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진소개
인쇄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카카오 스토리
손승남교수 (Son, Seung-Nam)
직급
교수
전공/학위
교육철학 / 철학박사
전화번호
061-750-3375
이메일
snson@scnu.ac.kr
더보기
학력
주요경력
독일 함부르크 대학교 강의교수(2002.10~2003.7)
한독 교육학회장 역임
미국 인디아나 주립대학 연구교수(2011)
한국교양교육학회 부회장
연구분야
교육철학; 교육해석학, 교육인간학
교양기초교육
일반교수법, 인성교육
주요연구실적
저서
손승남(2018).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박영Story.
이지헌 외 공저(2018). 교육학개론. 학지사.
손승남 외 공저(2017). 인성교육. 학지사.
손승남(2017). 교원의 잘삶을 위한 전인통합치유. 학지사.
손승남 외 공저(2012). 교육의 역사와 철학. 학이당.
손승남 외 공역(2011).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삼우반.
손승남(2011). 인문교양교육의 원형과 변용. 교육과학사.
손승남 외 공저(2010). 동양고전에서 교육을 묻다. 한국학술정보(주).
논문
손승남(2017). 리버럴아츠 교육모델 혁신 사례- Yale-NUS College를 중심으로.문화교류연구. 6(3), 123-142.
손승남(2017). 볼로냐 프로세스와 유럽 고등교육권역(EHEA)의 발전 전망. 문화교류연구. 6(2), 5-27.
손승남(2017).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K-LAC)의 가능성 탐색. 교양교육연구. 11(1), 13-37.
손승남 외 공저(2016). Animating Academic Writing Skills Through Creating Animated Educational Videos. 교양교육연구. 10(1), 185-218.
손승남 외 공저(2015). 유형별 일터학습과 혁신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사이의 관련성 탐구. 교육문화연구. 21(6), 107-140.
손승남(2015). 지역사회 평생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의 역할과 과제. 교양교육연구. 9(3), 71-96.
손승남 외 공저(2015). 대학 인성교육으로서 '삶의 치유(Lebensh4erapie)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가능성 탐색. 교양교육연구. 9(2), 117-144.
손승남 외 공저(2014).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삶과자녀교육에 관한 질적 종단 연구. 교육종합연구. 12(4), 209-236.
손승남 외 공저(2014). 일터학습이 혁신성과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미치는 영향. 평생학습사회. 10(2), 181-208.
손승남(2014). 대학 인성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교양교육연구. 8(2), 11-41.
손승남(2013). 창조적 수업을 위한 비판-구성적 교수모델 탐구. 창조교육논총. 15(1), 61-82.
손승남(2013). ‘위대한 저서(The Great Books)' 프로그램을 토대로 본 우리나라 대학 인문고전교육의 방향 탐색. 교양교육연구. 7(4), 449-472.
손승남(2013). 19세기 독일대학, 나치시기 독일어권 망명학자 그리고 미국대학의 성장. 비교교육연구. 23(3), 107-130.
손승남(2013). 대학설립 초기의 교양교육 전통과 그 창조적 재생. 교양교육연구. 7(2), 199-220.
손승남(2011). 미국 연구중심대학의 이념 형성과정. 교육사상연구. 25(3), 97-117.
손승남 외 공저(2010). 동학의 생명사상과 생명존중의 교육. 교육사상연구. 24(3). 263-289.
손승남(2010). 지속가능한 미래, 삶의 질 그리고 생태교육. 교육의 이론과 실천. 15(2), 93-115.
프로젝트
공동(2017). 순천만국가정원 가든스쿨 연구용역. 순천시.
공동(2017).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교양기초교육원.
공동(2016). 충북대학교 교양 교육과정 혁신안. 충북대학교.
공동(2016). 기초교양교육 강화사업 성과분석 및 발전 방향 연구. 한국교양기초교육원.
