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국립순천대학교
입학안내
LOGIN
수학교육과
학과소개
입학안내
학사안내
열린마당
국립순천대학교
지역혁신을 선도하는
글로컬 대학,
세계를 품은
남해안권 거점 대학!
학과소개
소개
연혁
전공능력별 맵핑
교수진소개
전임교수
명예교수
오시는길
학사안내
학사일정
교과과정
입학조건
졸업조건
교육대학원
일반대학원
열린마당
공지사항
입학관련Q&A
자유게시판
동영상게시판
자료실
2025 수학놀이터
2024 수학놀이터
2023 수학놀이터
2022 수학놀이터
2021 수학놀이터
2020 수학놀이터
~2019 수학놀이터
사진첩
학부광장
학생회공지
임용시험관련
SEARCH
검색 활성화
통합검색
검색
검색 비활성화
검색 비활성화
전체메뉴
HOME
LOGIN
전체메뉴 닫힘
Eco mover, Glocal SCNU
전임교수
전임교수
교수진을 소개합니다.
강윤수 교수
허남구 교수
최근수 교수
유형기 교수
강윤수
교수 (Kang, Yun Soo)
직급
교수
전공/학위
수학교육 / 이학박사
전화번호
061-750-3361 (fax : 061-750-3308)
이메일
yskang@scnu.ac.kr
더보기
학력
순천대학교 수학교육과 이학사
전남대학교 수학과 이학석사, 이학박사
주요경력
과학영재교육원 기획연구부장
순천대학교 교수회 분과위원장
교양기초교육원장
교무처장
교양융합대학장
미국 죠지아대학 방문연구교수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 방문연구교수
연구분야
수학 교수-학습 방법
공학적 도구를 활용한 수학교육
연구방법론
주요연구실적
Dimension of the Like of Faces Associated with Any Simplicial Complex, Honam Mathematical Journal, 1996.
Some Properties of Graded Rings, Do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1996.
학교수학에서의 함수 개념 지도 방법에 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8(1), 1998.
수학적 연구기법의 변천과정에 관한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12(2). 1999.
한 중 고등수학의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사학회지 13(1), 2000.
컴퓨터를 활용한 수학과 수업 모형, 한국수학사학회지 15(2), 2002.
삼각함수에 관한 오류 유형 분석과 그 지도 방법,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6(1), 2003.
소인수분해정리와 유클리드의 원론, 한국수학사학회지 17(1),2004.
TI-92 계산기를 활용한 이산수학의 이해과정 탐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7(2), 2004.
그래핑계산기를 활용한 탐구 학습 과정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1), 2005.
수학과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적 지식 형성과정 탐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5(2), 2006.
중학교 수학에서 평가가 갖는 의미 이해,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0(4). 2007.
GSP가 중학생들의 증명학습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1(1). 2008.
삼각형의 내·외심 지도방법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3), 2009.
개인 적응형 이산 수학 학습을 위한 CAS 기반의 가상 학습 시스템 개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1), 2010.
유리수 개념에 대한 대학생들의 이해와 추론,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3), 2010.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고등학생들의 수학적 추론 특성,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2013.
과학영재교육원 학생들의 사회·정서적 능력 비교 분석, 중등교육연구 61(3), 2013.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양식을 고려한 수학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수학교육논문집 27(4), 2013.
스마트폰앱을 활용한 수학 토론학습, 수학교육 53(2), 2014.
GeoGebra를 활용한 극한 지도가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4), 2014.
교구를 활용한 극한 지도가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눈문집 17(4), 2014.
교구를 활용한 탐구기반 외심 학습, 수학교육 56(3), 2017.
SRN을 활용한 대학수학 강좌 운영 사례, 한국학교수학회눈문집 22(3), 2019.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양식과 MBTI 성격기질별 특징, 수학교육논문집 34(3), 2020.
