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and Satisfying Features of Daraengyi Village's Coastal Landscape from Tourists,Journal of East LandscapeStudies, 10(1), Institute of Rec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2016
김도균,김화정(2023) 위험도로 구간 비탈면 녹생토 시공 후 생장 특성. 한국정원디자인학회 9(3): 152-159.
김도균, 김정철, 김화정(2022) 조경시공기술자들의 취업 전 사전학습이 취업 후 직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원디자인학회 8(1): 1~14.
김화정, 한용희, 김도균(2021) 자귀나무 묘목 상태에 따른 재배 후 경시적 생장 특성. 한국정원디자인학회 7(3): 229-238.
한용희, 김화정, 김도균(2021) 한국 조경수목 근원직경 측정의 합리적 위치 설정에 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9(5): 59-70.
한용희, 민종일, 김도균(2021) 우리나라 조경식재공사의 근원직경 측정기준에 대한 조경실무자들의 의식. 한국조경학회지 49(2): 27-40. Han Yong-Hee, Min Jong-il, Kim Do-Gyun(2021)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landscape planting Practitioner about the measurement criteria of the root diameter of landscape trees in the landscape planting construction, in Korea. J.KILA 49(2): 27-40.
김도균, 김정철, 김화정(2021) 조경기술자들의 개인성격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7(1): 10-23. Kim Do-Gyun, Kim Jung-Chul, Kim Hwa-Joung(2021)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on Job Engagement, among the Construction Engineer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7(1): 10-23.
김정철, 김도균(2020) 한국 개인정원의 시대별 일본정원 요소 적용과 영향요인 분석.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6(2): 156-165. Kim Jung-Chul, Kim Do-Gyun(2020) Th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Shown through the Application of Japanese Garden Factors by Period in Korean Private Gardens 6(2): 156-165.
류찌, 김도균, 김정철(2020) 16∼17세기 한국 전통원림(園林)의 시각적 경관 분석- 전남 담양지방을 중심으로.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6(2): 97-113. Liu Ji, Kim Do-Gyun, Kim Jung-Chul(2020) Visual Landscape Analysis of Korean Traditional Gardens in the 16th and 17th Century- A Case Study of Damyang-gun Jeollanam Provinc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6(2): 97-113.
김정철, 김도균(2019) 인천해안지역의 상록활엽수 겨울철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미기후 요인. 한국조경학회지 47(5): 66-77. Kim Jung-Chul, Kim Do-Gyun(2019) A Study on Wintering Microclimte Factor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the Clastal Area of Inchon, Korea. 47(5): 66-77.
김정철, 김도균(2019) 경기만 해안 및 도서지역 상록활엽수 식재 타당성 연구. 한국도서연구. 31(1): 235-256. Kim Jung-Chul, Do-Gyun Kim(2019) A Feasibility Study on Planting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the Coastal Area of Gyeonggi Bay, in Korea 31(1): 235-256.
김정철, 김도균(2018) 한국 서해안 표층수 온도와 기온의 상관성 연구. 한국도서연구 30(1): 151-172. Kim Jung-Chul, Do-Gyun Kim(2018) A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Sea Surface Temperature and Air-Temperature of The Yellow Sea of Korea. The Journal of Korean Island 30(1): 151-172.
김도균(2018) 조경분야 종사자들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46(1): 106-114/ Do-Gyun Kim(2017) The impacts of work environment on the job satisfaction among the landscape architecture workers in South Korea. J.KILA 46(1) 106-114.
김용식, 김도균(2017) 우리나라 해안림조성과 관리의 이론적 고찰. 한국자원식물학회지 30(1): 110-123. Yong-Shik Kim, Do-Gyun Kim(2017) A Theoretical Review on the Planting and Management of Coastal Forests in Korea. Korean J. Plant Res. 30(1): 110-123.
이기원, 김도균(2017) 한국 남부지방 난온대성 상록활엽수의 동해피해.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20(1): 77-96. Lee Ki-Won, Kim Do-Gyun. 2017. Freezing Injury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warm-temperature in the Southern reg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0(1): 77-96.
