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국립순천대학교
입학안내
LOGIN
국어교육과
학과소개
입학안내
학사안내
열린마당
국립순천대학교
지역혁신을 선도하는
글로컬 대학,
세계를 품은
남해안권 거점 대학!
학과소개
소개
전공능력별 맵핑
교수진소개
오시는길
학사안내
학사일정
교과과정
입학조건
졸업조건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열린마당
공지사항
자료실
학부광장
자유게시판
학생회공지
임용시험관련
SEARCH
검색 활성화
통합검색
검색
검색 비활성화
검색 비활성화
전체메뉴
HOME
LOGIN
전체메뉴 닫힘
Eco mover, Glocal SCNU
교수진소개
교수진소개
교수진을 소개합니다.
송복승
교수 (Song, bok-seung)
직급
교수
전공/학위
국어문법론 / 문학박사
전화번호
061-750-3318
이메일
sbs0053@scnu.ac.kr
최현주
교수 (Choi, hyun-ju)
직급
교수
전공/학위
현대소설론(비평) / 문학박사
전화번호
061-750-3319
이메일
narcs04@scnu.ac.kr
더보기
학력
전남대학교(학사, 1991)
전남대학교 대학원(석사, 1993)
전남대학교 대학원(박사, 1999)
주요경력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소장
순천대학교 여순연구소 소장
세부연구분야
한국현대문학, 한국현대소설, 문학교육
주요연구실적
한국현대성장소설의 세계(박이정, 2002)
역설과 해체의 시학(새미, 2003)
탈식민적 관점에서 본 하근찬, 문예연구, 2006
태백산맥의 탈식민성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2006
녹두장군의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연구, 배달말, 2007
탈식민주의 관점에서의 문학교육, 현대문학이론연구, 2008
주체의 회복과 문학의 귀환, 문학들, 2009
애도의 공동체, 문학들, 2020
문학과 삶, 태학사, 2021
닫기
김용찬
교수 (Kim, Yong chan)
직급
교수
전공/학위
한국고전시가 / 문학박사
전화번호
061-750-3316
이메일
chany1@scnu.ac.kr
더보기
학력
고려대학교(문학사, 1988)
고려대학교(문학석사, 1991)
고려대학교(문학박사, 1997)
주요경력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조교
고려대학교 국문과 강사 인천대학교 국문과 강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홍익대학교 국어교육과 강사
한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現)순천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세부연구분야
한국 고전 시가
주요연구실적
학위논문
「사설시조에 나타난 애정형상과 세계관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18세기 가집 편찬과 시조문학의 전개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저서
『18세기의 시조문학과 예술사적 위상』, 도서출판 월인, 1999.
『교주 병와가곡집』, 도서출판 월인, 2001.
『시로 읽는 세상』, 이슈투데이, 2002.
『조선후기 시가문학의 지형도』, 보고사, 2002.
『교주 고장시조선주』, 보고사, 2005.
『조선 후기 시조문학의 지평』, 월인, 2007.
『조선의 영혼을 훔친 노래들』, 인물과사상사, 2008.
『다시, 시로 읽는 세상』, 인물과사상사, 2021
논문
「조선후기 시조에 나타난 소설수용의 양상」, 『어문논집』 제32집, 민족어문학회, 1993.
「 [갑민가]의 주제에 대한 재검토」, 『어문논집』 제33집, 민족어문학회, 1994.
「[청구영언](육당본)의 성격과 시가사적 위상」, 『19세기 시가문학의 탐구』, 집문당, 1995.
「병와 이형상의 [금속행용가곡]에 대하여」, 『고전문학연구』 제10집, 한국고전문학회, 1995.
「[병와가곡집]의 형성 연대에 대한 검토」, 『한국학연구』 제7집,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95.
「조선 후기 가집 연구의 현황과 과제」, 『우리문학연구』 제10집, 우리문학회, 1995.
「[삼설기] 소재 '노처녀가'의 내용 및 구조에 대한 검토」, 『한국가사문학연구』, 태학사, 1996.
「'여항육인'의 작품세계와 18세기 시조사의 일국면」, 『시조학논총』 제12집, 한국시조학회, 1996.
「[청구영언 진본]의 성격과 편찬 의식」, 『어문논집』 제35집, 민족어문학회, 1996.
「김성기와 그의 작품세계에 대한 고찰」, 『한국시가연구』 제2집, 한국시가학회, 1997.
「시조의 연행과 작품의 가집 수록 양상에 대한 고찰」, 『고전문학연구』 제14집, 한국고전문학회, 1998.
「[청구영언 진본]의 작가 및 작품 수록 양상」, 『시조학논총』, 제14집, 한국시조학회, 1999.
「김천택의 삶과 작품 세계」, 『어문논집』 제39집, 민족어문학회, 1999.