담당교과목
수학교육론, 수학과교수법 및 실습, 수학교재연구 및 지도법
닫기
허남구
교수 (Heo, Nam Gu)
직급
부교수
전공/학위
수학교육 / 교육학박사
전화번호
061-750-3365
이메일
ngheo@scnu.ac.kr
더보기
학력
순천대학교 수학교육과 이학사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전공 교육학석사, 교육학박사
주요경력
2006.03. ~ 2020.02. 대전광역시교육청 수학교사
2016.03. ~ 2020.02. 한국교원대학교 수학교육과 시간강사/겸임조교수
2020.03. ~ 2023.02. 국립순천대학교 수학교육과 조교수
2023.03. ~ 현재 국립순천대학교 수학교육과 부교수
연구분야
수학교육공학
수학과 교육과정
융합(STEAM) 교육
영재교육
연구실적
허남구(2025). 수학교과서의 공역 서술 방법에 따른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평가 문항 해석 차이: 조각마다 정의된 함수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8(2), 163-176.
허남구(2025). 예비수학교사의 수학화 능력의 신장을 위한 일반화된 피보나치 수열의 항등식 탐구. 이론수학과 교직수학, 32(2), 139-151.
Heo, N. G. (2025). F_n+2 F_n-2 -F_n ^2 = (-1)^n-1. Mathematics Magazine, 98(2), 145.
Heo, N. G. (2025). Proof WIthout Words: Lagrange's Cosine Identity. College Mathematics Journal, 56(2), 153.
허남구(2025). 대학 인문사회계열 신입생의 고등학교 수학과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S대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1), 345-354.
김규민, 문정후, 김민규, 이은유, 허남구(2024). 디오판토스 방정식 x^2+py^2=pz^2의 연구. 과학영재교육, 16(3), 366-373.
허남구(2024). 대응의 관점에서 음함수 또는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에 관한 교과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7(4), 585-597.
Heo, N. G. (2024). Visual Proof of Catalan's Identity for the Fibonacci Numbers. Mathematical Intelligencer, 46(3), 331.
허남구(2024). 원뿔왜상을 소재로 한 수학적 탐구 기반의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2), 285-298.
허남구(2024).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기본 수학> 교과서의 선분의 중점 지도에 관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20), 317-328.
허남구(2024). 대학 이공계열 신입생의 고등학교 수학과 성취기준 도달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5), 495-506.
허남구(2024). 타원 작도에 대한 '기하' 교과서와 '지구과학2' 교과서의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 319-335.
Heo, N. G. (2023). Another Proof of Euler's Inequality. Mathematics Magazine, 96(5), 516-520.
허남구(2023). van Schooten의 연동장치에 대한 현대적 재해석. 수학교육 논문집, 37(3), 483-495.
허남구(2022). 2015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관점에서 고등학교 <인공지능 수학> 교과서의 공학적 도구 활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1), 701-7130
허남구(2022). 예비수학교사의 비대면 수학체험전 운영 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3), 715-731.
허남구(2022).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이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1), 557-570.
허남구(2022). 중학교 수학영재 학생들의 말이 없는 증명을 활용한 시각적 표현의 이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9), 295-310.
허남구(2022). 예비수학교사의 정보처리 역량 함양을 위한 블랜디드 수업의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6), 335-350.
허남구(2022). 수학 문제 해결 관점에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활용에 관한 소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5), 707-718.
허남구(2021). 동적 기하 환경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연속 스펙트럼 활용에 대한 소고. 수학교육, 60(4), 543-554.
허남구(2021). 비대면 수학체험전 운영 사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1), 65-80.
허남구(2021).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수학 교과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6), 419-433.
허남구(2021). 동적 기하 환경에서 수학적 탐구 활동을 위한 'What-If-Not' 전략의 활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4), 353-367.
Heo, N. G. (2021). A New Proof of the Ionescu-Weizenboeck Inequality. Mathematics Magazine, 94(2), 135-136.
허남구(2020). 학생 주도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571-587.
허남구(2020). 인공지능 소재 R&E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중등 수학 교과 지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673-689.
허남구(2020). Paradox Puzzle을 활용한 초등영재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2), 401-417.
허남구(2019). 연속확률분포의 정의와 도입 방법에 대한 2009개정 교육과정과 2015개정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연구. 수학교육, 58(4), 531-543.
허남구(2019). 예비수학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개발 활동이 디지털교과서 효과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1), 47-60.
허남구(2019). 말이 없는 증명(Proof Without Words)에 대한 연구 동향: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의 학술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7), 867-882.
허남구(2019). 교사의 STEAM 교과 지식 차이에 따른 STEAM 수업의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3), 33-53.
허남구(2019). 델파이 조사를 통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학 중심 STEAM 교육에서의 교사 역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 219-252.