김주성, 김도균, 이임균, 이재헌, 이영상, 채정석, 박석곤(2017) 새만금 해안간척지의 토양염분 차단재료와 차단위치별 토양염분 경시적 변화. 한국조경학회지 45(1): 117-126. Kim Jue-Soeng, Kim Do-Gyun, Lee Im-Kyun, Lee Jae-Heon, Lee Yeung-Sang, Chae Jeung-Seug, Park Seok-Gon(2017) A change of longitudinal salt movement in the soil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place of salt movement prevent at Saemangum Reclaimed Land from the sea. J. KILA 45(1): 117-126.
김도균, 김봉찬, 박상길(2016) 한국 메도우 경관식재를 위한 기초연구 - 제주도 중산간지역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경관연구회 10(3) 11-23. DoGyun Kim, Bongchan Kim, Sanggil Park. 2016. A Basic Study for Introduction of Meadow Landscape Planting in Korea- A Case of the Grassland on the Mid Mountain in Jeju Island.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10(3) 11-23.
김도균, 유일(2015) 조경시공분야 신입사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 한국조경학회지 43(2): 73-86.
박재철, 한상엽, 김도균(2015) 마을의 비보연못 특성 및 관리 - 강진 달마지 마을을 사례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21(4): 225-885.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Complementary Pond of Village - in Case of Dalmaji Village in Gangjin-gun.
박재철, 이석우, 정경숙, 김도균(2014). 하천둔치 경관 조성을 위한 식재식물의 생육적합성 분석. 휴양 및 경관연구 8(4): 21-31.
김도균(2011) 순천만 해안방풍림 조성을 위한 생태학적 식재모델 개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4(1): 89-104.
김도균, 김용식(2011) 천연기념물 법수늪의 토양특성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4(3): 15-32.
김도균(2010) 한국 서해안의 내염성 및 내조성 자생수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2): 209-221.
김도균(2010) 한국 남해안방풍림 자생수종의 내염성 및 내조성 수종 선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1): 14-25.
권준오, 김도균, 황의진(1994) 도시의 보행공간과 가로수에 관한 연구 -순천시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국토개발연구소. 국토개발연구. 49-72.
학술발표
국제학술발표
Kim Do-Gyun(2018) The considerations on the ecologically oriented green landscape on the coastal recaimed la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National Saemangeum Arboretum Project in Korea. International Symposium on National Saemangeum Arboretum Project in Korea. Korea Forest Service. pp. 76-108.
Yong-Shik Kim, Do-Gyun Kim(2017) A review study on the conservation of the coastal forests in Korea. 2017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plant Resource between Korea and Thailand: Genetic Resources of Forest Trees pp. 4-7.
Kim Do-Gyun, Yong-Shig Kim(2015) Study on the actual status and conservation considerations of th coastal forest in Korean Peninsula. International Symposium of Science Museum2015,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ISSM2015 Proceedings(II): 241-243.
Beak Seong-Ju, Do-Gyun Kim, Juseong Kim(2014) Soil Salinity and Salt Spray Drift Tolerate of Native Trees for Ecological Planting in the Suncheon Bay, Jeollanam-do, S. Korea. 2014 Joint International Symposium betwee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and Akita Prefectural University. 67-71.
Kim, Ju-Seong, Do-Gyun Kim(2014) The Proposal of a Korean Monument Camellia Forest. In Sustainable Management of Urban Trees. 2014 International Symposium of R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RIAS). R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Sunchon National University(SCNU). 51.
Seung-Ju Baeak, Do-Gyun Kim, Ju-Seung, Kim(2012) Selection of the Native Trees that Tolerate Saline Soil and Salt Spray Drift at Coastal Area, in Suncheon Bay, South-Sea, Korea. International Symposium on Plant Genetic Resourc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at Faculty of Agriculture, Kasetsart University, Bangkok, Thailand).
