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Eco mover, Glocal SCNU

교수진 소개

교수진 소개

  • 이정우

    이정우교수 (Lee, Jung-Woo)

    직급
    부교수
    전공/학위
    일반사회교육/교육학 박사
    전화번호
    061-750-3337
    이메일
    jwlee17@scnu.ac.kr

    학력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졸업(문학사, 1999)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대학원 졸업(교육학 석사, 2001)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대학원 졸업(교육학 박사, 2006)

    주요경력

    • 은행고등학교 교사(2002-2004)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조교(2004-2007)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2007-2017)
    • 순천대학교 교수(2017~)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연구이사
    • 한국법교육학회 이사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편집위원
    • 학술지 시민교육연구 편집위원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편집이사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이사
    • 한국열린교육학회 이사
    •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자문위원
    • 국가교육과정위원회 교육과정모니터링단
    • 교육부 교육과정심의위원
    • 이화여자대학교 (전)겸임교수

    연구분야

    • 다문화교육/세계시민교육
    • 사회문화교육
    • 사회과 교육과정 및 평가

    주요연구실적

    논문
    • Presence of social minorities in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in the post-democratic era in South Korea(Cogent Education, 2024)
    • 사회과 자동문항생성을 위한 대규모 언어모델의 활용 가능성 탐색(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4)
    • 2022 개정 '사회와 문화' 교육과저으이 개발 과정과 쟁점(시민교육연구, 2024)
    •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의 사회적 소수자 관련 수업 실태 (현장수업연구, 2024)
    • 2022 개정 ‘사회문제 탐구’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과 특징 (현장수업연구, 2023)
    • 중국 초·중등학교 법 영역 교육과정의 특징과 시사점 -‘도덕과 법치’, ‘사상정치’ 과목을 중심으로- (법교육연구, 2022)
    • 교육대학원의 교원 양성체제에 대한 교원과 교육대학원생의 인식 (현장수업연구, 2022)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중학교 ‘사회’를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교육연구, 2021)
    • 뉴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제안 (시민교육연구, 2021)
    • 사회과 예비교사 대상 뉴스 리터러시 교육과 그 효과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 2021)
    •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사범대학생의 인식과 대응: 사회교육과와 컴퓨터교육과 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현장수업연구, 2021)
    • 세계시민교육의 현황과 사회과교육의 과제 (사회과교육의 이론과 실제, 2020)
    • 스웨덴 사회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시사점 (사회과교육연구, 2019)
    •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사회과교육, 2019)
    • 영국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선방향 탐색 (교육문화연구, 2019)
    • 뉴질랜드 사회과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와 성취기준 특성 분석 (교육연구, 2019)
    • 사회과 사회·문화 영역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연구 - 2015 개정 고등학교 ‘사회·문화’ 과목과 미국 고등학교 ‘사회학’ 과목을 중심으로 - (시민교육연구, 2019)
    •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과목 운영 실태 조사 연구 (교사교육연구, 2019)
    • 싱가포르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시사점 탐색 (중등교육연구, 2019)
    • ‘통합사회’ 교과서의 다문화 관련 단원 비교 분석: 통합의 양상과 자료 및 학습 활동의 특징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018)
    • 2015 개정 ‘통합사회’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통합적 사고력’ 명시 활동에 구현된 통합의 양상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2018)
    •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공동체 역량 의미와 하위요소 탐색 (시민교육연구, 2017)
    • 2009와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요소 비교 분석 (시민교육연구, 2017)
    • 사회과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과 실천 현황: 공동체 역량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2017)
    • 사회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 제6차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 2017)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서술형 문항에 대한 응답 경향을 통해 살펴 본 중학생의 사회과 법 영역 성취 특성 (교육연구, 2016)
    • Exploring Korean, Indonesian, and Thai Secondary Students’Global Citizenship Through Their Voices (비교교육연구, 2015)
    • 중학생의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일반사회 영역 학업성취 특성 - 2012~201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 (시민교육연구, 2015)
    • 2009와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요소 비교 분석 (시민교육연구, 2017)
    • 사회과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과 실천 현황: 공동체 역량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2017)
    • 사회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6차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를 중심으로 (교육연구, 2017)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서술형 문항에 대한 응답 경향을 통해 살펴 본 중학생의 사회과 법 영역 성취 특성 (교육연구, 2016)
    • Exploring Korean, Indonesian, and Thai Secondary Students’ Global Citizenship Through Their Voices (시민교육연구,2015)
    • 중학생의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일반사회 영역 학업성취 특성(시민교육연구, 2015)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통해 본 다문화 가정 학생의 사회과 학업성취도 특성 (시민교육연구, 2013)
    • 사회과 평가 문항 개발의 기본 방향 탐색 (사회과교육, 2013)
    •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다문화사회 관련 단원 내용 분석 (청소년문화포럼, 2012)
    • 청소년 미디어교육을 위한 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 -사회과 교과서의 대중매체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2012)
    • 청소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2012)
    • 일본 대학입시센터시험 문항 분석 연구(사회과교육, 2011)
    • 중국 대학입학시험 '정치' 문항 분석 연구 (시민교육연구, 2011)
    •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문화' 문항 분석 (사회과교육, 2011)
    •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 연구(시민교육연구, 2010)
    • 사회·문화 선다형 평가 문항 분석 (사회과교육연구, 2009)
    •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문화 과목의 답지 반응에서 발견되는 오개념 경향 연구 (사회과교육,2009)
    • 학생들의 사회과에 대한 태도와 사회 수업 평가 (시민교육연구, 2009)
    • 다양성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태도: 다문화 가정과 일반 가정의 비교 (사회과교육, 2008)
    • 초등 사회 교과서 국제 비교 연구: 정치 관련 부분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2007)
    • 초등학생들의 사회 교과서 어휘에 대한 이해도 (시민교육연구, 2007)
  • 옹진환교수 (Ong, Jin-Hwan)