「이정보 시조의 작품세계와 의식 지향」, 『우리문학연구』 제12집, 우리문학회, 1999.
「시조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양상과 의미」, 『한국시가연구』 제8집, 한국시가학회, 2000.
「김유기의 작품세계와 18세기 가곡전승의 양상」,『시조학논총』 제17집, 한국시조학회, 2001.
「시조에 구현된 여성적 목소리의 표출 양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4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2. 「한유신의 가창 활동과 작품세계」, 『한민족어문학』, 제40집, 한민족어문학회, 2002.
「[청구영언] 편찬의 의의와 자료적 가치」, 『시학과 언어학』 제15집, 시학과언어학회, 2003.
「위백규 [농가]의 구조와 작품세계」, 『어문논집』 제48집, 민족어문학회, 2003.
「시조에 나타난 음악의 양상과 그 의미의 변주」, 『한국시가연구』 제15집, 한국시가학회, 2004.
「고정옥의 장시조론과 작품 해석의 한 방향」, 『시조학논총』 제22집, 한국시조학회, 2005.
「고정옥의 시조관과 [고장시조선주]」, 『고전문학연구』 제27집, 한국고전문학회, 2005.
「고정옥의 생애와 월북 이전의 저술 활동」, 『한민족어문학』 제46집, 한민족어문학회, 2005.
「사설시조 속의 가족과 그 주변인들」,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11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금옥총부]를 통해 본 안민영의 가악 활동과 가곡 연창의 방식」, 『시조학논총』 제24집, 한국시조학회, 2006.
「안민영 [매화사]의 연창 환경과 작품 세계」, 『어문논집』 제54집, 민족어문학회, 2006.
「안민영과 [승평곡]」, 『시조학논총』 제26집, 한국시조학회, 2007.
「고전시가, 논쟁의 복원을 위하여」, 『민족문학사연구』 제37호, 민족문학사학회, 2008.
닫기
서영진
교수 (Seo, Young-Jin)
직급
교수
전공/학위
국어교육론(화법교육론)/교육학박사
전화번호
061-750-3311
이메일
seoyj@scnu.ac.kr
더보기
학력
부산대학교(학사, 2003)
부산대학교 대학원(교육학 석사, 2007)
부산대학교 대학원(교육학 박사, 2012)
주요경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
한국과학영재학교, 부산남고등학교, 양운고등학교 교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부산대학교 강사
現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세부연구분야
국어교육론, 의사소통교육론, 의사소통론
국어과 교육과정, 국어과 교수,학습 및 평가
주요연구실적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일반 고등학교 교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 2013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국어과 핵심 성취기준 개발, 2013
미래 사회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국어, 2013
교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2014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2015
2014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 및 채점 적용 연구, 2014
2015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 및 채점 체제 개선 방안, 2015
초중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을 위한 평가 체제 개선 연구, 2015
상호 교섭적 논증 교육의 내용 구성 연구, 201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텍스트 선정 및 배열의 타당성 연구, 2010
담화 유형별 위계 설정-2007개정 초중등 국어과 교육과정 듣기,말하기 영역을 중심으로, 2010
'협상'담화 교수학습 방안 연구-호혜적 협상의 기본 요소를 중심으로, 2010
쓰기 교육 내용 조직의 위계성 연구, 2011
고등학생의 말하기 효능감 구인 연구, 2011
고등학생의 토론 효능감 구인 연구, 2011
논증적 상호 교섭 전략으로서 논증 도식 유형에 대한 연구-국어 교과서의 '논증'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바탕으로, 2011
2011개정 '화법과 작문'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설득'범주 교육내용의 재구성을 통한 대안 모색-, 2011
TV토론 담화 분석을 통한 논증 도식 유형화, 2012
작문 화동에서 동료 피드백 의견 유형별 타당도 연구, 2012
작문 활동에서 동료 피드백 의견 유형별 수용도 연구, 2012
국어 교과서 학습 목표 분석-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바탕으로-, 2013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성취 기준'의 진술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13
국어과 교육에서 인성 교육 방법 탐색-자기 성찰적 교수 학습 모형의 설계, 2013
'의사소통 윤리'에 대한 인식 및 교육 현황-설문 조사 및 화법 교육 교재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2014
교과서 토론 담화 텍스트의 적합성 분석-논증 구성 및 상호교섭 양상을 중심으로-, 2014
토론 교육 내용의 계속성과 계열성 연구, 2014
역량 기반 교육과정에서 국어 능력과 핵심 역량의 관계, 2015
역량 기반 교육과정을 대비한 화법 교육 내용 개발 방향 탐색, 2015
국어교육의 역할과 정체성에 대한 국어 교사의 인식 FGI, 2015
국어 교사의 토론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행 양상, 2015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과 과제, 2015
분야별 화법-직장인 대화분석, 2015
닫기
신성철
교수 (Shin, Seongcheol)
직급
부교수
전공/학위
국어음운론(국어사)/문학박사
전화번호
061-750-3312
이메일
korstudy@scnu.ac.kr
더보기
학력
국민대학교(문학사, 1991)
국민대학교(문학 석사, 1993)
국민대학교(문학 박사, 2005)
주요경력
국립국어원 사전편찬실 편수원, 분석요원
(재)한국어세계재단 연구원
가천대학교, 국민대학교, 상명대학교 강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어문생활사연구소 전임연구원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
現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부교수)
세부연구분야
국어음운론, 국어사.