Lee Deok-Beom, Nam Woong, Kwak Young-Se, Lee Sang-Seok, Kim Do-Gyun(2009) Phytomass Changes of Some Ornamental Tree Species Planting Condition Based on a Planting Pilot System in Reclaimed Dredging. 2009 Joint International Conference of National Taiwan University and Sunchon National University on Bio-resources and Agriculture. Proceedings of 2009 Joint International Conference of National Taiwan University and Sunchon National University on Bioresources and Agriculture S1-29.
Kim Do-Gyun, Kim Yong-Shik, Oh Koo-Kyoon, Kim Mi-Kyung, Lim Dong-Ok(2007) Management Plan of the Beopsu Marsh, the Natural Monument of Korea. International Symposium on Ecological Restoration of Degraded Forest Ecosystem and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in Northeast Asia.
KIM Yong-Shik, OH Koo-Kyun, LIM Dong-Ok, KIM Do-Gyun(2003) Flora of warm temperate forest zone of Korea. Abstracts of the symposium “Phytoreography of Northeast Asia: tasks for the 21st century” in Vladivostok, Russia. 41.
KIM D.G., Y.S KWAK(2002) An ecological study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inus thunbergii Parl. in the reclaimed land from the sea. in Gwangyang, South Korea.Ⅷ International Congress of Ecology.
국내학술발표
김도균(2018) 해안간척지 경관녹지. 해안 간척지 및 매립지 조경식재워크샵(Ⅱ). (사)한국조경학회 조경식재연구회. pp. 115-156.
김도균(2018) 한국 바다매립지 조경식재 및 개선방안. 해안간척지 및 매립지 조경식재 워크샵. (사)한국조경학회 식재연구회. pp. 77-86.
김도균(2018) 유럽의 조경식재 동향. (사)한국조경학회 2017조경식재연구회 제3차워크샵. pp. 51-102.
김도균(2017) 광양만권 관광 활성화 방안. 광양만권 미래발전을 위한 대토론회. 여수시·순천시·광양시 상공회의소. pp. 11-63.
김도균(2017) 조경식재, 가뭄극복 대책. (사)한국조경사회, 대한전문건설협회 조경식재공사업협의회. pp. 2-42.
김도균, 김용식(2016) 한반도 식생으로 본 북한 해안림 보전 및 복원 방안. 2016 한반도통일 북한녹화 심포지엄. (사)한국조경학회. pp. 17-70.
김도균(2016) 메도우 식재.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Kim Do-Gyun, Yong-Shig Kim(2015) Study on the actual status and conservation considerations of the coastal forest in Korean Peninsula. International Symposium of Science Museum2015,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ISSM2015 Proceedings(II): 241-243.
Beak Seong-Ju, Do-Gyun Kim, Juseong Kim(2014) Soil Salinity and Salt Spray Drift Tolerate of Native Trees for Ecological Planting in the Suncheon Bay, Jeollanam-do, S. Korea. 2014 Joint International Symposium betwee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and Akita Prefectural University. 67-71.
오구균, 김도균. 2006. 도시비오톱 조성운동의 개념정립과 효율적인 추진방안/(사)생명의숲국민운동
김도균 등. 2007. 순천생태숲조성 기본계획/순천시
주요 설계
김도균(2018) 순천종돈장정원 계획 및 설계. 순천종돈장.
