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교수진 소개

HOME 교수진소개교수진 소개
  • 이상석

    이상석교수 (Lee, Sang-Seok)

    직급
    교수
    전공/학위
    지리학/지리학 박사
    전화번호
    061-750-3332
    이메일
    sslee@sunchon.ac.kr

    학력

    •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학사, 1981)
    • 전남 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석사, 1985)
    • 전남 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박사, 1992)

    주요경력

    •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교학부장
    •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학과장 및 대학원 주임교수
    • 순천대 사회교육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 미국 Ohio State University 객원교수
    • 한국경제지리학회 이사
    • 한국지역지리학회 이사
    • 국토지리학회 이사

    연구분야

    • 인문지리학(경제지리학)
    • 지리정보체계(GIS)
    • 지역개발정책

    주요연구실적

    • IS 개론 및 실습(한울아카데미, 1993)
    • 20세기 지구촌의 분쟁과 갈등(푸른길, 1997)
    • 한국지지-전라, 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04)
    • ICT 활용을 위한 웹자료 개발의 이론과 실제(교우사, 2005)
    • 전남인적자원개발을 위한 발전전략 (전남 RHRD센터, 2008)
    • 한국 자동차산업의 생산조직 및 기술과 입지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1992)
    • 지역사회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수행 연구: POSCO 광양제철소를 사례로(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07)
    • 사회과 수업에서 집단탐구 협동학습 방법이 중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07)
    •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지리학연구, 2007)
    • 전남 권역별 발전 프로젝트 개발 (연구보고서, 2006)
    • 광주 전남 공동 혁신도시 입지선정 연구 (연구보고서, 2005)
    • 기업의 지역사회 공헌활동에 관한 경제지리학적 논의(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01)
    • 대기업의 비이윤 동기 활동으로서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순천대 논문집, 2000)
    • 여수시 생활환경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지리학연구, 2000)
  • 장상수

    장상수교수 (Chang, Sang-Soo)

    직급
    교수
    전공/학위
    사회학/사회학 박사
    전화번호
    061-750-3335
    이메일
    sangsoo.chang@gmail.com

    학력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문학박사)
    •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문학사)

    주요경력

    • 순천대학교 교수

    연구분야

    • 사회계층 및 이동
    • 교육사회학

    주요연구실적

    논문
    • 1998. "한국사회의 계급이동," 한국사회학, 32: 367-93
    • 1999. "한국사회의 교육수준별 혼인유형과 그 변화." 한국사회학, 33:418-48.
    • 1999. "학력이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 학교에서 첫 계급으로의 이행." 한국사회학, 33: 751-87
    • 2000. "교육기회의 불평등: 가족배경이 학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34: 671-708
    • 2003."세대내 계급이동." 한국사회학, 37:21-49.
    • 2004."학력성취의 계급별, 성별 차이." 한국사회학, 38:51-75.
    • 2006. "여성의 고등교육 이수기회: 누가 왜 딸을 대학에 보냈는가?" 한국사회학, 40:127-156.
    • 2007. "가족배경과 고등학교 계열 선택." 한국사회학, 41: 118-146.
    • 2008a. "가족배경, 문화자본, 성적." 한국사회학, 42: 63-85.
    • 2008b. "청년층의 학교-직장 이행." 한국사회학, 42: 106-139.
    • 2014. "가족배경과 학습시간, 성적: 국제 비교의 관점에서 본 한국." 한국청소년연구, 25: 291-318.
    • 2015. "한국의 교육과 사회이동: 남성과 여성의 차이." 여성연구, 88: 491-541.
    • 2016. "벌어지는 틈새: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 성적에 미치는 영향의 증가." 한국사회학, 50: 107-140.
    저서 
    • 2019. 수치분석과 시뮬레이션: R 프로그래밍. 느린생각.
    • 2020. 사회학입문. 그린.
    • 2023. STATA 프로그래밍. 이담북스.
  • 이윤호

    이윤호교수 (Lee, Yun-Ho)

    직급
    교수
    전공/학위
    경제학/경제학 박사
    전화번호
    061-750-3336
    이메일
    yunholee@sunchon.ac.kr

    학력

    • 서울대학교(문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경제학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경제학박사)

    주요경력

    • 한국신용평가주식회사 책임연구원 (기업평가실장, 사업전략팀장, 노동조합위원장)
    • 서울대학교 강사
    • 순천대학교 교수(1997-현재)
    • 참여연대 정책위원, 참여사회연구소 연구원
    •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Pacific Studies, Visiting Scholar
    •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경제1분과 자문위원
    • 한국경제교육학회 학술이사(<경제교육연구지>편집위원장)
    • 순천대학교 기획처장
    • University of Arkansas, Fayetteville, Department of Economics, Sam M. Walton College of Business, Visiting Researcher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회장
    • 한국경제교육학회 회장
    • 한국금융경제교육연구소 소장(현재)
    • 기획재정부 경제교육관리위원회 위원(2020-현재)

