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Eco mover, Glocal SCNU

명예교수

명예교수

  • 유평열

    유평열교수

    직급
    명예교수
    전공/학위
    이학박사
    이메일
    ypy@sunchon.ac.kr

    학력

    •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물리전공(1975-1978)
    • 전북대학교 대학원 이학석사, 이학박사

    주요경력

    • 전북대 조교, 전주대 시간강사,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 연구원
    • 순천대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교수
    • 미국 City College of New York 객원교수
    • 중국 북경대학, 대만국립대학, 싱가폴국립대학 방문교수
    • 순천대 물리학과장 순천대 자연과학대학 교무과장
    • 순천대 학생부처장, 순천대 공동실험실습관장, 교육대학원 주임교수
    •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물리교육과(2008.2. - )

    연구분야

    • Quantum Well Growh4 by RF Magnetron Sputtering
    • Thin Film Growh4 by Hot-Wall Epitaxy
    • Single Crystal Growh4 by Modified Bridgman Meh4od
    • Photoluminescence, Laman Scattering,
    • Semiconductor Laser Diode, Solar Cell, Photoconductive Cell Development

    주요연구실적

    •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Zn1-x Mnx Te Epilayers as Diluted Magnetic II-VI Semiconductors, J. of Crystal Growh4, Elsevier, Vol. 237, No.2, pp. 1589-1593, 2002
    • Resonant Raman Scattering Measurements of Strains in ZnS Epilayers Grown on GaP, J. of Applied physics,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Vol. 91, No. 11, pp. 9429-9431, 2002
    • Band Gap Energy and Exciton Peak of Cubic CdS/GaAs Epilayers, J. of Applied Physics,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Vol. 92, No. 2, pp. 1162-1164, 2002
    • Strain Effect of ZnSe Epilayers Grown on GaAs Substrates, J. of Crystal Growh4, Elsevier, Vol 243, No. 1, pp. 389-395, 2002
    • Resonant Raman Scattering in ZnS Epilayers, Materials Chemistry and Physics, Elsevier, Vol. 78, pp. 149-154, 2002
    • Optical Properties of h4e ZnSe/GaAs Heteroepitaxial Layers Grown by Hot Wall Epitaxy, J. of Crystal Growh4, Vol. 249, pp. 9-14, 2003

    주요수상경력

    • 총장표창장(순천대학교 제 232호)
    • 총장공로패(순천대학교 제 75호)
    • 논문장려상(한국물리학회 제 90-34호)
    • 교육장상(전주시 교육청 제 1207호)
    • 국회부의장상(대한민국 국회)
  • 최춘태

    최춘태명예교수

    직급
    명예교수
    이메일
    cct@sunchon.ac.kr

    학력

    • 전북 대학교 대학원(박사, 1988)

    주요경력

    • 순천대학교 물리학과 조교수
    • 순천대학교 물리학과 부교수
    • 순천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물리교육과(2008.2. - )

    연구분야

    • III-V족 반도체
    • Electrodeposition에 의한 ZnO박막의 성장 및 물성

    주요 연구실적

    • Semi-Insulation Substate Effects on GaAs Epilay (J. Appl. Phys., 1994)
    • 전착법에 의한 ZnO 박막의 결정구조 및 광흡수 특성 (한국센서학회,2000)
    • 티타늄과 ITO기판에 전착법으로 성장된 Hg1-xCdxTe 박막과 성장 조건이 결정구조 및 성분조성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센서학회,2001)
  • 이충일

    이충일명예교수

    직급
    명예교수
    전공/학위
    고체물리 / 박사
    이메일
    lci@sunchon.ac.kr

    학력

    • 조선대학교(박사, 1994)

    주요경력

    • 순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교수(1991 - 2003)
    •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교수(2003.3 - 2008)
    • 순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장(2006.3 - 2007.8.31)
    • University of New Souh4 Wales(Australia) 교환교수(1997. 12 - 1998. 3
    • ) SUNY at Buffalo 연구교수(2002.2 - 2003.1)
    •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물리교육과(2008.2 - )