    직급
    조교수
    전공/학위
    일반사회교육/교육학 박사
    전화번호
    061-750-3338
    이메일
    ong050@scnu.ac.kr

    학력

    • 서울대학교 졸업(문학사, 2005)
    •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교육학 석사, 2007)
    •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교육학 박사, 2018)

    주요경력

    • 면목중학교 교사(2006-2014)
    • 가원중학교 교사(2014-2019)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부연구위원(2019-2024)
    • 순천대학교 교수(2024~)

    연구분야

    • 정치교육, 민주주의 교육

    주요연구실적

    논문
    • 논쟁문제 수업에서 교사 의견 표명의 정당성 탐색 - 켈리에 대한 오해와 이해를 넘어서 -(시민교육연구, 2012)
    • 노동인권교육의 원칙 및 내용체계에 관한 기초 연구(시민교육연구, 2019)
    • ‘가치성찰’ 교육을 위한 ‘가치사실’ 중심 접근(시민교육연구, 2019)
    • 사회과 정치교육에서 ‘평등’ 내용의 내실화 방안 연구(사회과교육, 2019)
    • 정체성 존중을 위한 사회과 다문화교육의 방향 고찰: ‘문화의 자유’를 중심으로(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2022)
    • 사회과에서는 가치명료화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 가치명료화의 한계에 대한 재검토 - (시민교육연구, 2023)
    • 사회과 민주주의 내용의 내실화 방안 - 사회과에서는 아테네 민주정치를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 (시민교육연구, 2023)
    • 학교 시민교육의 개념 및 원칙 - 사회적 갈등의 교육적 수용을 위한 시민교육의 방향 -(시민교육연구, 2024)
    저서 
    • 베버(역서)(씨아이알, 2013)
    • 논쟁하는 정치교과서1(공저)(신인문사, 2015)
    • 논쟁하는 정치교과서2(공저)(신인문사, 2016)
    • 시민교육은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 정의와 조화를 위한 교육과정(공역)(역사비평사, 2023

  • 김성미교수 (Kim, Sung-Mi)

    직급
    조교수
    전공/학위
    법학/법학박사
    전화번호
    061-750-3335
    이메일
    kimsm04@scnu.ac.kr

    학력

    • 한국항공대학교(법학사, 2005)
    • 경희대학교 대학원(법학석사, 2007)
    • Ludwig-Maximilians-University Munich 대학원(법학박사, 2016)

    주요경력

    •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2018)
    •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교통물류학부/항공경영대학원 강사(2016-2023)
    • 아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전임연구원/연구조교수(2022~2024)
    • 순천대학교 교수(2025~)
    •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편집이사(2023~)
    • 한국집합건물법학회 국제이사(2025~)
    • 한국교통연구원 소명검토위원회 외부위원(2022~)
    • 국토교통부 행정처분심의 위원(2024~)