손승남(2016). 혜강 최한기의 인정에 관한 교육해석학적 고찰. 순천대학교.
손승남(2015). 2015 교육활동 침해 피해교원 치유 예방 프로그램 운영. 전남교육청.
공동(2015). 평생학습중심대학육성사업. 교육부.
손승남(2014). 학습권과 교육권 보장을 위한 감정코칭. 전남교육청.
손승남(2014). 2014 교육활동 침해 피해교원 치유 예방 프로그램 운영. 전남교육청.
손승남(2013). 교육활동 침해 피해교원 치유, 예방 프로그램 운영. 전남교육청.
손승남 외(2012). 순천시 평생학습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연구용역. 순천시.
공동(2012). 중등 지속가능발전교육 핵심교원 양성사업.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년 이전 연구실적
손승남(2010). 미국 연구중심대학의 이념 형성과정. 순천대학교.
단독(2008).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독일어권 국가의 대학개혁 동향. 교육의 이론과 실천. 13(1), 98-114.
단독(2008). 독일 일반교수학 모형과 최근 동향. 비교교육연구 18(1). 93-114.
단독(2008). 배움의 근본문제에 관한 해석학적 고찰. 교육철학 41(1).141-163.
단독(2007). 뮌헨 영재성 유형모델(MHBT)의 적용가능성 탐색. 교육의 이론과 실천. 12(1). 209-230.
단독(2007). Dih4ey 해석학과 정신과학적 교육학의 전개과정. 교육사상연구. 21(1), 121-138.
단독(2007). 고급두뇌의 유출, 그대로 둘 것인가? 교육정책포럼. Vol. 150, 23-25.
단독(2007). 좋은 수업의 조건 - 교수론적 관점들. 교육사상연구. 20(1), 115-134.
단독(2006). 독일의 환경실천과 교육. 선비문화. 겨울 제10호. 75-81 - 단독(2006). 독일 대학의 최근 구조개혁에 관한 비판적 고찰. 교육철학. 35(1). 71-91 . - 단독(2005). PISA 이후 독일의 학교교육 개혁동향. 비교교육연구. 15(4). 57-82.
단독(2005). '학습자 발달'의 관점에서 본 도야과정 교수법. 교육사상연구. 17(1). 139-157.
단독(2005). 뉴미디어 시대의 판단력 '도야'에 관한 고찰. 교육과정평가연구 8(1), 75-94.
단독(2005). Kompetenzentwicklung im Lehrberuf-Empirische Untersuchung zur "unterrichtsbezogenen Professionalitaet des Lehrberufs(UPL)" in Korea.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0(1), 129-146.
단독(2005). 독일 대학교육의 현황과 개혁정책: 전망과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15(1), 49-71.
단독(2005). 교사 수업전문성 관점에서 본 교사교육의 발전방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2(1), 89-108.
단독(2005). Koreanische Schulkultur - dargestellt aus international vergleichender Perspektive. Zeitschrift fuer Erziehungswissenschaft, 8, Jg., Heft 1, 53-73. 공동(2005). 동서양 교육사상 연구의 동향과 전망. 교육철학. 33, 41-61.
단독(2004), 남명 조식의 '경의' 교육사상과 클라프키(Klafki)의 '도야'사상 비교연구, 교육사상연구, 15, 49-69. - 공동(2003). Bildungsh4eoretische Ueberlegungen von Wilhelm von Humboldt und Nammyon Chosik: ein Vergleich. Leherbildung und Schule. 9(3), 117-130.
단독(2003), "Leistungsanforderungen und Leistungsbewertung im Vergleich Zwische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und Suedorea",「Zeitschrift fuer internationale Bildungsforschung und Entwicklungspaedagogik」, 26(1),17-22.
단독(2002), "자서전의 교육학적 가치",「교육철학」, 28(1), 109-125.
단독(2001), "교육자치의 본질과 학교운영위원회의 활성화 방안", 「한독교육학연구」, 6(2), 69-94.