    연구분야

    • Optical Properties of Compound Semiconductor
    • 과학교육 및 물리교육
    • 영재교육

    주요연구실적

    SCI 및 국제학술지
    • 1. W.T. Kim, S.J. Baik, S.A. Park, C.I. Lee, M.S. Jin, Photoluminescence Spectra of MgxZn1-xSe Single Crystals, J. Korean Phys. Soc., 2004.
    • 2. S.A. Park, M.S. Jin, C.S. Yoon, C.I. Lee, M.Y. KIm, S.J. Baik, W.T. Kim, Optical Properties of BaGa2S4: Tm3+ and BaGa2Se4: Tim3+ Single Crystals, J. Korean Phys. Soc., 2003.
    • 3. J.S. Kim, H.I. Kang, W.N. Kim, J.C. Choi, H.L. Park, G.C. Kim, W.T. Kim, Y.H. Hwang, S.I. Mho, J.W. Moon, H.S. Moon, C.I. Lee, D.H. Shin, Enhancement of phase stability in ZnGa2O3.994Se0.006 : Li+, Mn2+ phosphors, Solid State Communications, 2003.
    • 4. M.Y. Kim, W.T. Kim, M.S. Jin, S.A. Park, S.H. Choe, C.I. Lee, S.C. Hyun and C.D. Kim, Impurity optical absorption of Co2+ -doped BaGa2S4, BaGaSe4, BaIn2S4, and BaIn2Se4 single crystals, J. Phys. Chem. Solids, 2003.
    • 5. M.S. Jin, C.I. Lee, N.O. Kim, W.T. Kim, Photoluminescence of GaS:Er3+ single Crystals, J. Korean Phys. Soc., 2002.
    • 6. H.I. Kang, J.S. Kim, H.L. Park, G.C. Kim, T.W. Kim, Y.H. Hwang, S.I. Mho, C.I. Lee, Optimum Ⅳ-group ion concentrations in ZnGa2O4-xMx(M=S, Se, Te) Phosphors for enhancement of luminescence, MRS Bull., 2002.
    • 7. J.H. Bahng, E.S. Oh, S.H. S대, J.S. Kim, M. Lee, H.L. Park, C.I. Lee, G.C. Kim, K.J. Kim, Cah4odoluminescence Study of Bi3+-Doped YNbO4 Phosphor, Phys. stat. sol(a), 2002.
    • 8. M.S. Park, I.M. Na, C.I. Lee, Chu R, Wie, DCIV and Spectral Charge-Pumping Studies of γ-Ray and X-ray Irradiated Power VDMOSFET Devices, IEEE TRANSACTIONS ON NUCLEAR SCIENCE, 2002.
    • 9. N.O. KIm, H.G. Kim, H.J. Lim, C.I. Lee, M.S. JIn, C.S. Yoon, W.Tnd Optical Properties of α-In2Se3 Single crystals wih4 an Indium Excess, J. Korean Phys. Soc., 2001.. KIm, Electrical a
    • 10. SUNG-Hyu CHOE, Tae-Hwan Bang, Nam-Oh Kim, Hyung-Gon Kim, Choong-Il Lee, Moon-Seog Jin, Seok-Kyun Oh, Wha-Tek Kim, Optical Propertiees of β-In2S3 and β-In2S3:Co2+ single crystals, Semicond. Sci. Tech., 2001.
    국내 학술지
    • 1. C.I. Lee, Optical Properties of ZnHgGa4Se8 and ZnHgGa4Se8:Co2+ Single Crystals,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2005.
    • 2. C.I. Lee, Optical Properties of SnS2 Single Crystals,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2005.
    • 3. 한은주, 이충일, 유평렬, 최춘태, 수용액에서 ZnO박막의 서장에 관한 연구, 과학과 교육, 2004.
    • 4. 정재경, 주홍은, 유평렬, 이충일, 최춘태, 열분해된 왕겨를 이용한 질화규소 분말의 합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과학과 교육, 2003.
    • 5. 양정모, 이충일, 고등학교 전자기 영역에서 그림형과 그래프형 문제의 난이도 비교, 과학과 교육, 2003.
    • 6. 이충일, Ag2CdSnS34 및 Ag2CdSnS34:Co2+ 단결정의 광학적 특성, 한국진공학회, 2001.
    저서 및 역서
    • 1. 최춘태, 이충일, 박천인, 김태익, 심우상, 2006 과학영재교육교재 중등물리(심화과정), 순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2007.
    • 2. 최춘태, 최규상, 유평렬, 송대엽, 박충기, 양기열, 김권욱, 이충일, 전영국, 심우상, 2006 과학영재교육교재 중등물리(기초과정), 순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2007. 3
    • . 이충일, 박천인, 김태익, 심우상, 2005 과학영재교육교재 중등물리(심화과정), 순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2006.
    • 4. 이충일, 김권욱, 송대엽, 심우상, 양기열, 유평렬, 이철성, 정옥희, 최규상, 최춘태, 2005 과학영재교육교재 중등물리(기초과정), 순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2006.
    • 5. 이충일, 김경훈, 김태익, 류평렬, 박천인, 송대엽, 심우상, 정옥희, 최규상, 최춘태, 황호룡, 2005 과학영재교육교재 중등물리(기초과정), 순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2005.
    • 6. 손승남, 임경희, 강윤수, 양기열, 이충일, 최춘태, 조병찬, 고중숙, 김권욱, 신은주, 전영국, 영재교육최신동향탐구, 순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2007.
    • 7. 이충일 외 역, 대학물리학 Ⅰ, Ⅱ, 북스힐, 2006.
    학술회의 발표
    • 1. Lee Choong Il, Optical Properties of SnS2, SnS2:Cd, and SnS2:Sb Single Crystals, 2002 MRS Spring Meeting Abstracts, 2002.
    • 2. 이충일 외, Optical properties of Ho3+-doped BaIn2S4 single crystals, 한국물리학회 회보, 제19권 제2호, 2001.
    • 3. 이충일 외, Optical energy gap of undoped and Co-doped BaGa2S4 and BaGa2Se4, 한국물리학회 회보 제19권 제2호, 2001.
    • 4. 이충일 외, Impyrity optical absorption of Co-doped BaGa2S4, BaGa2Se4, BaIn2S4, and BaIn2Se4 single crystals, 한국물리학회 회보 제19권 제2호, 2001.
    • 5. 이충일 외, In2S3 및 InS3:Co2+단결정의 광학적 특성, 한국물리학회 회보, 제19권 제1호, 2001.
    보고서 및 특허
    • 1. 이충일, 2006년도 과학영재교육원 사업수행 결과보고서, 순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2007.
    • 2. 이충일, 중등물리 심화과정 프로그램개발과 운영, 전국과학영재교육원 워크샵, 2005.
    • 3. 이충일, 중등물리분야 지도사례분석, 순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교수 workshop, 2006.
    • 4. 이충일, 2005 한국 청소년 과학 탐구 토론 대회 지도사례분석, 순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교수 workshop, 2006.
    • 5. 이호종, 이충일, 박관수, 김유철, 아연도금강선의 결함 억제 방안, 2001학년도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사업 최종보고서, 2002.
    • 6. 문용선, 이충일, 정호진, 정철호, 강성률, 이영필, Turbin Load Set 조정을 위한 Digital Driver Unit 개발, 2004년도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사업 최종보고소, 2005.
    • 7. 이호종, 홍순모, 이충일, 용융아연 도금층에 잔류한 드로스 검출방법(특허 등록번호 10-0405379-00-00), 2003.
  • 최규상

