철학 감정을 다시 읽다, 한국여성철학회 가을 정기학술대회, 이화여자대학교, 2012.11.24
        • “Understanding Cruelty in Mengzi's Virtue Ethics”, Interculturality and Philosophic Discourse: Retrospect and Prospect, 17th Conference of International Society for Chinese Philosophy,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 2011.07.06
        • 儒學者的鄕村學校和社會參與, 前近代東亞地區鄕村組織與社會變遷國際學術硏討會, 중국 안휘대학, 2010.10.30
        • “Moral Emotions and Freedom of Will in Confucianism”, Determinism, Moral Responsibility and Asian Philosophy,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ast-West Comparative Philosophy, 서울대학교, 2010.10.15
        • “도가사상에서 정서의 해체 이론/Deconstruction Theory of Sentiments in Daoism”, Reflection on Philosophical Roots of Korean Emotion: Emotion in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f Humanities Research on Emotion, 전남대학교, 2010.08.27
        • 자기이해 과정에서 감성의 역할, 감성과 인문치료, 제1회 강원대학교 전남대학교 인문한국사업단 연합학술대회, 강원대학교 도계캠퍼스, 2009.12.12
        • 가치 판단에서 감성과 이성의 관계: 어떻게 내가 나를 속일 수 있을까?, 감성을 묻다, 제1회 감성연구 국내학술대회, 전남대학교, 2009.08.29
        •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Confucian Public Rationality”, Towards the World: Philosophical Dialogue and Culture Conversation, 16th Conference of International Society for Chinese Philosophy, 대만 보인대학교, 2009.07.10
        • “Korean Confucianism and Human Beings“, Concepts of Human Being and Interculturality. Cultures of Humanization and Recognition, 7th International Congress for Intercultural Philosophy,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제네랄사르미엔토 국립대학교, 2007.09.20
        • 이주민과 문화다원주의, 오늘을 사는 철학 내일을 보는 철학, 범한철학회 학술대회, 전북대학교, 2007.06.15
        • “The Experience of Modernity and Changing Conceptions of Knowledge in Korean Confucianism”, The Encounter of Knowledge Cultures in the North-South Dialogue, 인도 첸나이 마드라스대학교, 2007.01.30
  • 소병철

    소병철교수 (So, Byung-Chul)

    직급
    교수
    전공/학위
    서양철학 / 철학박사
    전화번호
    061-750-3486
    이메일
    oeros10@scnu.ac.kr

    학력

    •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학사, 1990)
    •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석사, 1996)
    •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박사, 2006)

