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tudy on Mitigating Membrane Degradation in Degrade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through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42, pp. 157~164(2025).
-
Study on accelerated stress test and degradation for open cathode stack i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Journal of Power Sources 624, 235580(2024).
-
Localized degradation analysis of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stack depending on cell position after 2,000 h ope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90, pp.635~645(2024).
-
Advancements in Flexible and Stretchable Electronics for Resistive Hydrogen Sensing: A Comprehensive Review, Sensors, 24(20), 6637(2024).
-
In Situ Analysis of Binder Degradation during Catalyst-Accelerated Stress Test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Materials, 17(17), 4425(2024).
-
Change of Mechanical Properties of e-PTFE Support by Electrochemical Degradation i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41(8), pp.243~2440(2024).
-
Development of Chemical and Mechanical Acceleration Stress Test Method for PEMFC Polymer Membranes,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41(2), pp.545~552(2024).
-
PEMFC 고분자막의 화학적인 열화에 의한 두께 감소 보정이 성능 및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 Korean Chem. Eng. Res., 62(1), pp.1~6(2024).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PEMFC)에서 촉매 지지체 가속 열화 조건 변화의 영향, , Korean Chem. Eng. Res., 62(1), pp.7~12(2024).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SPEEK 막의 어닐링에 의한 화학적 내구성 향상, Journal of Hydrogen and New Energy, 34(6), pp.673~681(2023).
-
고분자연료전지의 화학적/기계적 내구성 평가 시간 단축,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61 (3), pp.362-367 (2023), Korean Chem. Eng. Res., 61(4), pp.517~522(2023).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에서 박막의 화학적 내구성 평가,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61 (3), pp.362-367 (2023).
-
PEMFC 고분자 막의 전기화학적 가속 열화에 미치는 평가조건들의 영향,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61 (3), pp.356-361 (2023).
-
PEMFC 전극촉매 Pt/C와 PtCo/C의 촉매 지지체 열화비교,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61 (3), pp.341-347 (2023).
-
Acceleration of electrolyte membrane degradation by frequent activation in PEMFC electrochemical durability evaluation,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40 (8), pp.2004-2009 (2023).
-
PEM 수전해에서 막과 전극의 내구성에 미치는 구동 온도의 영향,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61 (1), pp.19-25 (2023).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서 고분자막의 화학적 가속 내구 시간 예측,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61 (1), pp.26-31 (2023).
-
후코이단과 탄닌산에 의한 PEMFC 고분자막의 내구성 향상,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61 (1), pp.45-51 (2023).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활성화과정에서 전압 범위 및 활성화 횟수의 영향,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61 (1), pp.58-61 (2023).
-
저생 미생물 연료전지(BMFC)의 성능에 미치는 발효 유기물 첨가 효과, Korean Chem, Eng. Res., 60(4), 486-491 (2022).
-
PEMFC 고분자막의 기계적 가속 내구 평가 과정에서 유입 가스의 영향, Korean Chem, Eng. Res., 60(3), 321-326 (2022).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전극 열화 과정에서 고분자막에 석출된 백금에 관한 연구, Korean Chem, Eng. Res., 60(2), 202-207 (2022).
-
PEMFC 고분자 막의 전기화학적 열화과정에서 OCV 감소 및 회복 거동을 통한 비가역적 열화 연구, Korean Chem, Eng. Res., 60(2), 217-222 (2022).
-
PEMFC 고분자막의 어닐링 온도가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 Korean Chem, Eng. Res., 60(1), 7-11, (2022).
-
Cathode 개방형 고분자연료전지 스택 내구성 평가, Korean Chem, Eng. Res., 12-19 (2022).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에서 고분자 막과 전극의 철 이온 오염 및 산 세척 효과, Korean Chem, Eng. Res., 60(1), 20-24 (2022).
-
담수사용 NaBH4 가수 분해반응에 의한 수소발생, Korean Chem. Eng. Res., 59(4), 503~507 (2021).
-
PEMFC에 사용되는 강화막과 비강화막의 Fenton 반응에 의한 열화비교, Korean Chem. Eng. Res., 59(4), 508~513 (2021).
-
PEMFC 고분자막의 화학적 내구성 평가시간 단축, Korean Chem. Eng. Res., 59(3), 333~338(2021).
-
화학적/기계적 열화 병행방법에 의한 PEMFC 고분자막 내구성 평가, Korean Chem. Eng. Res., 59(3), 339~344 (2021).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열화 분석방법에 의한 PEM 수전해 열화 평가, Korean Chem. Eng. Res., 59(1), 1~5 (2021).
-
PEMFC 고분자막의 Short 저항 및 Shorting에 관한 연구, Korean Chem. Eng. Res., 59(1), 6~10 (2021).
-
PEMF Cathode 산소 조건에서 전극 촉매 내구성 평가, Korean Chem. Eng. Res., 59(1), 11~15 (2021).
-
Cathode 산소 공급 조건에서 고분자막 내구평가 프로토콜의 가습/건조 시간 변화의 영향, Korean Chem. Eng. Res., 59(1), 16~20 (2021).
-
시동/정지반복에 의한 공랭식 고분자연료전지 스택 내구성 평가, Trans. of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ol. 32, No. 5, 315~323 (2021).