    최규상교수

    직급
    명예교수
    이메일
    kchoi@sunchon.ac.kr

    학력

    • 서울대학교 (학사, 1981)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1986)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1991)

    주요경력

    • 학국과학기술원 위촉연구원
    • 목원대학교 대우전임강사
    • 순천대학교 물리학과 전임강사
    • 순천대학교 물리학과 조교수 순천대학교 물리학과 부교수
    •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객원교수
    • 순천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물리교육과(2008.2. - )

    연구분야

    • 압전공명
    • NMR
    • 비선형광학

    주요연구실적

    • 광학적 이차조화파발생을 이용한 FHOCB 액정 단층의 표면분포 조사 (새물리, vol 39, 1999)
    • 광학적 이차조화파발생을 이용한 6fda-co-c6 고분자의 곁사슬 표면 조사(순천대 논문집, vol 17, 1998)
    • New Meh4od of Determining h4e Equivalent Circuit Parameters of Piezoe
  • 정옥희

    정옥희교수

    직급
    명예교수
    이메일
    ohchung@sunchon.ac.kr

    학력

    •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물리교육학 (학사 1981)
    • 경북대학교 대학원 물리학과 (석사 1984)
    • State Univ. of New York @Buffalo (Ph. D, 1992)

    주요경력

    • 순천대학교 물리학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1993~ 현재)
    • 동경대학교 순수및 응용과학부 외국인 초청 연구원 (1994~1995)
    • 기초과학지원연구소 공동연구원 (2000~ 현재)
    •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물리교육과(2008.2. - )

    연구분야

    • High Tc and Organic Superconductivities
    • Low dimensional electron systems
    • Low temperature physics