김도균 등. 2005. 조례호수공원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전국현상공모전 최우수상 당선작/순천시
김도균 등. 2005. 생명의 숲길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광양시
김도균 등. 2005. 어촌체험마을기본 및 실시설계/순천시
김도균 등. 2005. 심청전의 원류 원홍장휴게공원 기본계획/곡성군
김도균 등. 2005.새만금생태숲조성사업실시설계/정읍시
김도균 등. 2005. 도시리모델링공사2차실시설계/순천시
김도균 등. 2004. 도시내 소생물서식공간조성 기본계획/광양시
김도균 등. 2005. 이수초등학교조경 기본 및 실시설계/이수초등학교
김도균 등. 2005. 순천 어린이소공원 리모델링 실시설계/순천시
김도균 등. 2004. 도시숲조성공사실시설계/영암국유림사업소
김도균 등. 2004. 도시내소생물서식공간조성기본계획/광양시
김도균 등. 2004. 도초시목해수욕장도서관광마을조성사업실시설계/신안군
김도균 등. 2004. 임자하우리-대광해수욕장도서관광마을조성사업실시설계/신안군
김도균 등. 2004. 채석장사방사업/순천시
김도균 등. 2004. 황룡강생태학습장조성사업실시설계/장성군
김도균 등. 2004. 광천수변휴양지개발 타당성조사용역/순천시
김도균 등. 2004. 순천제일대학캠퍼스조경 기본설계/순천제일대학
김도균 등. 2004. 문화관광권기반정비사업실시설계/순천시
김도균 등. 2003. 나비생태관주변소공원조성 실시설계/함평군
김도균 등. 2003. 상사호주변소공원조성실시설계/순천시
김도균 등. 2003. 광천수변휴양림조성타당성조사/순천시
김도균 등. 2003. 지리산온천관광지공원조성사업실시설계/구례군
김도균 등. 2003. 탐진강어도실시설계/장흥군
김도균 등. 2003. 해남생태공원계획/이상조경(주)
김도균 등. 2003. 백수해안도로쉼터조성 및 편익시설사업실시설계/영광군
김도균 등. 2002. 컨테이너부두 경관림조성 기본계획/광양시
김도균 등. 2002. 보림사 삼림욕장조성사업 실시설계/장흥군
김도균 등. 2002.아크로스 골프장 조경식재 기본설계/아크로스C.C
김도균 등. 1997. 광양제철소 주택단지녹화 재정비 계획/광양제철소 외에 다수
주요 시공 및 유지관리 경력
인천국제공항조경관리/인천국제공항관리공단/현장소장/2001
광양제철소 조경 다수/광양제철소/현장소장/1987∼2001
커뮤니티센타조경공사/광양제철소/현장소장/1999∼2000
김유신장군묘역 산불훼손지 복구공사/경주시/1997
승주골프장개보수공사/(주)승광/현장소장/1996
동호안차폐림조성공사/광양제철소/현장소장/ 1995
백운그린랜드조경공사/광양제철소/현장소장/1994
금당유보공원 조경공사/광양제철소/현장소장/1993
백운대정원조성공사/현장소장/1992
포항제철소 본사사옥조경/포항제철주식회사/1987
영광원자력발전소 조경시공 및 유지관리/영광원자력/1986∼1987
기타 조경시공 및 유지관리 외에 130여건
특허
2020 01 16 (특허 제10-2069259호) 친환경적 빗물저장 식재지반 조성공법
2017 06 09 (특허 제10-1747933호) 이식용 수목의 잔뿌리 촉진매트 및 이를 이용한 수목이식 방법(The method of garden trees for transplanting using mat for root promotion)
2016 09 01 (특허 제10-1747933호) 수생식물 조기 정착을 위한 생태수로 (Canal beside for early settlement of hydrophytes)
2013. 12. 16 (특허 제10-1344073호) 토양 내 염분 오염물질 차단, 수분 양분공급 및 과습 유해가스 배출의 다목적 시스템(The system for blocking salts and pollutants and supplying water into soil)
2013. 06. 05 (특허 제10-1274329호) 가로수 측근 발생 억제 방법(The method for guiding roots)
2013. 03. 04 (특허 제10-1241461) 수목 식재 지반 조성 방법(The method for forming planting soil for roots)
2011. 08. 30 (특허 제10-1062332호) 염분 및 식물 유해 물질 차단을 위한 인공 지반 및 그 조성 방법 (Artificial planting ground for blocking salt and toxic substan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2015. “정원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원 대중화 전략(Popularization Strategy for Promoting Garden Tourism)”, The 6th World Tulip Summit & The 1st International Garden Tourism Conference/ Internationl Garden Tourism Network.
2014. “정원 대중화를 위한 조경의 역할”, 한국원예학회 한국조경학회 공동 심포지움/ 한국원예학회, 한국조경학회.