    연구분야

    • 민사법
    • 고령, 장애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한 법제
    • 법교육

    주요연구실적

    논문
    • 위자료 산정요소에 관한 고찰 -장애인차별금지법 제46조를 중심으로-(재산법연구, 2024)
    • 행위능력과 의사능력 개념에 관한 재고찰 -독일민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서울법학, 2024)
    • 분양형 실버타운 관리에 관한 노인복지법과 공동주택관리법의 쟁점(집합건물법학, 2024)
    • 독일 민법의 상대적 유언능력에 관한 고찰(가족법연구, 2024)
    • 고령자 법교육 관련 법제 개선 방안해외 주요국 사례 분석과 전문가 의견 조사(사회과교육, 2024)
    • 의사능력과 유언능력에 관한 재고찰 -대법원 2022. 12. 1. 선고 2022261237 판결-(재산법연구, 2023)
    • 고령자 법교육 내용 구성을 위한 요구도 조사: IPA 분석 및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을 중심으로(사회과교육, 2023)
    • 노인소비자 보호를 위한 중소기업의 배리어프리 정책에 관한 고려(아주법학, 2023)
    • 임대인의 실거주와 임차인의 갱신요구권에 관한 재고찰 -고령 임차인 보호와 독일 민법의 이의제기권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재산법연구, 2023)
    • 의사능력 유무의 판단기준 -대상판결대법원 2022. 5. 26. 선고 2019213344 판결-(경찰법연구, 2023)
    • 독일의 노인 등 주거약자를 위한 주택개조 청구에 관한 국내 시사점(집합건물법학, 2023)
    • 노인의 생활체육 증진을 위한 법정책적 시사점 -독일의 예방법(Pr?vG)을 바탕으로 한 법정책을 중심으로-(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2023)
    • 노인의 주거복지를 위한 독일의 주거요양계약법(WBVG)’에 관한 법제 연구(토지법학, 2022)전기자동차 충전기자동차 충전시설에 관한 독일주거소유권법 상의 쟁점(집합건물법학, 2022)
    • 항공운송에 있어 고령자 및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이동권 보호에 관한 고찰 (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2022)
    • UAM 도입에 따른 항공사업법 개정에 관한 법적 고찰(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2021)
    • 민법 제758조 공작물’ 범위에 관한 재고찰(재산법연구, 2021)
    • 집합건물의 효율적인 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20년 개정 독일 주거소유권법과 비교하여-(사법, 2021)
    • 현행 항공안전법상 항공기 개념에 대한 고찰(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2021)
    • 드론 운영에 관한 새로운 유럽규칙에 관한 논의 -제조자와 운용자 책임을 중심으로-(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2020)
    • 여객운송 불이행에 관한 민법 상 채무불이행 책임과 계약체결상의 과실책임 법리에 관한 재검토 -항공여객운송계약에 있어 항공권 초과판매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2020)
    • 카메라 장착 드론에 대한 지상 제3자의 법익 보호 -독일의 하급심 판결을 중심으로-(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2020)
    •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에 따른 책임귀속의 문제점과 불법행위법의 한계(민사법학, 2019)
    • 소형드론 운항자에 대한 동물점유자책임 유추해석의 가능성(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2019)
    • 현행 법률상 비사업용 소형무인비행장치신고 및 식별표시의무 강화 규정 도입의 필요성(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2019)
    • 드론의 현행 법적 정의와 상업적 운용에 따른 문제점(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2018)
    • 세계 무인항공기 운용 관련 규제 분석과 시사점 -ICAO, 미국독일호주를 중심으로-(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2017)
    • 항공기운항자의 제3자 책임에 관한 면책사유로서의 불가항력 조항에 관한 고찰 -독일 항공법상의 해석을 중심으로-(항공우주정책 ·법학회지, 2016)

  • 황선호교수 (Hwang, Sun Ho)

    직급
    조교수
    전공/학위
    경제학/경제학 박사
    전화번호
    061-750-3336
    이메일
    sunho3137@scnu.ac.kr

    학력

    • 인하대학교 사회교육과/수학교육과 졸업(문학사/이학사, 2011)
    • 서강대학교 대학원 졸업(경제학 석사, 2013)
    • 서강대학교 대학원 졸업(경제학 박사, 2018)