    주요연구실적

    • 1. Refinement on h4e pressure-temperature phase diagram of h4e organic superconductor wih4 asymmetric anions, (TMTSF)2FSO3, Phys. Rev. B (2003)
    • 2. Exploring h4e inside of h4e stable field-induced spin-density-phase of h4e organic conductor (TMTSF)2ClO4., Synh4etic Metals, 120, 1073 (2001).
    • 3. Two rapid oscillations in h4e magnetoresistace in field-inducd spin-density-wave of (TMTSF)2ClO4, Phys. Rev. B 61, 11649 (2000).
    • 4. High temperature dimensional cross over in h4e organic superconductor (TMTSF) 2ClO4, J. Kor. Phys. Soc. 35, 1 (1999).
  • 김정빈교수님 사진

    김정빈교수

    직급
    교수
    전공/학위
    지질학 / 이학박사
    이메일
    cbkim@scnu.ac.kr

    학력

    •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졸 (이학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지질학과 졸 (이학석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지질학과 졸 (이학박사)

    주요경력

    • 캐나다 윈저대학교 지질학과 post-Doc.(1992.3~1993.3)
    •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초빙연구원(2000.1. - 2002.6.)
    •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조교수(2005.2. - 2009)
    • 한국지구과학회 책임편집위원(2007.1. - 2009.12)
    • 순천대학교 교수회 평의원(2007.6. - 2009.5.)
    •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물리교육과(2008.2 - )
    •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과학?환경교육학부장(2008.3. - 2009.2.)
    • 한국지구과학회 편집위원장(2012.01.- 2014.12.)
    • 순천대학교 물리교육과 교수(2014.4 - 현재)
    • 순천대학교 제18-19대 교수회 의장(2014.5. - .2016.10.)
    • 전국국공립대학교수회연합회 감사(2015.3. - 2016.10.)
    • (사) 한국지구과학회 30대회장(2020.2 ? 현재)
    •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2020.10 - 현재)

    연구분야

    • 지질학, 화성암석학 및 지구과학교육

    주요수상실적

    • 순천대학교 2005년 1학기 강의평가 우수상(2005)
    • 세계 3대 인명사전 동시 등재(2009)
    • 제23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 과학기술총연합회(2013)
    • (사)한국지구과학회 공로상, 한국지구과학회(2015)
    • 자랑스런 대한민국대상(교육발전부분) 수상(2019)
    • (사)한국물학술단체연합회 학술상, (사)한국물학술단체연합회(2022)