2019.2 일본 특별천연기념물 녹나무군락의 특성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교신저자, 국내전문학술지)
2018.12한남금북, 금북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구조 특성 (공동저자, 국내전문학술지)
2018.12대둔산도립공원 식생구조 및 생태적 특성-안심사 일대를 중심으로-(공동저자, 국내전문학술지)
2018.2. 조릿대는 왜 평생 한 번 대규모로 꽃을 피우고 죽는가? -조릿대 개화지의 외적 환경인자 분석 및 그 생활사 전략-. 한국환경생태학회(제1저자, 국내전문학술지).
2018.2. A Study on the Effects of Light Conditions on the Longevity and Characteristics of Daphniphyllum macropodum Leaves. J. Fac. Agr., Kyushu Univ. (제1저자, SCI).
2017.8. A Study of the Leaf Phenology and Thermonastic Leaf Movement of Daphniphyllum macropodum. J. Fac. Agr., Kyushu Univ. (제1저자, SCI)
2017.8. Comparison of the Composition, Population Density, and Diversity of the Soil Seed Bank and Standing Vegetation in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s in Korea. J. Fac. Agr., Kyushu Univ. (교신저자, SCI)
2017.4. 차광처리에 따른 애기소엽맥문동의 생장과 피복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교신저자, 국내전문학술지)
2017.2. Evaluation of regeneration potential for an artificial larch forest using light condition, plant species diversity, and plant coverage and biomass of the forest understory. J. Fac. Agr., Kyushu Univ.(제1저자, SCI)
2016.8.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소나무우점군락 특성 -백병산, 칠보산, 백암산, 운주산, 고헌산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교신저자, 국내전문학술지)
2016.8. 왕자귀나무군락의 식생구조 및 입지환경 특성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교신저자, 국내전문학술지)
2016.6.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구조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저자, 국내전문학술지)
2016.6. 태백산도립공원의 사면 및 해발고별 식생구조 변화. 한국환경생태학회지 (공동저자, 국내전문학술지)
2012. 지리산국립공원 조릿대의 입지환경 및 생장특성 분석과 하층식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제1저자, 국내전문학술지)
2011. 일본 규슈지역에서의 조경수로서 상록활엽수의 이용실태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제1저자, 국내전문학술지)
2011.Temporal change of soil animals of the stockpiled forest topsoil in relation to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J. Fac. Agr., Kyushu Univ. (공동저자, SCI)
2010. 매토종자와 현존식생과의 관계. 한국환경생태학회지 (공동저자, 국내전문학술지)
2010. Evalu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water treatment residue for use as a soil substitute compared with decomposed granite soil. Soil Science and Plant Nutrition (제1저자, SCI)
2010. Growth relationship among shoot, branch, crown and stand and disaster mitigation in coastal black pine forest.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of Coastal Forest (공동저자, 국외전문학술지)
2010. Possibility of reusing water treatment residue as a growing medium of turfgrass in view of physical properties. Environment Control in Biology (제1저자, 국외전문학술지)
2010.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water treatment sludge on growth of Lettuce (Lactuca sativa L.) and changes in soil properties. J. Fac. Agr., Kyushu Univ. (공동저자, SCI)
2010.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water treatment residue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growth by using it. J. Fac. Agr., Kyushu Univ. (제1저자, SCI)
2009. Evaluation of water treatment residue as a soil substitute material compared to decomposed granite soil on the growth of greening. Bulletin of Institure Tropical Agricultre Kyushu University. (제1저자, 국외전문학술지)
2009. Physical properties of water treatment residue and their effects on plant growth as a substitute soil. J. Fac. Agr., Kyushu Univ. (제1저자, SCI)
2009. Relationship between forest stand density, leaf surface area, and amount of photosynthesis and transpiration in the coastal black pine. J. Fac. Agr., Kyushu Univ. (공동저자, SCI)
2008. 훼손된 보전지역 관리를 위한 환경복원방안 연구-일본 오가사와라 (小笠原)제도의 이입생물의 피해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공동저자, 국내전문학술지)
2003. 자생수목 그루터기를 이용한 자연식생복원 녹화공법 연구(I).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공동저자, 국내전문학술지)
2015.08. University of Florida, College Ph.D Program of Design, Construction, and Planning 졸업 (계획학박사)
2010.08.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졸업 (조경학석사)