단독(2001), "헤르바르트의 교육학적 박자에 관한 해석학적 고찰",「교육학연구」, 39(2), 45-62.
단독(2001), "교육적 인간상으로서 '신지식 인'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철학」, 25,1 (2001. 3), 55-71.
단독(2000), "민주시민의식 고양을 위한 새로운 교육방법의 모색",「한독교육학연구」, 5,1(2000.11), 81-98.
단독(1999), "21세기를 대비한 인성교육의 철학적 구상", 「한독교육학연구」, 4,1(1999.11), 67-84.
단독(1998), "Klafki의 비판-구성적 교수법에 관한 연구",「교육학연구」, 36,4(1998.11), 201-218.
단독(1998),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에 입각한 교육해석학의 가능성 탐색" 「교육철학」, 19,1(1998.11), 165-182.
단독(1998), "정보화 사회의 학교장의 역할 에 관한 연구", 「한독교육학연구」, 3,1(1998. 3), 99-128.
단독(1998), "교육학적 전기연구와 구술적 면접", 「교육개발」, 111(1998. 1), 78-82.
단독(1997), "전기연구와 교육학", 「한독교육학연구」 , 2,1(1997.12), 63-80.
단독(1997), "딜타이의「슐라이에르막허의 삶」연구", 「교육철학」, 15,1(1997.10), 69-87.
단독(1997), "Loch의 전기적 교육론",「교육학연구」, 35,4(1997. 8), 21-36.
단독(1997), "Dilh4ey의 해석학과 전기 연 구", 「교육학연구」, 35,1(1997. 2), 17-39. <저역서 실적>
단독(2008). 딜타이 교육학 선집. 서울: 지만지.
단독(2008). Die Entstehung der Hermeneutik. 해석학의 탄생. 서울: 지만지.
공저(2007). 좋은 교육. 서울: 문음사.
공저(2006). 대학교육 개혁의 철학과 각국의 동향. 서울 : 서현사.
공저(2005). 교육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 단독(2004), 학습자 중심의 대안적 교수법, 민천 : 내일을 여는 책.
단독(2004), 교육은 자기교육이다, 서울: 동문선.
공저(2004), 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공저(2003), 남명사상과 교과교육, 진주교육대학교 진주문화교육연구원.
단독(2001), "교육해석학", 서울:교육과학사.
공저(1999), "교육의 탐구", 서울:학지사.
공저(1999), "한국교육의 이해", 서울:교육과학사.
단독(1998), "Bildungsgang didaktik", Opaden:Leske+Budrich.
공저(1997), "새로운 교육의 탐색", 서울:학지사.
공저(1997), "교육과 사상", 전남대학교 출판부.
단독(1997), "Wilhelm Dilh4ey und die Paedagogische Biographieforschung", Opladen:Leske+Budrich.
공동(2007). MHBT 영재판별 검사의 타당화 연구. 순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단독(2007).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학교육 개혁정책-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사례를 중심으로. 순천대학교.
단독(2007). 인문교양교육의 원형과 변용. 학술진흥재단.
단독(2006). MHBT를 활용한 영재성 측정도구 개발. 순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공동(2006). 교육대학원 평생학습 교육체제 구축 특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단독(2004). 남명 조식의 '경의'사상과 Klafki의 '도야'사상 비교연구. 순천대학교. 일반연구과제.
단독(2003). 뉴미디어 시대의 판단력 '도야'에 관한 연구. 학술진흥재단. 선도연구과제.
책임(2003), "학습자 중심의 대안적 교수법 연구", 학술진흥재단, 대학교수 국제학술교류지원 과제.
책임(2002), "자서전의 교육학적 가치 ", 학술진흥재단, 신진교수 연구과제.
책임(2001), "비판-구성적 교수법과 이의 교과교육에의 적용가능성 탐색", 교육부, 교과교육공동연구.