    주요연구실적

    (1) SCI 및 SCIE
    • Turek, A. and Kim, C.B., 1995, U-Pb zircon ages of Mesozoic plutons in the Damyang - Geochang area, Ryeongnam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29, 243-258 (SCI).
    • Turek, A. and Kim, C.B., 1996, U-Pb zircon ages for Precambrian rocks in Southwestern Ryeongnam and southwestern Gyeonggi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30(4), 231-249 (SCI).
    • Kim, C.B. and Turek, A. 1996, Advances in U-Pb zircon geochronology of Mesozoic plutonism in the southwestern part of Ryeongnam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30(6), 323-338 (SCI).
    • Yoon, C.H., Oh, K.C. and Kim, C.B., 1997, Gold content of volcanic rocks distributed in Korea. Jour. Geosci. Res. Northeast Asia, first issue, p.106-109 (SCIE).
    • Kim, C.B., Turek. A., Chang, H.W., Park, Y.S. and Ahn, K.S., 1999, U-Pb zircon ages Precambrian and Mesozoic plutonic rocks in the Seoul-Cheongju-Chooncheon area, Gyeonggi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33(6), 379-397 (SCI).
    • Kim, C.B. and Chang, H.W., 2000,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geochronology of Triassic-Jurassic granites in the Damyang-Namwon area, Korea. Geosciences Journal 4 (Special Edition), 66-73 (SCIE).
    • Kim, C.B., Huh, M., Cheong, C.H., Lockley, M. and Chang, H.W., 2003, The age of the pterosaur and web-footed bird tracks associated with dinosaur footprints from South Korea. The Island Arc, 12(2), 125-131 (SCI).
    • Yoon, C.H., Shimazaki, H., Kim, C.B. and Lee, H.J., 2003, Sulfur Isotope Study of Basement Rocks and Intrusiv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Ryeongnam massif. Mining Geology 53(1), 11-20 (SCIE).
    • Chang, H.W., Turek, A. and Kim, C.B., 2003, U-Pb zircon geochronology and Sm-Nd-Pb isotopic constraint for Precambrian plutonic rocks in the northeastern part of Ryeongnam massif, Korea. Geochemical Journal 37(4), 471-491 (SCI).
    • Kim, C.B., Chang, H.W. and Turek, A., 2003, U-Pb zircon ages and Sr-Nd-Pb isotopic compositions for Permian-Jurassic plutons in the Ogcheon belt and Ryeongnam massif, Korea: their tectonic implications and correlation with the China Qinling-Dabie belt and the Japan Hida belt. The Island Arc 12(4), 366-382 (SCI).
    • Cheong-Bin Kim, Heon-Jong Lee, Yeong-Seog Park, 2004, Petrochemistry and geochronology of volcanic glass and related rocks in the Samho area, South Korea. Stone Sources No. 4, 61-76.
    • Kim, S.W., Oh, C.W., Williams, I.S., Rubatto, D., Ryu, I.C., Rajesh, V.J., Kim, C.B., Guo, J. and Zhai., M., 2006, Phanerozoic high-pressure eclogite and intermediate-pressure granulate facies metamorphism in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eastward extension of the Dabie-Sulu continental collision zone. Lithos, special issue, p. 357-377 (SCI). Impact fact (2006, 2.203)
    • Lim, H.S., Chung, C.H., Kim, C.B., Lee, Y.I., Lee, H.J. and Lee, Y.C., 2007, Late-Holocene palaeoclimatic change at the Dongnimdong archaeological site, Gwangju, SW Korea. The Holocene 17, 5, 665-672 (SCI). Impact fact (2006, 2.000)
    • Lim, H.S., Lee, Y.I., Yi, S., Kim, C.B., Chung, C.H., Lee, H.J. and Choi, J.H., 2007, Vertebrate burrows in late Pleistocene paleosols at Korean Palaeolithic sites and their significance as a stratigraphic marker. Quaternary Research 68, 5, 213-219. 2007.09.30. (SCI). Impact fact (2006, 2.319)
    • Kim, C.B., Rajesh, V.J., Santosh, M., 2008, Geochemistry, K-Ar geochronology and Sr-Nd-Pb isotope compositions of pitchstone in Gohado, southwestern Okcheon Belt, South Korea. The Island Arc 17(1), 26-40 (2008.03.31).