    연구분야

    • 연구분야윤리학, 사회철학, 정치철학

    주요연구실적

    연구논문
    • 2024.05 ‘인문학의 위기’와 대학의 구조 변화, 인문학술』 12

    • 2023.08 포르노그래피의 윤리적인 평가는 시대착오적인가?, 시민인문학 45

    • 2023.01 아비샤이 마갈릿의 '품위 있는 사회'론의 한 비판 - '정의로운 사회' 및 '문명화된 사회'와의 대비를 중심으로 -, 『철학논총』 111
    • 2022.11 현행 고교 윤리 및 철학 교과서의 문제성 연구 - 반철학적 · 비철학적 교화의 문제를 중싱으로 -, 『철학연구』 164
    • 2022.06 도덕과 철학의 공속성 테제에 입각한 현행 중학 도덕 교과서의 문제성 연구, 『범한철학』 105
    • 2022.01 현행 초등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권위주의 교육의 잔재들, 『윤리교육연구』 63
    • 2021.08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즈음한 원격 교육 대세론의 철학적 재고, 『철학연구』 159
    • 2021.04 노동으로부터의 해방과 노동 내에서의 해방: 현대 기술의 가져온 기회 혹은 위기에 관한 성찰, 『인간 · 환경 · 미래』 26
    • 2020.09 담론 윤리의 인문 교육적 호용에 관한 소론, 『인문학연구』 59
    • 2020.05 향유와 열광 사이 - 현대 스포츠의 흡인력에 관한 철학적 탐구 -, 『철학논집』 61
    • 2019.12 진화론적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오류와 윤리적 구성주의, 『인문과학』 117
    • 2019.08 ‘우리 안의 아이히만’은 극복될 수 있는가?, 『시민인문학』 37
    • 2019.04 인간과 동물의 반려관계에 대한 윤리적 소론, 『용봉인문논총』 54
    • 2018.12 원조의 의무에 대한 인권 기반 접근법의 철학적 옹호, 『인문학연구』 30
    • 2018.08 칸트적 이성 종교의 관점에서 본 한국 기독교 현실의 부정성, 『인문과학』 113
    • 2017.06 ‘지속가능한 개발’ 담론의 건축적 응용에 관한 시론, 『남도문화연구』 32
    • 2017.05 인간중심주의적 동물윤리의 가능성에 관한 소론, 『철학논집』 49
    • 2017.02 ‘원조의 의무’에 대한 인지적 장해의 한 연구, 『코기토』 81
    • 2016.08 산지여행의 패러다임에 관한 문화철학적 단상, 『인문사회과학연구』 17-3
    • 2016.04 사드적 권력의지의 계몽적 함의 연구, 『인문과학연구』 27
    • 2016.02 플라톤의 이상국가론과 민주주의 비판의 현대적 함의, 『인문사회과학연구』 17-1
    • 2015.12 다문화시대의 세계정의에 관한 시론, 『인문과학』 105
    • 2015.08 생태공동체 건설의 가능조건에 관한 시론, 『철학논집』 105
    • 2015.06 동학의 생태주의 요소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범한철학』 77
    • 2014.12 유토피아적 사유의 현재성에 관한 고찰, 『열린정신인문학연구』 15-2
    • 2013.12 윤리교육과 의사소통교육의 연계 모델에 관한 연구, 『범한철학』 71
    • 2013.09 인간중심주의는 동물의 이익을 보호할 수 없는가?, 『인문학연구』 92
    • 2013.04 한스 요나스의 『책임의 원칙』에 나타난 생태정치의 정당성 문제, 『서강인문논총』 36
    • 2013.02 종교성과 도덕성은 조화할 수 있는가?, 『인문과학연구』 31
    • 2012.11 윤리는 경제에 대하여 외생적인가?, 『철학논집』 31
    • 2012.06 세계시민주의적 규범성의 패러다임에 대한 고찰, 『다문화와평화』 6-1
    • 2011.10 윤리와 읽기ㆍ말하기ㆍ쓰기의 교수법적 결합에 관한 시론, 『철학논총』 66-4
    • 2010.12 자율의 기획으로서의 반소비주의, 『오토피아』 25-3
    • 2010.12 관용의 조건으로서의 인권적 정의, 『민주주의와인권』 10-3
    • 2010.06 ‘이성의 사실’의 탈형이상학, 『인문연구』 58
    • 2009.11 홉스의 『리바이어던』에 나타난 힘의 문제, 『철학탐구』 26
    • 2009.08 도구주의적 기업윤리 개념의 한계에 관한 한 고찰, 『철학연구』 111
    • 2009.06 역사적 모험에서 역사적 책임으로, 『인문논총』 61
    • 2009.04 기술, 노동, 이데올로기, 『민주주의와인권』 9-1
    • 2008.09 ‘이성의 사실’은 도덕성을 정당화하는가?, 『철학연구』 36
    • 2008.05 노동 윤리의 새로운 정향, 『철학탐구』 23
    • 2007.11 실천적 합리성 개념의 현대적 편향에 대한 검토, 『철학연구』 104
    • 2007.09 사회생물학적 도덕 이론의 메타윤리학적 타당성 연구, 『철학연구』 34
    • 2007.06 도덕성은 합리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가?, 『대동철학』 39
    • 2007.03 경제 윤리의 필연성에 관한 소고, 『범한철학』 44
    • 2007.02 ‘좋은 삶’의 상호 주관적 가능 조건, 『철학연구』 101
    • 2005.03 경제와 윤리의 충돌에 관한 고찰, 『범한철학』 36
    • 2003.09 근대성과 자유, 『범한철학』 30
    • 2002.12 타율의 일상성, 『범한철학』 27
    • 2002.11 노동 종말 시대의 노동, 『철학』 73
    저역서
    • 2020.10 『걸으면 해결된다』, 산현재(공저)
    • 2016.12 『인성교육의 철학적 성찰』, 교육과학사(공저)
    • 2008.12 『합리성과 도덕성』, 서광사
    • 2007.05 한스 요나스, 『물질, 정신, 창조』, 철학과현실사(공역)
    • 2006.09 피터 싱어 편, 『메타윤리』, 철학과현실사(공역)
    • 2005.04 피터 싱어 편, 『규범윤리의 전통』, 철학과현실사(공역)
    • 2005.04 피터 싱어 편, 『응용윤리』, 철학과현실사(공역)
    • 2004.01 피터 싱어 편, 『윤리의 기원과 역사』, 철학과현실사(공역)
    • 1998.09 오트프리트 회페 편, 『윤리학사전』, 예경(공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