2008.02. 서울시립대학교 건축도시조경학부 조경전공 졸업 (조경학사)
경력
2020.07.-현재 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산림자원·조경학부 조경전공 조교수
2020.03.-2020.07. 가천대학교 조경학과, 한밭대학교 기초융합교육원 강사
2019.09.-2020.02. 인천대학교 디자인학부 강사
2019.03.-2019.08.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강사
2019.01.-2020.07. 아트리움 소장
2018.03.-2019.02.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배재대학교 조경학과 강사
2017.09.-2019.02. 아주대학교 건축학과 강사
2016.09.-2017.02.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강사
2015.12.-2019.01. 그룹이십일 설계부 연구원
2014.09.-2018.08.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강사
2014.09.-2018.02.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강사
담당교과목
조경컴퓨터그래픽
컴퓨터조경디자인스튜디오
도시및단지계획특론
연구실적
저서
김순기 외. 2016. Inheriting the City: Advancing Understandings of Urban Heritage. Ironbridg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Cultural Heritage (ISBN: 9780704428645)
연구논문
2020.03. Process and Method to Set a Mountainous Scenic Site’s Designated Area.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공동저자)
2020.01. Landscaping Trees under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s: Construction Professionals’ Perceptions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Review for Spatial Planning and Sustainable Development (제1저자)
2019.12. 1980년대 뉴욕 센트럴파크 복원운동의 조경문화사적 가치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단독저자)
2019.12. 이용집단에 따른 공원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원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 2018년 한강공원 이용시민 만족도조사의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경관학회지 (제1저자)
2019.05. Tourism Impacts Continuity of World Heritage List Inscription and Sustainable Management of Hahoe Village, Korea: A Case Study of Changes in Tourist Perceptions. Sustainability (단독저자)
2018.12. 도시공원의 필수 설계요소 추출: 2017년 서울시 공원이용 만족도 조사의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조경학회지 (교신저자)
2018.12. 문화경관의 보존을 위한 유형체계의 구성과 적용사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단독저자)
2018.09. 가오별업의 복원 설계를 위한 공간구성 및 정원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교신저자)
2017.12. 문화경관 세계유산으로서의 벽골제의 가치 및 경관 특성 해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1저자)
2017.12. 경관에 투영된 문화적 기억과 상상환경: 제주 대정향교의 ‘삼강오륜목’과 ‘세한도’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교신저자)
2016.12. 관광개발을 위한 도시기반시설로 본 역사경관의 해석 및 활용: 부여팔경을 사례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1저자)
2016.12.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지정기준으로 본 완주 대둔산의 경관자원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공동저자)
2016.06. 정선 구미정사의 성격과 ‘구미18경’의 경관 의미.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제1저자)
2016.03. World Heritage Site Designation Impacts on a Historic Village: A Case Study on Residents’ Perceptions of Hahoe Village (Korea). Sustainability (단독저자)
2015.08. 관학협력을 통한 역사도시경관의 보존, 관리 및 활용 사례연구 ? 미국 플로리다 세인트오거스틴 역사지구. 한국환경과학회지 (단독저자)
2014.12. HerO 프로젝트를 통해 본 세계유산도시 역사경관의 통합적 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단독저자)
2013.12. 미국역사경관조사를 통해 본 문화경관 기록방법의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단독저자)
학술발표
2019.11. 뉴욕 센트럴파크 복원의 조경문화사적 가치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 추계학술대회
2018.11. 역사경관의 보존관리를 위한 유형체계의 구성, 한국환경조경학회연합 추계학술대회
2016.10. The Interpretation and Use of Historic Landscapes as a City’s Infrastructure for Tourism Development in a Historic City: A Case Study on Buyeo Palgyeong, 제15회 한중일국제조경심포지엄2016.04. 명승으로 본 정선 골지천과 구미정사 일원의 조망구조와 ‘구미’의 경관의미, 한국전통조경학회 춘계학술대회
2016.04. Hahoe Village's World Heritage Site Inscription Impacts on Andong City: A Case Study through Tourists' Perceptions and Behaviors, Inheriting the City: Advancing Understandings of Urban Heritage 국제컨퍼런스
2015.11. World Heritage Designation Impact on Tourists: A Case Study on Tourists' Perceptions of Hahoe Village, ICOMOS-IFLA ISCCL 국제심포지엄
박상욱, 오창송(2024) 공공 및 민간 부문 공동주택 식재공사 탄소(CO2) 배출량 분석-건설공사표준품셈의 조경공사 시공량을 기준으로-,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10(2): 101~110.
