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평가관리
HOME
학사안내수업관리 및 학생평가학생평가관리
1. 학과운영 전공교과목 종류별 성적부여 원칙(강의/실험/실습)
-
전공필수, 전공선택 별 이론 및 실험, 실습 과목으로 나누어 강의를 진행하고, 출결, 중간고사, 기말고사, 과제 및 발표를 토대로 학업성적의 평가는 상대평가를 원칙으로 함.
-
학업성적은 각 교과목별로 100점 만점으로 평가하되, 시험성적, 과제물평가, 출석상황, 학급 태도 등을 종합 평가함.
(각 평가항목별 적용비율은 담당교수가 자율적으로 반영함)
-
매학기 교과목별로 출석이 총 수업시간 수의 4분의 3에 미달되거나, 수강신청한 교과목을 이수하지 아니한 때에는 해당 교과목의 성적은 F로 처리함.
-
실험실습과목의 경우 출결, 실험실습 참여태도, 팀워크, 실험실습결과 발표, 실험실 안전 수칙 위반여부, 실험실 안전교육 수료여부 등을 고려하여 종합 평가함.
-
국가 재난으로 인해 학생들의 대면 강의가 어려울 경우, 비대면 강의 및 비대면 평가 (e-campus 동영상수업 수강기록 활용, 원격화상수업 참여, 과제, 퀴즈, 온라인시험)로 진행하고 절대평가를 적용함.
2. 연도별 전공교과목 성적 부여 현황
-
전공교과목 3과목을 선정하여 연도별 성적 부여 현황을 표로 정리함.
-
전반적으로 D+~F 성적뿐만 아니라 C+~C0 성적 부여율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음.
핵심역량
|
표면처리공학
|
A+~A0
|
B+~B0
|
C+~C0
|
D+~F
|
총인원
|
2018년
|
4명
|
6명
|
4명
|
0명
|
14명
|
2019년
|
5명
|
5명
|
2명
|
0명
|
10명
|
2020년
|
4명
|
5명
|
0명
|
0명
|
9명
|
-
표면처리공학 과목에서 2018년도부터 2020년도까지 D+~F 성적을 받은 학생은 0명임.
-
C+~C0 성적을 받은 학생을 살펴보면, 2018년도는 총인원 14명에서 4명으로 전체 성적 중 29%를 차지하였고, 2019년도는 총인원 10명에서 2명으로 전체 성적 중 20%를 차지하였음. 2020년도는 0%를 기록함.
핵심역량
|
상변이속도론
|
A+~A0
|
B+~B0
|
C+~C0
|
D+~F
|
총인원
|
2018년
|
6명
|
8명
|
7명
|
3명
|
24명
|
2019년
|
3명
|
12명
|
8명
|
2명
|
25명
|
2020년
|
11명
|
12명
|
0명
|
0명
|
23명
|
-
상변이속도론 과목에서 2018년도 D+~F 성적을 받은 학생은 총인원 24명에서 3명으로 전체 성적 중 13%를 차지하였고, 2019년도 D+~F 성적을 받은 학생은 총인원 25명에서 2명으로 전체 성적 중 8%를 차지하였다. 또한 2020년도는 0%를 기록하였다.
핵심역량
|
재료열역학
|
A+~A0
|
B+~B0
|
C+~C0
|
D+~F
|
총인원
|
2018년
|
7명
|
8명
|
10명
|
8명
|
33명
|
2019년
|
3명
|
7명
|
8명
|
3명
|
21명
|
2020년
|
7명
|
3명
|
3명
|
0명
|
13명
|
-
재료열역학 과목에서 2018년도 D+~F 성적을 받은 학생은 총인원 33명에서 8명으로 전체 성적 중 24%를 차지하였고, 2019년도 D+~F 성적을 받은 학생은 총인원 21명에서 3명으로 전체 성적 중 14%를 차지하였다. 또한 2020년도는 0%를 기록하였다.
3. D학점 이하 발생 예방을 위한 계획
-
강의 기간 중 퀴즈, 레포트 등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학생의 전공이해도를 높여 D학점 이하 발생 예방
-
교과목별 수업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학생 대상 현장상담 실시 예정
-
학생동아리 모집 및 학습튜터링 운영 장려
4. D학점 이하 발생 예방을 위한 계획대비 추진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