책임(2001), "학교자치의 본질과 학교운영위원회의 활성화 방안", 순천대 자체 연구비.
책임(1999), " 21세기를 대비한 인성교육의 철학적 구상", 순천대 자체 연구비.
공동(1998), " 재독 한인 청소년들의 사회화 과정의 문제", 전남대 사회과학연구소.
공동(1997), "5.18이 광주시민의 심리구조에 미친 영향", 전남대 사회과학연구소.
닫기
이병환교수(Lee, Byung-Hwan)
직급
교수
전공/학위
교육행정 / 교육학박사
전화번호
061-750-3379
이메일
leebh@scnu.ac.kr
더보기
학력
주요경력
2002~2003, 교육인적자원부 국가전문행정연수원 교육연구사
2001~2002,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과정정책과 교육연구사
1998~2003, 숙명여대, 경북대, 서울교대, 대구교대 시간강사
연구분야
주요연구실적
저서
이병환(2020), "학교폭력 예방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이병환(2018), "교직실무", 정민사.
이병환(2017),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이병환(2016),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의 이론과 실제", 태영출판사.
이병환(2016), "제3판 학교폭력예방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이병환(2015), "제2판 학교폭력예방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이병환(2014), "교육학 논술 100제", 양서원.
이병환(2014), "새로운 교육사회학", 태영출판사.
이병환(2014), "학교폭력 예방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이병환(2013), "새로운 교원임용시험", 양서원.
이병환(2013),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 양서원.
이병환(2013), "새로운 초중등교원임용시험을 위한 논술과 면접", 양서원.
이병환(2013), "예비교사와 교육전문직을 위한 교육학 논리와 논술", 양서원.
이병환(2012), "최신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 태영출판사.
이병환(2012), "예비교사를 위한 지침서 제2판 교직실무", 교육과학사.
이병환(2011), "제3판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이병환(2010), "예비교사를 위한 지침서 교직실무", 교육과학사.
이병환(2008), "대안교육의 실천과 모색", 학지사.
이병환 외(2006),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이병환 외(2006), 대안교육의 어제, 오늘 그리고 미래.
이병환.김경식 역(2005).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이병환 외(2005),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이병환(2002), "제7차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초등교과교육론", 신영사.
논문
이병환(2021),"학교 성 평등 교육의 동향과 과제,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0(2), 1-22.
이병환 외(2020),"문화다양성 교육정책 분석과 발전 방안 탐색,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9(2), 1-24.
이병환 외(2020),"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열린교육연구. 28(1), 323-342.
이병환 외(2019),"어린이집 유아반 교사를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6), 189-206.
이병환 외(2019),"보육교사의 생애사에 나타난 전문성 형성과정과 의미탐색,문화교류연구. 8(4), 101-128.
이병환 외(2019),"한국과 핀란드의 유아교육제도 및 유아교사 현직교육 비교,교육문화연구. 25(5), 523-542.
이병환 외(2019),"교사학습공동체 활용 누리과정 연수프로그램 모형 개발,교육문화연구. 25(3). 591-611.
이병환 외(2019),"학교부적응 학생의 행동 분석과 지원 방안,열린교육연구. 27(2), 53-72.
이병환 외(2018),"고등학교 성취평가제의 諸문제와 정착 방안,열린교육연구. 26(3), 109-129.
이병환 외(2018),"대학생의 창의성, 학습정서, 학습동기및 학습행동의 구조적 관계,교육문화연구. 24(3), 87-104.
이병환 외(2018),"교원순환전보제에 대한 교원의 인식,교육문화연구. 24(2), 57-78.
이병환 외(2017),"혁신학교의 쟁점 탐색,교육철학. 65, 33-52.
이병환 외(2017),"교원순환전보제의 논리 탐색,교육행정학연구. 35(4), 97-118.
이병환 외(2017),"지역여건에 따른 농산어촌 통학차량 운영모델 개발,교육행정학연구. 35(3), 183-205.