주요연구실적
<정조의 한글편지>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영주어문 39, 2018(제1저자)
ㄹ 두음법칙의 통시적 고찰, 國語學 85, 2018
ㄹ 비음화의 통시적 고찰, 한국언어문학 102, 2017
조선시대 언간 자료의 음운론적 특징, 영주어문 35, 2017
조선시대 한글편지 어휘사전 1-6, 역락, 2016(공저)
조선시대 한글 편지에 나타난 '싶-' 구문의 사적 변화 일고찰 - 발신자의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 97, 2016
대우법 변천과 삼강오륜, 영주어문 32, 2016
근대국어 순행적 유음화 재고, 國語學 73, 2015
近代國語 流音化 再考, 어문연구(語文硏究) 42-2, 2014
발신자의 사회적 성격에 따른19세기 한글 편지의 표기와 음운, 어문론집 57, 2014
현대국어 ‘들-’[食]의 대우 기능과 선택 조건, 언어학 연구 30, 2014
<진성이씨 이동표가 언간>의 국어학적 연구, 藏書閣 30, 2013(공저)
『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표기와 음운, 국어사연구 17, 2013
‘들다’[食]의 형성 과정과 기능-다의화와 주체 높임을 중심으로, 國語學 66, 2013
‘먹다’류 어휘적 대우의 통시적 연구, 國語學 63, 2012
원순모음화 관련 연철?분철 표기의 음운론적 인식 고찰, 언어학 연구 22, 2012
언간 자료와 사전의 표제어, 언어학 연구 18, 2010
『東國新續三綱行實圖』와 방언, 새국어교육 85, 2010
『東國新續三綱行實圖』의 국어사적 고찰, 어문학 107, 2010
옛말 어휘 사전의 의의와 과제-언간 어휘 사전의 체재를 중심으로, 국어문학 48, 2010
『어제백행원(언해)』 이본 간의 국어학적 고찰-장서각 소장 금속활자본 『어제백행원(언해)』과 필사본 ?어졔백행원?을 중심으로-, 藏書閣 22, 2009
격음의 이중 표기와 음성적 특징, 국어문학 45-1, 2008
닫기
이은홍
교수 (Lee, Eun Hong)
직급
조교수
전공/학위
국어교육학(현대시교육)/교육학박사
전화번호
061-750-3315
이메일
leh1201@scnu.ac.kr
더보기
학력
이화여자대학교(문학사, 2010)
이화여자대학교(교육학석사, 2012)
이화여자대학교(교육학박사, 2018)
주요경력
원광대학교 HK+사업단 연구교수
수원대학교 교양학부 객원교수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강사
現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조교수)
세부연구분야
문학교육, 현대시교육, 한국현대시
주요연구실적
조선어문 교과서에 나타난 중국 조선족의 민족 정체성 표상 방식의 변화2007-2011년 판과 2021-2022년 판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76, 2022. (공저)
경계의 감각, 디아스포라의 청각과 목소리-이용악의 디아스포라 형상을 중심으로-, 어문학 155, 2022.
해방 초기 민족 주체 담론에 대한 이용악의 비판적 개입 가능성?이용악이 1945년에 창작한 디아스포라 형상을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22(3), 2021.
신동엽의 맹목 거부의 의미-눈(眼) 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195, 2021
신동엽 시에 나타난 전경인(全耕人)의 지각과 기억, 한국시학연구 66, 2021.
인권 친화적 문화 형성과 현대시 비판적 읽기 교육, 국어교육 171 2020.
노년층을 위한 국어문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요구 조사 분석 연구, 어문학 149, 2020.(공저)
고령친화 소통환경 조성을 위한 비노인 참여자들의 노인 의사소통 문제 인식 조사 ?세대 간 소통, 교육 소통, 의료 소통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86, 2020.(공저)
문예지 신인상 심사평을 통해 본 창작시 평가 활동의 다양성, 문학교육학 68, 2020.
학습자의 창작시에 대한 교사의 문어 피드백 원리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0), 2020.
문학교육에서 생태비평 수용의 의의와 방안, 문학교육학 64, 2019.
학습자 간 문학 반응 공유 양상 연구, 국어교육 165, 2019.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에서의 자기소개서 쓰기의 평가 범주 설정 방안, 교양교육연구 12(5), 2018.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