    • Kim, C.B., Al-Aasm, I.S., Ghazban, F. and Chang, H.W., 2009, Stable isotopic composition of dinosaur eggshells and pedogenic carbonates in the upper cretaceous Seonso formation, South Korea: Paleoenvironmental and diagenetic implications. Cretaceous Research, 30(1), 93-99 (2009.02.28). (ISSN/ unknown).
    • Kim, C.B., Kim, J.Y., Kim, K.S., Lim, H.S., 2010, New age constraints for hominid footprints found on Jeju Island, South Korea.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7(12), 3338-3343 (2010.08.10). (ISSN/ unknown).
    • Cho, K.S., V.J. Rajesh, Kang, S.S. and Kim, C.B., 2011, Petrologic, chemical, and isotoic evaluation of pitchstones in the Samho area, southwestern Okchon Belt, South Korea. Geoscience Journal 15, 137-147 (2011.06.14.). (ISSN/1226-4806, printed).
    • Kyung Soo, Kim, Jong Deock Lim, Martin G. Lockley, Lida Xing, Su Jin Ha, Cheong Bin Kim, In Sung Paik, Jae Hong Ahn, Seok Chan Moon, 2018, First report of a distintive theropod track assemblage from the Jinju Formation(lower Cretaceous) of Korea provides strong correlations with China. Cretaceous Research 81, 26-35. (ISSN/0195-6671).
    • Seung Hyeop Kang, Lisa G. Buckley, Richard T. McCrea, Kyung-Soo Kim, Martin G. Lockley, Jong Deock Lim, Hyun Soo Lim, Cheong-Bin Kim, 2021, First report of bird tracks (Ignotornis seoungjoseoi ichnosp. nov.) from the Jinju Formation (Lower Cretaceous), Sacheon City, Korea. Cretaceous Research 127, 1-25.
    • Chae, Yong-Un, Sujin Ha, Taejin Choi, Cheong-Bin Kim, Kyung Soo Kim, and Hyoun Soo Lim, 2021, Detrital zircon province of the Cretaceous Duwon Formation based on LA-MC-ICPMS U-Pb ages and morphology in the Goheung area, southern Korea: A new supply mechanism of Early Cretaceous zircons. Cretaceous Research 128, 1-13.
    (2) 국제 학술발표회 (Proceeding)
    • Turek, A. and Kim, C.B., 1994, U-Pb zircon ages of Mesozoic plutons in the Damyang - Geochang area, Ryeongnam massif, Korea. Abstract of the Eigh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chronology, Cosmochronology and Isotope Geology (ICOG 8), p.300.
    • Turek A. and Kim, C.B., 1995, U-Pb zircon ages of Precambrian and Mesozoic Plutonic Rocks of the Ryeongnam massif, Namwon Area, Korea. Geological Association of Canada/Mineralogical Association of Canada, p.105.
    • Turek, A., Kim, C.B. and Wang, X., 1996, The U-Pb geochronology of the Bird river greenstone belt in southeastern Manitoba. Geological Association of Canada/Mineralogical Association of Canada. A-97, 86p.
    • Kim, C.B., Park, Y.S., Chang, H.W. and Turek, A., 1998, Geochronology, Petrology and Tectonics of Triassic-Jurassic plutonic rocks of the Ryeongnam and Gyeonggi massifs, Korea. ICOG-9 (The Ni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chronology, Cosmochronology and Isotope Geology), p.65.
    • Turek, A., Kim, C.B. and Chang, H.W., 1998, U-Pb zircon geochronology of Mesozoic and Precambrian rocks of the Gyeonggi and Ryeongnam massifs, Korea. ICOG-9 (The Ni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Geochronology, Cosmochronology and Isotope Geology), p.133.
    • Chang, Ho-Wan, Kim, Cheong-Bin and Huh, Min, 2000, K-Ar and Ar-Ar ages of the volcanic rocks of the dinosaur footprint hosting Uhangri Formation, Haenam, South Korea. Geological Association of Canada/Mineralogical Association of Canada. May 29-June 2/Calgary Alberta, Cession 02, 1-5.