이병환 외(2017),"농산어촌 지역 통학차량 운영관계자 인식 분석,교육문화연구. 23(3), 31-50.
이병환(2017),"열린교육과 대안교육의 개념 비교,교육철학. 62, 73-97.
이병환 외(2016),"자유학기제 사례분석을 통한 행복교육에서 학생평가의 실천 전략,한국교육문제연구. 34(3), 113-132.
이병환 외(2016),"퇴직예정자의 은퇴 후 재무설계 프로그램 교육컨텐츠 개발 및 적용 연구,교육종합연구. 14(3), 85-109.
이병환 외(2016),"행복학교의 운영 특성 분석,교육문화연구. 22(4), 81-107.
이병환 외(2016),"학교폭력 청소년의 관용성과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열린교육연구. 24(2), 221-240.
이병환 외(2016),"행복학교의 학생 행복도 분석,교육문화연구. 22(2), 29-48.
이병환 외(2015),"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PSP) 팀 문제해결을 적용한 대학 수업에서 개인 창의성, 팀 공유정신모형의 팀 창의성 및 팀 효과성과의 관계,교육문화연구. 21(5), 115-144.
이병환 외(2015),"한국 교육엘리트 충원의 특성 분석: 교육부 장·차관의 교육적 배경을 중심으로,열린교육연구. 23(3), 139-164.
이병환 외(2015),"교육공동체 의견 조사에 기초한 자유학기제의 안정적 정착 방안 탐색,교육종합연구. 13(2), 103-126.
이병환 외(2015),"도농통합지역 교육복지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열린교육연구. 23(2), 153-174.
이병환 외(2015),"학업중단숙려제 운영을 위한 고등학생 학교부적응 행동 요인 분석 -교사 및 교칙관계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1(2), 57-78.
이병환 외(2015),"연구학교 사례분석을 통한 자유학기제 활성화 방안 탐색,"교육문화연구. 21(1), 51-74.
이병환 외(2014),"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모역할 인지와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열린교육연구. 22(4), 301-324.
이병환 외(2014),"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 부적응 행동 요인 분석," 교육문화연구20(3), 125-148.
이병환 외(2014),"대안학교 학습자 만족도 분석," 교원교육30(3), 155-175.
이병환 외(2014),"공자의 '논어'관점에서 본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교사 리더십," 교사교육연구53(2), 321-333.
이병환 외(2014),"사교육 발생 구조 탐색," 열린교육연구22(1), 41-63.
이병환 외(2013),"창의경영학교 성공 요인 탐색," 열린교육연구21(2), 31-51.
이병환 외(2012),"창의경영학교 개념 구조 탐색," 열린교육연구21(2), 47-64.
이병환 외(2012),"컨설팅장학에 대한 교육전문직의 요구 분석," 열린교육연구20(3), 93-110.
이병환 외(2012),"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인성교육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탐색," 교육문화연구18(2), 143-164.
이병환 외(2011),"기초학력 책임지도를 위한 조직 수준별 책무 분석," 교육문화연구17(3), 5-34.
이병환 외(2011),"학교컨설팅 장학 모형 및 운영 절차 탐색," 교육문화연구17(2), 175-198.
이병환 외(2011)."기초학력 책임지도 책무성 논리 탐색," 교육행정학연구29(2), 159-183.
이병환 외(2011),"영국 학교 컨설턴트 리더 프로그램의 특징과 사례 분석," 중등교육연구59(2), 315-336.
이병환 외(2011),"컨설팅장학에 대한 교육전문직의 인식 및 개선방안 탐색," 열린교육연구19(2), 49-70.
이병환 외(2010),"형성평가 정책의 교육행정기관 수준별 지원 전략," 교육문화연구16(3), 93-114.
이병환(2010), "학교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탐색," 31(2), 1-18.