허남구(2018). 동적 기하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천문 현상의 수학적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1), 949-968.
허남구, 강향임, 최은아(2017). 지수함수 그래프의 구성 맥락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 수학교육학연구, 27(3), 411-430.
허남구(2017).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과 디지털교과서 개발 사례 연구: 기하와 함수를 중심으로. 학습자교과교육연구, 17(15), 99-120.
Heo, N. G. (2017). Proof Without words: Pythagorean Theorem via Ptolemy's Theorem. Mathematics Magazine, 90(3), 187.
허남구(2017). 택시기하에서 이차곡선의 정의 방법에 따른 그래프의 개형 탐구. 수학교육 논문집, 31(2), 103-121.
허남구(2017). 이차곡선의 작도 활동에서 나타난 유추적 사고. 수학교육학연구, 27(1), 51-67.
허남구(2016).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인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0), 364-372.
허남구(2016). 역함수와의 교점을 구하는 과제에 대한 분석. 수학교육, 55(3), 335-355.
허남구(2016). GSP를 활용한 일차변환 지도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2), 921-938.
허남구, 류희찬(2015).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학 중심 STEAM 프로그램 개발. 청람수학교육, 7(2), 79-100.
Heo, N. G. (2015). An Interesting Geometric Proof of Viviani's Theorem. Mathematics and Computer Education, 49(3), 166.
Heo, N. G. (2015). Proof Without Words: Machin's Formula. Mathematics and Computer Education. 49(2), 91.
Heo, N. G. (2015). A New Proof of the Pythagorean Theorem.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22(5), 451.
허남구, 류희찬(2015). 활동 중심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및 적용. 수학교육학연구, 25(2), 241-261.
Heo, N. G. (2015). Proof WIthout Words: The Pythagorean Theorem. The College Mathematics Journla, 46(1), 51.
허남구(2014). 기하학적 방법을 통한 이차곡선 접선의 작도에 관한 연구. 과학영재교육, 6(3), 125-133.
저역서
김원경, 조민식, 김인규, 윤종국, 허남구, 김현주, 김기탁, 박희정, 서봉건, 안상진, 이동근(2025). 공통수학1 교과서/지도서. 경기: 비상교육.
김원경, 조민식, 김인규, 윤종국, 허남구, 김현주, 김기탁, 박희정, 서봉건, 안상진, 이동근(2025). 공통수학2 교과서/지도서. 경기: 비상교육.
김원경, 조민식, 김인규, 윤종국, 허남구, 김현주, 김기탁, 박희정, 서봉건, 안상진, 이동근(2025). 기본수학1 교과서/지도서. 경기: 비상교육.
김원경, 조민식, 김인규, 윤종국, 허남구, 김현주, 김기탁, 박희정, 서봉건, 안상진, 이동근(2025). 기본수학2 교과서/지도서. 경기: 비상교육.
김원경, 조민식, 김인규, 윤종국, 허남구, 김현주, 김기탁, 박희정, 서봉건, 안상진, 이동근(2025). 대수 교과서/지도서. 경기: 비상교육.
김원경, 조민식, 김인규, 윤종국, 허남구, 김현주, 김기탁, 박희정, 서봉건, 안상진, 이동근(2025). 확률과통계 교과서/지도서. 경기: 비상교육.
김원경, 조민식, 김인규, 윤종국, 허남구, 김현주, 김기탁, 박희정, 서봉건, 안상진, 이동근(2025). 미적분1 교과서/지도서. 경기: 비상교육.
강윤수, 박희숙, 정수연, 허남구(2024). EXCEL과 함께하는 대학수학. 서울: 경문사.
강윤수, 김권욱, 김민주, 김방옥, 김이슬, 박희숙, 신향근, 이혁준, 임미란, 정권수, 정수연, 허남구(2021). 대학교양수학. 서울: 경문사.
고상숙, 권성룡, 김서영, 김재식, 도주원, 백석윤, 서보억, 옥보명, 이광상, 이서빈, 이성현, 이소명, 이화영, 주홍연, 한인기, 한혜숙, 허남구(2021). 학교수학과 작도교육. 서울: 경문사.
공역(2021). 미분적분학(제9판). 서울: 경문사.