Oh, C.(2024) Characteristics and Reduction of Carbon Dioxide (CO2) Emissi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Urban Parks in South Korea. Sustainability 16: 3405.
오창송, 심지수(2023) 안전문화에 대한 조경시공기술자들의 인식과 특징,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9(4): 221~233.
오창송, 남진보(2023) 조경시공현장 ‘설계 안전성 검토(DfS)’에 대한 조경설계사의 인식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9(4): 244~254.
박상욱, 오창송(2022) 광주광역시 아파트단지 내 난대상록활엽수 식재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8(2): 92~103.
Oh, C., Sim, J.(2022) Effectiveness of Public Partnerships in Non-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Korea: Seeing through Place-Keeping Theory. Sustainability 14: 4845.
오창송, 김근호(2021) 김현옥 서울시장(1966~1970년)의 공원녹지 정책 경로에서 나타난 하이 모더니즘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49(5): 27~45.
남진보, 오창송(2021) 플레이스 킵핑 개념을 통한 장기적 도서 경관관리의 시사점 ?영국 Isle of Wight 시의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연구 33(1) 247~265.
오창송(2021) 우리나라 민간공원 관련 제도의 변천과 설치 및 관리의 과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2(2): 19~38.
Sim, J., Oh, C.(2020) Using Big Data and Small Data to Understand Linear Parks- Focused on the 606 Trail, USA and Gyeongchun Line Forest,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8(5): 28~41.
오창송, 김영주, 김일억, 김근호(2020) 어촌·어항 재생을 위한 어촌뉴딜 300 사업 설계과정 ?여수시돌산읍죽포항을 대상으로-, 한국도서연구 32(3): 63~84.
Oh,C. (2019) Institutional changes to long-term unexecuted urban parks in South Korea-from 1967 to the present day-,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46, 126447.
오창송, 심지수(2019) 도시공원 내 기존 건축물 제도의 변천 과정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5(10): 115~126.
박지환, 김태구, 오창송(2019) 장소마케팅 개념을 도입한 화양읍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 계획, 25(2): 119~130.
오창송(2019) 민간공원 관련 제도의 변천과 경로의존성 -1967년부터 2005년까지 도시공원 법령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7(2): 133~145.
박지환, 오창송(2018) 농촌지역 활성화를 위한 도시공원의 활용- 구례군 백련제 주변 관광자원화사업을 사례로, 농촌계획 24(3): 105~115.
오창송(2018) 우리나라 도시공원 관련 초기 법률 입안과 「공원법(1967~1980년)」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유보지로서 도시공원에 관한 제도의 문제, 한국조경학회지 46(3): 103~116.
오창송(2015) 권리로서 도시공원의 공ㆍ사익에 관한 법정 판결 연구 - 재산권 및 환경권 판례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16(2): 61~76.
오창송(2015) 조경의 환경윤리에 대한 비판적 해석과 도덕적 위치 - 유진 하그로브의 ‘약한 인간중심주의’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43(2): 105~113.
오창송, 조경진(2002) 폴드 개념을 이용한 환경설계방법 연구 - 도산공원 재설계를 사례로 -, 한국조경학회지 30(2): 5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