    • Kim, Cheong-Bin, Chang, Ho-Wan, Yoon, Chung-Han and Andrew Turek, 2000, U-Pb zircon geochronology for Precambrian rocks of Gyeonggi massif. Geological Association of Canada/Mineralogical Association of Canada. May 29-June 2/Calgary Alberta, Cession 18, 1-7.
    • Jang, Bo-An, Young-Seog Park, Cheong-Bin Kim and Seong-Seung Kang, 2007, Paleostress based on calcite twins in the Joseon and Pyeongan Suprtgroups, South Korea. The 6th Asian Regional Conference on Geohazards in Engineering Geology (IAEG 2007).
    • Lee, Heon-Jong and Kim, Cheong-Bin, 2007, Chronology of the Paleolithic in Youngsan river Region. International Semina, Environmental Change and Paleolithic Chronology in East Asia. 2007. 11. 24 - 11. 25, 100-106.
    (3) 국내 전문학술지
    • 김정빈, 김용준, 1984, 광주 북동부에 분포하는 소위 편상화강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광산지질, 17(3), 197-214.
    • 김용준, 김정빈, Dallmeyer R. D., 1987, 운봉-아영지역에서 나타나는 압쇄상화강암에 대한 암석기재학적 연구. 광산지질, 20(2), 125-136.
    • 김용준, 김정빈, 1988, 장계-임실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에 대한 암석학적인 연구. 지질학회지 24 (특별호), 87-110.
    • 홍세선, 김용준, 김정빈, 1988, 남원지역에 분포하는 남원화강암체에 대한 암석지화학적 연구. 지질학회지 24 (특별호), 132-146.
    • 김정빈, 김용준, 홍세선, 1990, 담양-진안 사이에 분포하는 엽리상화강암류에 대한 암석화학적 연구. 광산지질, 23(1), 87-104.
    • 박재봉, 김용준, 김정빈, 1990, 경남 함양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에 대한 암석지화학적 연구. 광산지질, 23(1), 105-123.
    • 김정빈, 김용준, 1990, 담양-진안 사이에 분포하는 엽리상화강암류에 대한 지질시대와 성인에 관한 연구. 광산지질 23(2), 233-244.
    • 김정빈, 1990, 장수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의 암석화학과 지질시대에 대한 연구. 지질학회지, 26(6), 513-526.
    • 김용준, 김정빈, 박재봉, 1991, 호남 전단대에 분포하는 엽리상화강암류의 암석화학과 성인. 지질학회지, 27(1), 52-63.
    • 김용준, 박재봉, 김정빈, 신상은, 1992, 운봉-아영지역의 압쇄상화강암류에 대한 화학성분의 변화. 지질학회지, 28(4), 403-409.
    • 김정빈, 윤정한, 이창신, 1994, 장수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지구과학회지, 15(3), 177-188.
    • 김정빈, 윤정한, 김정택, 박재봉, 강상원, 김동주, 1994, 월출산지역에 분포하는 중생대 화강암류에 대한 암석화학적 연구. 자원환경지질학회지, 27(4), 375-382.
    • 윤정한, 오근창, 김정빈, 신방섭, 1996, 삼천포, 서천 및 영동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석탄회중의 미량원소 함량 및 희토류원소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33, 82-89.
    • 이창신, 김정빈, 1996, 월출산지역에 분포하는 중생대 화강암류에 대한 미량원소와 희토류원소의 특성. 자원환경지질학회지, 29(3), 283-294.
    • 김정빈, 박영석, 1996, 벌교지역에 분포하는 심성암류의 암석화학과 지질시대에 대한 연구. 지구과학회지, 17(3), 227-240.
    • 박영석, 김정빈, 윤정한, 안건상, 1997, 고흥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심성암류의 지질시대와 암석화학적 연구. 지구과학회지, 18(1), 70-83.
    • 안건상, 김정빈, 신인현, 1998, 옥과 부근에 분포하는 변성퇴적암류 및 변성염기성암에 대한 변성암석학적 연구. 지구과학회지, 19(2), 127-138.
    • 안건상, 박영석, 김정빈, 1999, 파주-김포지역에 분포하는 경기편마암복합체의 변성작용과 P-T 진화경로. 암석학회지, 8(1), 123-132.
    • 박영석, 김정빈, 박기화. Chen, J.F., 김진, 1999, 오탄리지역에 분포하는 중성-염기성 심성암류에 대한 암석지화학적 연구. 지구과학회지, 20(5), 544-555.
    • Yoon, C.H. and Kim, C.B., 1999, Lead isotope study of some gold-silver deposits, Korea. The Institute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36(6), 419-427.
    • 윤정한, 김정빈, 오근창, 1999, 고흥 마복산 부근에 분포하는 심성암류의 암석지구화학과 금함량. 자원환경지질 32(6), 585-597.
    • 오근창, 윤정한, 김경웅, 박천영, 김정빈, 양동윤, 김주용, 이광례, 2001, 광주광역시 운정동 위생매립장 주변 지하수와 하천수의 환경지구화학적 오염특성. 자원환경지질 34(6), 523-537.
    • 조규성, 변흥룡, 김정빈, 2002, 야외지질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지구과학회지 23(8), 649-658.
    • 조규성, 황지현, 김정빈, 2003, 지각물질과 변화’ 단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지구과학회지 24(3), 128-134.
    • 이헌종, 김주용, 양동윤, 김정빈, 홍미영, 이혜연, 2003, 영산강유역 하루 신발견 구석기유적군. 한국구석기학보 제8호, 67-98.
    • 임현수, 이용일, 이용우, 이선복, 장수범, 김정빈, 2004, 전곡 및 나주지역에서 관찰되는 대형 서관구조에 대한 연구. 지질학회지 40, 559-566.
    • 강성승, 이헌종, 강추원, 김정빈, 2005, 삼호지역에 분포하는 유리질화산암에 대한 물리적?역학적 특성. 암반공학회지 15(3), 223-227.
