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Eco mover, Glocal SCNU

나노디그리

나노디그리

지속가능에너지공학


과정소개

  • 에너지·환경 분야의 통합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무 중심의 응용 역량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융합형 공학 인재를 양성함.
  • 산업현장 및 공공부문에서 요구하는 수소에너지, 탄소저감, 산업안전 등의 실무적 기술 역량을 체계적으로 교육함.
  • 에너지·환경 분야의 통합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무 중심의 응용 역량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융합형 공학 인재를 양성함.
  • 산업현장 및 공공부문에서 요구하는 수소에너지, 탄소저감, 산업안전 등의 실무적 기술 역량을 체계적으로 교육함.

과정 편성표(교육과정 편람 참고)

개설
학부·학과·전공
학기 과목코드 교과목명 학점 시간 이수 구분 이수학점
이론 실습

화학공학전공

2

CG0660

산업안전공학

2

2

0

전선

9

화학공학전공

2

CG0870

수소산업과기술

2

2

0

전선

화학공학전공

1

CG2005

전기화학

3

3

0

전선

화학공학전공

2

CG2011

수소에너지

3

3

0

전선

환경공학전공

1

EN2002

기후변화와온실가스관리

3

3

0

전선

교과목 개요

교과목명 교과목 개요 비고

산업안전공학

본 교과목은 산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위험 요소를 사전에 인지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산업안전공학의 기본 원리와 응용 기법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안전공학의 전반적 개념을 바탕으로, 사고의 원인 분석, 위험성 평가, 예방 대책 수립 등 공학적 안전관리 체계의 구성 요소를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 가능한 역량을 배양한다.


수소산업과기술

본 교과목은 수소경제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핵심 공정으로 주목받는 수소 분리 및 정제 기술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응용 능력을 배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현재 산업계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PSA (Pressure Swing Adsorption) 공정의 원리, 구성 요소, 작동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흡착제의 물리적 특성 및 선택 기준 등 기술적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학습한다.


전기화학

본 교과목은 전기화학의 기초 이론부터 다양한 응용 기술까지를 폭넓게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전기화학 반응의 기본 원리, 전극 및 전해질의 특성, 전위-전류 관계 등 전기화학 시스템의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에너지 및 환경 분야에 적용되는 다양한 전기화학 기술을 학습한다.


수소에너지

본 교과목은 청정에너지로 주목받는 수소의 생산 및 활용 기술 전반에 대한 이론과 응용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소 생산 분야에서는 화석연료 개질 기반의 전통적 방식(예: 증기개질, 부분산화)과 물 전기분해 기반의 수전해 기술(예: 알칼라인 수전해, 고분자전해질수전해, 고체산화물수전해)을 비교하며, 각 기술의 원리, 효율성, 환경적 특성에 대해 다룬다.


기후변화와온실가스관리

본 교과목은 기후변화의 발생 원인과 결과에 대해서 학습하고 상기 현상의 원인 물질인 온실가스의 생성 기작 및 배출량 산정 방법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한 기초 지식인 조직 경계(배출원 설정), 운영 경계(온실가스 배출 형태 결정), 온실가스 배출 형태(고정 연소, 공정 배출, 간접 배출 등),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법론(Tier 1~3), 활동 데이터, 배출 계수 등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참여교원

구분 학부·학과·전공 성명 비고

주관학과

화학공학전공

김민수

책임교수

주관학과

화학공학전공

안희성

참여교수

주관학과

화학공학전공

송동훈

참여교수

참여학과

환경공학전공

임성원

참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