    주요경력

    • 서강대학교 대우교수(2018)
    •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BK21플러스 박사후연구원(2019-2020)
    • 국민연금연구원 부연구위원(2020-2025)
    • 순천대학교 교수(2025-)

    연구분야

    • International Macroeconomics and Finance
    • Applied Macroeconomics
    • Panel Time Series Econometrics
    • Pension System
    • Economics Education

    주요연구실적

    논문
    ▷ SSCI-listed Journal
    • Sources of emerging market business cycles: an open-economy factor-augmented VAR approach (with Dohyoung Kwon), Applied Economics Letters, 31(12), 1129-1135, 2024
    • International output synchronization at different frequencies (with Yun Jung Kim), Economic Modelling, 104, 105627, 2021
    • Capital mobility in OECD countries: A multi-level factor approach to saving?investment correlations (with Yun Jung Kim), Economic Modelling, 69, 150-159, 2018
    • Market competition and threshold efficiency in the sports industry (with Young Hoon Lee and Hayley Jang), Journal of Sports Economics, 16(8), 853-870, 2015
    ▷ KCI-listed Journal
    • 연계성 지수를 이용한 대외 경제 불확실성이 국내 경제 불확실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with 권상욱), 응용통계연구, 37(4), 509-523, 2024
    • 경제지식 취득경로에 따른 경제이해력의 차이에 관한 연구 (with 김성희), 시민교육연구, 56(4), 167-189, 2024
    • 고령층 소득의 비선형적 지속성 분석 (단독),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5(4), 1351-1362, 2023
    • 경제 수학: 고등학교-대학 교육 간 연계성 검토 (단독), 교과교육학연구, 27(1), 150-161, 2023
    • 경제전망보고서를 이용한 경기변동 교육 (단독), 경제교육연구, 29(3), 81-106, 2022
    • 경제정책 불확실성과 주택가격 변동률 간 연계성 분석 (with 김지연, 이한식), 부동산학연구, 26(1), 7-24, 2020
명예교수
  • IMG_092841.png

    이상석교수 (Lee, Sang-Seok)

    직급
    명예교수
    전공/학위
    지리학/지리학 박사
    이메일
    sslee@scnu.ac.kr

    학력

    •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학사, 1981)
    • 전남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석사, 1985)
    • 전남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박사, 1992)

    주요경력

    •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교학부장
    •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학과장 및 대학원 주임교수
    • 순천대 사회교육과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 미국 Ohio State University 객원교수
    • 한국경제지리학회 이사
    • 한국지역지리학회 이사
    • 국토지리학회 이사

    연구분야

    • 인문지리학(경제지리학)
    • 지리정보체계(GIS)
    • 지역개발정책

    주요연구실적

    • IS 개론 및 실습(한울아카데미, 1993)
    • 20세기 지구촌의 분쟁과 갈등(푸른길, 1997)
    • 한국지지-전라, 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04)
    • ICT 활용을 위한 웹자료 개발의 이론과 실제(교우사, 2005)
    • 전남인적자원개발을 위한 발전전략 (전남 RHRD센터, 2008)
    • 한국 자동차산업의 생산조직 및 기술과 입지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1992)
    • 지역사회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수행 연구: POSCO 광양제철소를 사례로(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07)
    • 사회과 수업에서 집단탐구 협동학습 방법이 중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07)
    •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지리학연구, 2007)
    • 전남 권역별 발전 프로젝트 개발 (연구보고서, 2006)
    • 광주 전남 공동 혁신도시 입지선정 연구 (연구보고서, 2005)
    • 기업의 지역사회 공헌활동에 관한 경제지리학적 논의(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01)
    • 대기업의 비이윤 동기 활동으로서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순천대 논문집, 2000)
    • 여수시 생활환경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지리학연구, 2000)
  • 이윤호

    이윤호교수 (Lee, Yun-Ho)

    직급
    명예교수
    전공/학위
    경제학/경제학 박사
    이메일
    yunholee@scnu.ac.kr

    학력

    • 서울대학교(문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경제학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경제학박사)

