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Eco mover, Glocal SCNU

마이크로디그리 스마트축산

마이크로디그리 스마트축산

나노디그리

스마트축산


과정 개요(소개)

  • 현대 축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축산 기술 활용은 생산성과 환경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필수 요소로, 이를 통해 효율적인 축산 관리 및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관리가 요구되고 있음
  • 빅데이터 활용 및 인공지능 기술의 접목으로 축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분야의 전문 인재 양성을 통해 지역 및 국가 차원의 지속 가능한 축산 발전을 도모하고자 함

과정 편성표(교육과정 편람 참고)

개설
학부·학과·전공
학기 과목코드 교과목명 학점 시간 이수 구분 이수학점
이론 실습

동물자원과학과

2

AS0687

빅데이터활용동물정보처리학

3

2

2

최소택1

9

동물자원과학과

2

AS0623

스마트동물질병학

3

2

2

동물자원과학과

2

AS0624

사료정보시스템학

3

2

2

인공지능공학부

1

IC0680

머신러닝

3

3

0

인공지능공학부

2

IC0683

딥러닝 기초

3

3

0

교과목 개요

교과목명 교과목 개요 비고

빅데이터활용동물정보처리학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축산 분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동물 정보를 분석 및 처리하는 방법을 학습하여 최적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다. 학생들은 축산 데이터의 수집, 처리 및 분석에 필요한 이론과 실습을 통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스마트동물질병학

ICT 기술을 활용한 동물 질병의 예측, 진단, 예방 및 관리 방법을 학습하여 축산업의 건강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학생들은 스마트 센서 및 데이터 분석 기술을 통해 질병 발생의 조기 탐지 및 예방 조치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사료정보시스템학

데이터 기반 사료 관리 및 최적화 시스템을 학습하여 가축의 건강과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이해할 수 있다. 학생들은 사료 데이터 분석, 영양 관리 시스템 및 맞춤형 사료 설계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머신러닝

데이터로부터 지식을 추출하는 머신러닝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서 최근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적절 하게 가공하고, 패턴을 추출하여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는 다양한 활동을 일컫는다. 본 교과목에서는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의 개념과 목적, 특징, 장단점 등에 대한 정성적인 논의를 통해 까다로운 수학의 부담이 없이 머신러닝 기법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수학을 통한 해설은 최소한으로 하되, 다양한 머신러닝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코딩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이론과 실무를 균형있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딥러닝 기초

본 과목에서는 딥러닝 개요부터 시작하여 신경망, 다층 신경망. 합성곱 신경망, 순환 신경망 등 딥러닝 기초를 다룬다., 아울러 다양한 신경망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분류하고 텍스트를 분류하는 과정을 학습하고 창의 융합 응용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창의력 및 융합능력과 소통 능력, 도전 능력을 고양 한다.


참여교원

구분 학부·학과·전공 성명 비고

주관학과

동물자원과학과

조용일

책임교수

주관학과

동물자원과학과

서강석

참여교수

주관학과

동물자원과학과

이상석

참여교수

참여참여학과

인공지능공학부

신창선

참여교수

참여참여학과

인공지능공학부

김종호

참여교수

참여참여학과

인공지능공학부

박철영

참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