김원경, 임석훈, 김동화, 강순자, 조민식, 방금성, 윤종국, 신재홍, 김기탁, 박희정, 심주석, 오혜정, 이동근, 정재훈, 허남구(2019). 확률과통계 교과서/지도서. 서울: 비상교육.
김원경, 임석훈, 김동화, 강순자, 조민식, 방금성, 윤종국, 신재홍, 김기탁, 박희정, 심주석, 오혜정, 이동근, 정재훈, 허남구(2019). 미적분 교과서/지도서. 서울: 비상교육.
김원경, 임석훈, 김동화, 강순자, 조민식, 방금성, 윤종국, 신재홍, 김기탁, 박희정, 심주석, 오혜정, 이동근, 정재훈, 허남구(2019). 기하 교과서/지도서. 서울: 비상교육.
류희찬, 여승현, 정원오, 조수윤, 차인숙, 허남구(2014). 수학적모델링 기반 스마트수학 UP - 1. 수학과 스마트러닝. 서울: EBS.
담당교과목
공학적도구를활용한수학교육, 수학교육과정및평가
개인 홈페이지 주소
https://sites.google.com/scnu.ac.kr/heonamgu?usp=sharing
닫기
최근수
교수 (Choi, Geunsu)
직급
조교수
전공/학위
해석학 / 이학박사
전화번호
061-750-3363(fax : 061-750-3308)
이메일
gschoi@scnu.ac.kr
더보기
학력
포항공과대학교 이학사
포항공과대학교 이학박사
주요경력
충북대학교 산업응용수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동국대학교 수학교육과 박사후연구원
연구분야
함수해석학 (Functional Analysis)
주요연구실적
Emerging notions of norm attainment for Lipschitz maps between Banach spaces, J. Math. Anal. Appl. (2020)
The Birkhoff-James orthogonality and norm attainment for multilinear maps, J. Math. Anal. Appl. (2021)
The Lipschitz bounded approximation property for operator ideals, Banach J. Math. Anal. (2022)
The Bishop-Phelps-Bollob?s property on the space of c0-sum, Mediterr. J. Math. (2022)
On quasi norm attaining operators between Banach spaces, RACSAM (2022)
Norm attaining Lipschitz maps toward vectors, Proc. Amer. Math. Soc. (2023)
A generalized ACK structure and the denseness of norm attaining operators, RACSAM (2023)
On a set of norm attaining operators and the strong Birkhoff-James orthogonality, Results Math. (2023)
On the Crawford number attaining operators, Rev. Mat. Compl. (2023)
담당교과목
해석학, 복소해석학
개인 홈페이지 주소
https://sites.google.com/view/gschoi
닫기
유형기
교수 (Yoo, Hyungkee)
직급
조교수
전공/학위
위상수학 / 이학박사
전화번호
061-750-3364(fax : 061-750-3308)
이메일
hyungkee@scnu.ac.kr
더보기
학력
충남대학교 이학사
고려대학교 이학박사
주요경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능융합연구소 박사후연수연구원
한양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 수리과학연구소 박사후연구원 / 연구교수
연구분야
매듭이론(Knot Theory), 그래프이론(Graph Theory)
주요연구실적
Bisected vertex leveling of plane graphs: Braid index, arc index and delta diagrams, J. Knot Theory Ramifications (2018)
Lattice stick number of spatial graphs, J. Knot Theory Ramifications (2018)
Topological aspects of theta-curves in cubic lattice, J. Phys. A: Math. Theor. (2021)
Ribbonlength of twisted torus knots, J. Knot Theory Ramifications (2022)
Lattice conformation of theta-curves accompanied with Brunnian property, J. Phys. A: Math. Theor. (2022)
Petal number of torus knots, J Knot Theory Ramifications (2022)
Folded ribbonlength of 2-bridge knots, J. Knot Theory Ramifications (2023)
Topology-based optimiztion of handcuff graphs on 3D lattice, Phys. Scr. (2023)
On the laplacian spectrum of k-symmetric graphs, Discrete. Math. (2024)
Quantum knot mosaics and bounds of the growth constant, Rev. Math. Phys. (2024)
Designing quantum circuits for decoding binary linear codes, J. Phys. A: Math. Theor. (2025)
담당교과목
미분기하학, 위상수학
개인 홈페이지 주소
https://sites.google.com/view/hyungkeeyoo/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