-
PEMFC 고분자막의 화학적 내구성 평가를 위한 Fenton 반응 조건에 관한 연구, Korean Chem. Eng. Res., 59(1), 49~53 (2021).
-
PEMFC의 고분자막에서 지지체가 고분자전해질 막 성능 및 전기화학적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 Korean Chem. Eng. Res., 58(4), 524~529 (2020).
-
고분자연료전지에 사용되는 e-PTFE 지지체의 펜톤반응 후 화학적 열화, Korean Chem. Eng. Res., 58(4), 536~540 (2020).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고분자막의 특성 및 성능 비교, Korean Chem. Eng. Res., 58(2), 171~175 (2020).
-
후코이단에 의한 PEMFC 고분자막의 열화 감소, Korean Chem. Eng. Res., 58(1), 59~63 (2020).
-
바닷물을 이용한 NaBH4 가수분해에 의한 수소발생, Korean Chem. Eng. Res., 57(6), 758~762 (2019).
-
Fenton 반응과 OCV Holding에 의한 PEMFC 고분자 전해질 막의 열화비교, Korean Chem. Eng. Res., 57(6), 768~773 (2019).
-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에서 수소투과도 측정법의 비교, Korean Chem. Eng. Res., 57(4), 507~511 (2019).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에서 고분자막을 통한 물의 이동, Korean Chem. Eng. Res., 57(3), 338~344 (2019).
-
정치용 PEMFC MEA의 OCV 유지 방법에 의한 내구 평가, Korean Chem. Eng. Res., 57(3), 344~350 (2019).
-
저생 미생물 연료전지(BMFC)의 구동조건에 따른 성능 변화, Korean Chem. Eng. Res., 57(2), 172~176 (2019).
-
철-크롬 산화환원흐름전지에서 Sulfonated Poly (Ether Ether Ketone)막의 활물질 Crossover, Korean Chem. Eng. Res., 57(1), 17~21 (2019).
-
Decrease in hydrogen crossover through membrane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at the initial stages of an acceleration stress test, Korean J. Chem. Eng., 35(11), 2290-2295 (2018).
-
활성탄 담지 Co-B/C, Co-P-B/C 촉매를 이용한 NaBH4 가수분해 반응, Korean Chem. Eng. Res., 56(5), 641~646 (2018).
-
순수 수소 공급조건에서 정치용 PEMFC MEA와 차량용 MEA 성능비교, Korean Chem. Eng. Res., 56(4), 469~473 (2018).
-
PEMFC 고분자막 내구 평가를 위한 Fenton 반응에서 과산화수소 농도변화에 관한 연구, Korean Chem. Eng. Res., 56(3), 315~319 (2018).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에서 선형주사전압전류측정법(LSV)의 분석방법에 따른 수소투과전류밀도 비교, Korean Chem. Eng. Res., 56(2), 151~155 (2018).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에서 고분자막의 이온전도도에 미치는 전류밀도의 영향, Korean Chem. Eng. Res., 56(1), 1~5 (2018).
-
철-크롬 산화환원흐름전지에서 Nafion막의 철-크롬 Crossover, Korean Chem. Eng. Res., 56(1), 24~28 (2018).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전해질 막 두께가 내구성과 성능에 미치는 영향, Korean Chem. Eng. Res., 55(4), 473~477 (2017).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구동 조건에 따른 MEA 열화 및 배출수 특성, Korean Chem. Eng. Res., 55(4), 478~482 (2017).
-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에서 폴리이미드 강화 sPEEK막 MEA의 내구성, Korean Chem. Eng. Res., 55(3), 296~301 (2017).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성능에 미치는 습도와 플러딩의 영향, Korean Chem. Eng. Res., 55(3), 302~306 (2017).
-
황산/글루코스 용액으로부터 전기투석에 의한 황산 분리, Korean Chem. Eng. Res., 55(1), 7~12 (2017).
-
비담지 촉매를 이용한 NaBH4 가수분해반응에서 부산물의 특성, Korean Chem. Eng. Res., 55(1), 13~18 (2017).
-
고농도 NaBH4 수용액에서 비담지 촉매의 가수분해 반응 특성, Korean Chem. Eng. Res., 54(5), 587~592 (2016).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에서 고분자 막의 이온 전도도, Korean Chem. Eng. Res., 54(5), 593~597 (2016).
-
돼지분뇨와 sPAES막을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의 특성, Korean Chem. Eng. Res., 54(4), 453~458 (2016).
-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에서 sPEEK 막을 이용한 전극과 막합체(MEA)의 열화에 관한 연구, Korean Chem. Eng. Res., 54(3), 305~309 (2016).
-
효소연료전지의 Cathode 제조조건이 OCV에 미치는 영향, Korean Chem. Eng. Res., 54(2), 171~174 (2016).
-
sPEEK 막으로 제조한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 막전극합체(MEA)의 특성, Korean Chem. Eng. Res., 54(2), 181~186 (2016).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스택에서 전해질막의 열화 가속시험, Korean Chem. Eng. Res., 54(1), 6~10 (2016).
-
NaBH4 가수분해 반응에 의한 무인항공기용 PEMFC 수소공급, Korean Chem. Eng. Res., 54(1), 11~15 (2016).
-
효소연료전지의 Anode 제조조건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 Korean Chem. Eng. Res., 53(6), 667~67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