    주요경력

    • 한국신용평가주식회사 책임연구원 (기업평가실장, 사업전략팀장, 노동조합위원장)
    • 서울대학교 강사
    • 순천대학교 교수(1997-2024)
    • 참여연대 정책위원, 참여사회연구소 연구원
    •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Pacific Studies, Visiting Scholar
    • 한국경제교육학회 학술이사(<경제교육연구지>편집위원장)
    • 순천대학교 기획처장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회장
    • 한국경제교육학회 회장
    • 한국금융경제교육연구소 소장
    • 기획재정부 경제교육관리위원회 위원(2020-2024)

    연구분야

    • 경제금융교육
    • 재무경제학

    주요연구실적

      논문
      • <고등학교 금융과 경제생활>(2024), 교학사
      • <차세대 고등학교 경제>(2014), 프리이코노미스쿨
      • <윤리와 경제학의 딜레마>(역서, 2012), 이학사
      • <재벌의 재무구조와 자금조달>(2005), 나남출판
      • <한국경제,재생의 길은 있는가>(2002),당대출판
      저서 
      •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Literacy Misestimation and Misplac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Inverse Differential Information and Stock Market Participation(2024),  <International Journal of Financial Studies,12(3)>
      • 금융교육 국가전략의 수립과 실행(2021), <경제교육연구>.
      • 호모 에코노미쿠스 대 사회적 선호와 공평성: 학교 경제교육 비판(2021), <시민교육연구>.
      • 코어경제, 표준경제학과의 비교(2020),<경제교육연구>.
      • 금융이해력 자기과신의 추정과 판별(2020),<소비자학연구>.
      • 대학생의 금융이해력 과신(2018),<시민교육연구>.
      • 마이너스 금리의 이해(2016),<경제교육연구>.
      •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금융 이해력 비교 분석(2015),<경제교육연구>.
      • 객관적 금융이해력과 주관적 금융이해력의 설명변수 체계의 실증적 비교 분석(2015), <소비자학연구>.
      • 저축 동기의 위계구조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2011), <소비자학연구>.
      • 사이버 머니 도토리의 화폐성 및 화폐적 발전 전망(2009), <경제학연구>.
      • 자녀 용돈과 연성 예산제약(2007), <경제학연구>.
      • 비대칭정보 자본시장에서 기업의 평판과 배당신호정책(2002), <경제학연구>.
      • A Model of Lemon Premium, Borrowing Constraint, and Corporate Fixed Investment under Information Asymmetry(2002), IR/PS Working Paper No. 02-01,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 장상수교수 (Chang, Sang-soo)

    직급
    명예교수
    전공/학위
    사회학/문학 박사
    이메일
    sangsoo.chang@gmail.com

    학력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문학박사)

    주요경력

    • 순천대학교 교수

    연구분야

    • 사회계층과 이동
    • 교육사회학

    주요연구실적

      논문
      • 2001. 한국의 사회이동. 서울대학교 출판부.
      • 2009. 교육과 사회이동. 그린
      • 2019. 수치분석과 시뮬레이션: R 프로그래밍. 느린생각.
      • 2023. Stata 프로그래밍, 개정판. 이담북스.
      • 2024. 사회학 입문, 개정판. 그린.
      저서 
      • 1998. "한국사회의 계급이동," 한국사회학, 32: 367-93
      • 1999. "한국사회의 교육수준별 혼인유형과 그 변화." 한국사회학, 33:418-48.
      • 1999. "학력이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 학교에서 첫 계급으로의 이행." 한국사회학, 33: 751-87
      • 2000. "교육기회의 불평등: 가족배경이 학력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34: 671-708
      • 2003."세대내 계급이동." 한국사회학, 37:21-49.
      • 2004."학력성취의 계급별, 성별 차이." 한국사회학, 38:51-75.
      • 2006. "여성의 고등교육 이수기회: 누가 왜 딸을 대학에 보냈는가?" 한국사회학, 40:127-156.
      • 2007. "가족배경과 고등학교 계열 선택." 한국사회학, 41: 118-146.
      • 2008a. "가족배경, 문화자본, 성적." 한국사회학, 42: 63-85.
      • 2008b. "청년층의 학교-직장 이행." 한국사회학, 42: 106-139.
      • 2014. "가족배경과 학습시간, 성적: 국제 비교의 관점에서 본 한국." 한국청소년연구, 25: 291-318.
      • 2015. "한국의 교육과 사회이동: 남성과 여성의 차이." 여성연구, 88: 491-541.
      • 2016. "벌어지는 틈새: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 성적에 미치는 영향의 증가." 한국사회학, 50: 107-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