    • 정철환, 이헌종, 김정빈, 2005, 전라남도 무안군 피서리 후기 제4기 퇴적층에서 산출된 포자?화분 연구. 지구과학회지 26(6), 597-602.
    • 이헌종, 김정빈, 장대훈, 이혜연, 2006, 우리나라 서남해안 일대의 신발견 구석기유적 분포와 유적 점거의 규칙성에 대한 시고. 한국구석기학보 13, 9-26. (2006. 6. 30. 발행).
    • 오창환, 김정빈, 박영석, 김성원, 2006, 경기육괴의 고원생대 암류들에 대한 SHRIMP U-Pb 저어콘 연대와 그 의의. 지질학회지 42(4), 587-606. (2006. 12. 31. 발행).
    • 임현수, 남연정, 이용일, 김정빈, 이선복, 정철환, 이헌종, 윤호일, 2006, 테프라 연대학의 원리와 응용: 한국에서 발견되는 AT(Aira-Tanzawa) 광역테프라. 지질학회지 42(4), 645-656. (2006. 12. 31. 발행).
    • 양철주, 오종일, 최연재, 김정빈, 문승태, 한승관, 2006, 육계에서 사료내 황토 첨가가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3(4), 263-271. (2006. 12. 31. 발행).
    • 김정빈, 이헌종, 박영석, 조규성, 양동윤, 이혜연, 2006, 나주 장동리지역에 분포하는 제4기층에 대한 테프라 지질연대. 한국구석기학보 제14호, 35-50. (2006. 12. 31. 발행).
    • 이헌종, 정철환, 김정빈, 김종환, 2007, 제주 하모리 유적 응회질 모래층의 연대 설정과 그 고고학적 의미. 한국상고사학보 56, 5-15. (2007. 3. 31. 발행).
    • 강성승, 윤건신, 김영석, 김정빈, 2007, 월성지역 단층대에서 응력 변형사 및 단층 형태 예측.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44(2), 1-7. (2007. 6. 30. 발행).
    • 조규성, 이헌종, 김정빈, 정덕호, 신민정, 2007, 구석기 유물 유적을 활용한 지구과학 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 방안. 한국지구과학회지 28(2), 159-168. (2007. 6. 30. 발행).
    • 최옥자, 양철주, 김정빈, 문승태, 정현숙, 심기훈, 채영기, 2007, 육계의 사료내 황토 첨가가 계육의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4(2), 111-117. (2007. 6. 30. 발행).
    • 박영석, 장보안, 김정빈, 강성승, 2007, 고응력 지시자로서 방해석 쌍정 연구. 자원환경지질학회지 40(6), 461-471 (2007. 8. 31. 발행).
    • 조규성, 조성호, 김정빈, 정덕호, 2008, 점진적 완성 개념도의 개발과 적용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반응 - 지구과학 Ⅰ 지각변동 단원에의 적용 사례-. 한국지구과학회지 29(2), 140-150 (2008. 4. 30. 발행).
    • 강성승, 임철기, 심혜민, 윤재홍, 김정빈, 2008, 전남 고흥 일대 백악기 화강암류의 아문미세균열을 이용한 백악기말-신생대 3기초 고응력장. 한국지구과학회지 29(3), 255-262 (2008. 6. 30. 발행).
    • 정철환, 이헌종, 김정빈, 고영구, 오강호, 2008, 한반도 남서해안 도초군도 무인도서의 지질 및 지형 특성. 도서문화 31, 257-276. (2008. 06. 30).
    • 김정빈, 2008, 시화호층 내 화산암력의 K-Ar 연대와 지질학적 의미. 지질학회지, 44(4), 399-408 (2008. 8. 31. 발행).
    • Kim, Cheong-Bin, Kim, Jeongmin and Huh, Min, 2008, Age and stratification of Dinosaur eggs and clutches from Seonso Formation, South Korea.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5), 386-395. (2008. 9. 30. 발행).
    • 강성승, 유봉철, 장보안, 김정빈, 2009, 옥천습곡대 서남부지역에 분포하는 쥬라기 화강암류의 석영내 아문 미세균열 및 유체포유물을 이용한 고응력장. 한국지구과학회지 30(1), 19-32 (2009. 02. 28. 발행). (ISSN/1225-6692, printed).
    • 박보경, 김경민, 김영인, 염서연, 이정우, 형승우, 황준호, 김유미, 공미혜, 김정빈, 노열, 2009, 양이온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황토와 점토광물의 분산과 응집. 한국광물학회지, 22(30), 249-259 (2009. 09. 30. 발행).
    • 양석준, 박승현, 김정빈, 송교영, 김영석, 2010, 울진군 기성면 용당지역의 단열 발달사와 암맥의 관입 특성. 지질학회지, 46(3), 233-251 (2010. 06. 30. 발행). (ISSN/0435-4036, printed).
    • 정혜경, 박지훈, 김정빈, 2010, 탄소동위원소분석을 이용한 한국 후빙기의 기후환경변화: 서해 영종도지역을 사례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1(4), 313-321 (2010. 08. 31. 발행). (ISSN/1225-6692, printed).
    • 정혜경, 김정빈, 2012, 휴무스를 이용한 함평천 유역의 홀로세 후기 충적평야의 지형발달과 기후환경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33, 320-328. (2012. 08. 31. 발행). (ISSN/1225-6692, printed).
    • 이찬영, 김보성, 김명지, 김정빈, 2012, 전라남도 압해도 백악기층에서 발견된 공룡알 둥지의 K-Ar 연대. 한국지구과학회지, 33, 329-339. (2012. 08. 31. 발행). (ISSN/1225-6692, printed).
    • Bo-An Jang, Cheong-Bin Kim and Seong-Seung Kang, 2012, Paleostress from calcite twins of limestone in South Korea and its tectonici mplication. Journal of Geosystem Engineering, 15(3), 157-170. (2012. 09. 30. 발행). (ISSN/1226-9328, printed).
    • 정혜경, 김정빈, 2012, 휴무스분석을 통한 진주 남강유역의 홀로세 기후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33, 510-518. (2012. 10. 31. 발행). (ISSN/1225-6692, pri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