이병환 외(2010),"온라인 학습공동체 활용 워크숍 연수기법의 실천가능성 탐색," 열린교육연구18(4), 227-245.
이병환(2010),"학교폭력 대처를 위한 지역 유관기관의 지원체제 정립과 활성화 방안," 교육문화연구16(2), 45-73.
이병환(2010),"지역사회 연계 교육과정 재구성 사례연구," 열린교육연구18(2), 121-141.
이병환 외(2010),"초등학생의 인터넷 사용과 자기효능감 및 자기통제력과의 관계," 교원교육26(2),1-20.
이병환 외(2010),"중학생의 하루 일과 분석을 통한 자기표현력 증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교육과정평가연구13(1), 87-112.
이병환 외(2009),"초등학생의 음란물 접촉 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교육연구17(4), 323-342.
이병환 외(2009),"중학생의 자살 생각과 공격성 및 귀인 성향과의 관계," 열린교육연구17(2), 209-226.
이병환(2008), "시민주도 평생교육 활성화 조건 탐색," 교육행정학연구26(4), 49-75.
이병환(2008),"농산어촌 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교체제 재구조화 방안 탐색," 교원교육24(4), 55-73.
이병환(2008),"서구 대안학교의 동향과 특성 비교," 한국교육논단7(1), 121-140.
이병환(2008),"미국 대안교욱이 다양화 경향 분석과 정책적 시사," 교육행정학연구26(1), 163-188.
이병환(2008),"미국홈스쿨링의 동향과 특성," 중등교육연구56(1), 25-50.
이병환(2007),"대안학교 관련 쟁점 분석-관련법령에 대한 대안학교 교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25(4), 535-563.
이병환(2007),"중학생이 선호하는 학급 담임교사의 역할," 중등교육연구55(3), 345-375.
이병환(2007),"대안학교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정책 제안," 열린교육연구15(3), 75-99.
이병환(2007),"지역 단위 대안교육기관을 통한 청소년 학업중단 예방 방안 탐색," 중등교육연구55(1), 69-89.
이병환 외(2005), 순천시 평생학습 3개년 계획(2006-2008), 순천시.
이병환 외(2005), 대안학교 교육과정 평가 및 질관리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이병환,김대희(2005),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실습 개선 방안 연구, 순천대학교.
이병환 외(2004), 대안교육 활성화를 위한 국가수준 교육과정 운영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이병환(2006), "교원다면평가제에 관한 초중등교원의 인식 분석," 교육문제연구(18(1), 55-84.
이병환(2006), "학급 담임교사의 역할에 대한 중학생의 기대 분석," 한국교육논단5(1), 97-120.
이병환(2005), "새 교원평가제 주요 쟁점에 관한 교원의 인식 분석," 교육행정학 연구, 23(4).
이병환(2005), "대안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쟁점 탐색", 한국의 교육과정연구:쟁점과 전망," 285-314.
이병환 외(2005), "대안학교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지원 체제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8(1), 1-23.
이병환(2004), "국내외 대안학교의 운영특성에 관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12(2), 31-56.
이병환(2004), "현행 교원평정제도의 문제점 분석 및 바람직한 교사평가제의 모습," 한국교원교육연구, 21(2), 281-306.
이병환 외(2004), "교사 다면평가제 적용 방안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2(2), 163-186.
이병환 외(2004), "학교 창의성 교육 평가 연구," 교육학연구 42(2), 367-397.
이병환 외(2003), "창의성 교육 실태 분석과 교육 정책적 과제," 중등교육연구 51(2), 41-68.
이병환(2003), "통합운영학교를 통한 소규모 학교 운영체제 개선," 중등교육연구 51(1), 1-25.
이병환(2002), "학교선택권의 입장에서 고교평준화 정책의 개선방안," 교육행정학연구 20(4), 275-295.
이병환(2002),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성격과 평가," 한국교육 29(2), 33-55.
이병환 외(2002), "서구 대안교육운동의 양상 고찰," 교육학논총 23(2), 43-62.