    연구분야

    • 경제금융교육
    • 재무경제학

    주요연구실적

    저서
    • <차세대 고등학교 경제>(2014), 프리이코노미스쿨
    • <윤리와 경제학의 딜레마>(역서, 2012), 이학사
    • <재벌의 재무구조와 자금조달>(2005), 나남출판
    • <한국경제,재생의 길은 있는가>(2002),당대출판
    논문
    • 금융교육 국가전략의 수립과 실행(2021), <경제교육연구>.
    • 호모 에코노미쿠스 대 사회적 선호와 공평성: 학교 경제교육 비판(2021), <시민교육연구>.
    • 코어경제, 표준경제학과의 비교(2020),<경제교육연구>.
    • 금융이해력 자기과신의 추정과 판별(2020),<소비자학연구>.
    • 대학생의 금융이해력 과신(2018),<시민교육연구>.
    • 마이너스 금리의 이해(2016),<경제교육연구>.
    •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금융 이해력 비교 분석(2015),<경제교육연구>.
    • 객관적 금융이해력과 주관적 금융이해력의 설명변수 체계의 실증적 비교 분석(2015), <소비자학연구>.
    • 저축 동기의 위계구조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2011), <소비자학연구>.
    • 사이버 머니 도토리의 화폐성 및 화폐적 발전 전망(2009), <경제학연구>.
    • 자녀 용돈과 연성 예산제약(2007), <경제학연구>.
    • 비대칭정보 자본시장에서 기업의 평판과 배당신호정책(2002), <경제학연구>.
    • A Model of Lemon Premium, Borrowing Constraint, and Corporate Fixed Investment under Information Asymmetry(2002), IR/PS Working Paper No. 02-01,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 이정우

    이정우교수 (Lee, Jung-Woo)

    직급
    부교수
    전공/학위
    일반사회교육/교육학 박사
    전화번호
    061-750-3337
    이메일
    jwlee17@scnu.ac.kr

    학력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졸업(문학사, 1999)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대학원 졸업(교육학 석사, 2001)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대학원 졸업(교육학 박사, 2006)

    주요경력

    • 은행고등학교 교사(2002-2004)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조교(2004-2007)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2007-2017)
    • 순천대학교 교수(2017~)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연구이사
    • 한국법교육학회 이사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편집위원
    • 이화여자대학교 겸임교수

    연구분야

    • 다문화교육/세계시민교육
    • 사회문화교육
    • 사회과 교육과정 및 평가

    주요연구실적

    논문
    • 초등학생들의 사회 교과서 어휘에 대한 이해도 (시민교육연구, 2007)
    • 초등 사회 교과서 국제 비교 연구: 정치 관련 부분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2007)
    • 다양성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태도: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의 비교 (사회과교육, 2008)
    • 학생들의 사회과에 대한 태도와 사회 수업 평가 (시민교육연구, 2009)
    •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문화 과목의 답지 반응에서 발견되는 오개념 경향 연구 (사회과교육,2009)
    • 사회·문화 선다형 평가 문항 분석 (사회과교육연구, 2009)
    •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 연구(시민교육연구, 2010)
    •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문화' 문항 분석 (사회과교육, 2011)
    • 중국 대학입학시험 '정치' 문항 분석 연구 (시민교육연구, 2011)
    • 일본 대학입시센터시험 문항 분석 연구(사회과교육, 2011)
    • 청소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2012)
    • 청소년 미디어교육을 위한 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 -사회과 교과서의 대중매체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2012)
    •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다문화사회 관련 단원 내용 분석 (청소년문화포럼, 2012)
    • 사회과 평가 문항 개발의 기본 방향 탐색 (사회과교육, 2013)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학생의 사회과 학업성취도 특성 (시민교육연구, 2013)
    • 중학생의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일반사회 영역 학업성취 특성(시민교육연구, 2015)
    • Exploring Korean, Indonesian, and Thai Secondary Students’ Global Citizenship Through Their Voices (시민교육연구,2015)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서술형 문항에 대한 응답 경향을 통해 살펴 본 중학생의 사회과 법 영역 성취 특성 (교육연구, 2016)
    • 사회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6차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2017)
    • 사회과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과 실천 현황: 공동체 역량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2017)
    • 2009와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요소 비교 분석 (시민교육연구, 2017)
  • 김성조

    김성조교수 (Kim, Seong-Jo)

    직급
    조교수
    전공/학위
    정치학/정치학 박사
    전화번호
    061-750-3338
    이메일
    sjkim99@scnu.ac.kr

    학력

    • 영국 University of Sheffield (정치학박사, 2017)
    • 영국 University of Warwick (국제정치학석사, 2012)
    • 서울대학교 대학원(정치학석사, 2009)
    • 고려대학교 (문학사·정치학사, 2007)

    주요경력

    • 순천대 사회교육과 조교수(2019∼)
    • 서울대, 고려대, 국민대, 인하대, 금강대 시간강사(2017∼8)
    • 숭실대 초빙교수 (2018)
    • 현대일본학회 총무이사 (2018)
    • 한국정당학회 사무국장 (2017)
    • 서울대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 (2017∼8)
    • 삼성테크윈 경영혁신팀 근무 (2009∼11)

    연구분야

    • 비교정치
    • 공공정책
    • 한국정치 및 일본정치

    주요연구실적

    논문
    • 2018. “개헌의 정치적 동학과 ‘합의형’ 및 ‘일방형’의 두 패턴: 2000년 프랑스와 1993년 러시아 사례를 중심으로” <동서연구> (공저)
    • 2018. “선거권위주의형 패권정당의 두 유형: 멕시코 제도혁명당과 러시아 단합러시아당 사례 비교” <지역과 세계> (공저)
    • 2018. “일본의 연금개혁과 정당정치: 2004년 연금개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 2018. “대통령제화와 자민당 정치의 변용: 고이즈미와 아베 시기의 비교” <일본공간>
    • 2018. “국내서평: 선거와 복지국가” <의정연구>
    • 2018. “복지정책에 대한 자본의 입장의 정치사회학적 구성: 1977년 의료보험 실시 과정을 중심으로.” <미래정치연구> (공저)
    • 2017. “1990년대 이후 일본 의료정책 네트워크의 변화와 정책 변동” <국정관리연구>
    • 2017. “일본 고령자 의료보험 실시의 정치적 동학” <한국정치연구>
      저서
    • 2018. 지방분권과 균형발전 정치학자들의 관찰. 푸른길. (공저)

명예교수

맨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