이병환(2002),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성격과 전망," 지방교육경영 7(통합본),151-169.
이병환(2002), "국내외 학교모형 비교를 통한 학교선택권 보장방안," 교육행정학연구 20(2), 215-235.
이병환(2002),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응 방안," 한국교육 29(1), 175-196.
이병환 외(2002), "신사회운동으로서 한국의 대안교육운동," 교육학논총 23(1), 1-17.
이병환(2002), "고교평준화 정책의 진단과 개선방안 모색," 교육학논총 23(1), 141-159.
이병환(2002), "아세안 포럼 구축을 통한 국제이해 협력방안,"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자료, RM2000-8(54-55).
이병환(2002), "새로운 교육모델으로서 홈스쿨링의 의미," 교육학논총 22(2), 123-142.
이병환(2002), "사회과 교육과정 통합화 방안," 사회과교육 41(1), 145-166.
이병환(2001), "학교선택권 보장을 위한 자율학교 운영방안," 지방교육경영 6(2), 67-87.
이병환(2001), "국내외 대안학교의 모델 비교," 지방교육경영 6(2), 89-110. - 이병환(2001), "학교교육의 위기와 그 대처방안", 경북대학술세미나자료, 63-72.
이병환 외(1999), "대안학교로서 풀무학교 탐색," 중등교육연구 43, 55-72.
닫기
김선미교수 (Kim, Seon-Mee)
직급
교수
전공/학위
교육과정 / 철학박사
전화번호
061-750-3378
이메일
smkim@scnu.ac.kr
더보기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미국 Ohio University(석사)
미국 Univ. of Texas at Austin(박사)
주요경력
1997~1998,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Instructor).
1998~1999, Columbia University, New York(Visiting Scholor)
2000~2002, 한양대학교 연구교수.
2003~2003, 한국청소년개발원 부연구위원.
2008~2009, 영국 University of London(SOAS), 객원교수
2010~현재, 글로벌다문화교육센터장
2010~현재, 한국사회교육연구학회 부회장
2008~현재, 한국 다문화교육학회 이사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정심의위원
전라남도 청소년 정책 자문위원
광양시 인사위원회 위원
순천시 평생학습관 시민대학 지도교수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심사위원
연구분야
다문화교육
교육과정
교수학습이론
사회과교육
교사교육
주요 연구실적
공저(2010), 다문화 교육과 인간관계, 교육과학사.
공저(2008), 다문화 교육의 이해, 한국문화사.
공저(2004), 문화, 미디어로 소통하기, 논형.
공저(2004), 지식의 사회, 문화의 시대, 경북대.
단독(2011) '한국적'다문화정책과 다문화교육을 위한 성찰과 제언
단독(2011) 영국 다문화정책 전개의 특성
단독(2007), 주제 중심 역사수업 사례 분석 : 다문화 교육적 접근, 사회교과교육연구
단독(2007), 대학생의 세계화, 정보화 역량 분석, 사회과교육
공동(2006), 사회적 구성으로서의 아동의 몸과 자아 존중감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공동(2006), 한국과 미국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율성과 영향요인 비교 분석, 비교교육연구.
공동(2006), 농어촌 고등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직업가치관 분석, 교육학연구, 44(1), 277-300.
공동(2005), 제7차 초등교육과정의 성교육 내용 분석, 교육과정연구.
단독(2004), 교실수업과 교과서, 사회과 교육.
단독(2004), 사회과 학업성취와 관련된 학습동기 요인 분석, 사회교과 교육연구.
단독(2004), The Hnalysis of Korean Textbooks for Understanding Relations AmongnEastnAsian Countries, 광서교육연구논문, 중국.- 단독(2004), Critical Pedagogy and Teachers, 중등교육연구.
단독(2003), "새로 개정된교과서에 나타난 동아시아 관계 이해교육: 다문화교육적접근", 사회과교육, 43-57.
단독(2002), "한국의 이미지:미국중등교과서분석", 황실학논총.
단독(2002), "The GMCE in American Classroom", 사회과교육 41(1), 103-120.
단독(2001), "미국세계사 교과서 속의 한국사: 한국사 교육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5, 80-105.
단독(2001), "고등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학습동기의 실태", 사회과교육 34, 310-327.
단독(2000), "The status of social studies curriulum for world understanding after h4e World War Ⅱ", American Educational History Journal 28, 231-239.
단독(2000), "The portrayal fo Korea: a critical analysis of Korean history in American secondary schools", Internatioa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1, 91-111.
단독(2000),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사회과교육의 적용에 따른 문제", 사회과교육 4, 63-81.
참여(2006), 자유와 상생의 직업윤리 형성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책임(2005),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순천대학교.
책임(2005), 문화교육의 새로운 가능성 탐색, 한국학술진흥재단.
책임(2004), 대학생들의 세계화, 정보화 역량 분석, 순천대학교.
공동(2004), 교육봉사활동 활성화 방안, 순천대학교.
책임(2003), "한국과 미국여성의 직업선택에 있어서 인터넷의 영향 비교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책임(2003), "청소년의 국제감각 고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국제언어캠프프로그램)", 문화관광부.
책임(2003), "세계시민의 자질과 함양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책임(2002), "역사수업의 다문화교육적 접근", 학술진흥재단.
닫기
더보기
학력
서울교육대학교
홍익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석사 및 박사)
주요경력
1993-2003. 서울 소의, 용강, 봉래초등학교 교사
2013-2014. 미국 University of Georgia 방문교수
2015-2017. 순천대학교 학생상담실장
2016–현재. 순천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운영위원장
2016–현재. 전라남도 정책자문위원(인재육성분과)
2010–현재. 한국진로교육학회 이사
2015–현재. 한국진로교육학회 편집위원
연구분야
주요연구실적
논문
공동(2018). 초등학생 진로흥미 그림검사 개발. 초등상담연구
단독(2015). 학교상담자의 책무성 평가에 대한 인식. 초등상담연구, 14(2), 149-173.
공동(2013). 학교상담자의 자기효능감과 직무환경위험요소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4(5), 3125-3143.
단독(2013). 초등학생의 다문화 여부와 성별에 따른 직업포부와 진로흥미 및 진로인식의 차이. 진로교육연구, 26(2), 67-89.
공동(2013). 전남지역 고등학생의 외모만족과 대인관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4(1), 481-500.
공동(2012). 기초직업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결정에 미치는 효과. 25(3), 229-261.
공동(2012).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진로포부 및 직업포부유형 간의 관계. 초등상담연구, 11(2), 261-278.
단독(2012). 감사증진 프로그램이 아동의 학교적응, 생활만족 및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효과. 초등상담연구, 11(1), 107-121.
단독(2010). 아동의 스트레스 경험과 감사성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23(3), 215-238.
단독(2010). 아동의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9(2), 217-233.
단독(2010). 감사성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1(1), 1-17.
저서
공저(2018). 학교상담자를 위한 상담면접의 실제. 학지사
공저(2018).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실제. 사회평론 아카데미
공저(2017). 진로진학상담교육론. 사회평론 아카데미.
공저(2015).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개발과 진로설계. 서울: 학지사.
공저(2014). 상담전문가를 위한 진로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공저(2013). 교사를 위한 생활지도와 학교상담(2판).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과제
공동(2018). 초·중등 SW교육 역량 진단 및 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참여(2014). 초·중·고 연계 맞춤형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연구. 대전광역시교육청.
참여(2013). 학교폭력 가·피해학생 추수관리 프로그램 개발 연구. 경상북도교육청.
참여(2010). 예술·체육 중점학교 운영모델 개발 연구-차세대 감성리더 육성 프로젝트. 교육과학기술부.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