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진소개
인쇄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카카오 스토리
더보기
학력 사항
고려대학교 사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졸업
경력 사항
한국인문사회연구소협의회 회장 (2022.04~ )
순천대학교 일반대학원장(2021.08~)
전국대학중점연구소협의회 회장(2021.03~2022.02)
(사)호남사학회 이사장(2020.01~2021.12)
한국연구재단 책임전문위원(2019.09~)
제1기 대학민국역사박물관 학술자문위원(2018.06~2018.07)
한국연구재단 학술지발전위원회 위원장(2018.04~2019.07)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본부 이의제기심사위원회 위원장(2018.03~2019.02)
호남사학회 부회장(2018.01~2019.12)
교육부 인문사회분야 종합심의위원회 위원(2017.12~2019.11)
순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대학중점연구소 연구책임자(2017.09~2023.08)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논총 편집위원회 편집원(2017.05~2019.04)
한국연구재단학술지발전위원회 인문예체분과 위원장(2017.02~2018.01)
한국서양사학회 회장(2016.07~2018.06)
국제역사학 한국위원회 위원(2016.07~2018.06)
인문한국(HK)연구소 협의회 이사(2014.08~2015.11)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소장(2014.03~2015.11)
한국연구재단 학술지발전위원회 위원(2014.01~2017.01)
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원장(2013.12~2017.08)
순천대학교·경상대학교 인문한국(HK) 지리산권문화연구단 단장(2013.12~2015.11)
호서사학회 편집위원(2013.07~2018.06)
수선사학회 편집위원(2013.07~2018.06)
사회적 기업 에듀펀 플러스 이사(2013.03~2015.02)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이사(2013.01~2014.12)
국립대학교박물관협회 부회장(2012.02~2012.01)
국립순천대학교 박물관 관장(2012.01~2013.12)
한국독일사학회 회장(2011.07~2013.06)
한국서양사학회 편집위원장(2010.07~2012.06)
호남사학회 연구이사(2009.01~2011.12)
국립순천대학교 인문예술대학 인문학연구소 소장(2008.03~2024.08)
한국인문과학회 부회장(2008.03~2010.06)
역사연구회 이사(2008.03~2010.02)
국립순천대학교 인문예술대학 인문학부 학부장(2008.03~2009.02)
한국독일사학회 편집위원장(2007.06~2011.06)
한국서양문화사학회 편집위원(2006.08~2009.07)
호남사학회 편집위원(2006.01~2009.06)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교 visiting scholar(2006.01~2007.08)
국무총리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위원(2005.07~2006.01)
한국독일사학회 편집위원(2005.06~2007.05)
국무총리산하 인문사회연구회 인문정책위원(2005.01~2005.06)
한국인문과학회 부회장(2004.09~2005.12)
한국서양사학회 학술기획이사(2004.06~2006.05)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 회원(2004.01~2006.01)
국립순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소장(2003.09~2005.12)
국립순천대학교 영미문화전공 주임교수(2003.09~2005.12)
한국독일사학회 연구이사(2003.06~2005.06)
역사연구회 이사(2002.05~2008.02)
전남사학회 연구이사(2001.12~2003.12)
한국사학사학회 이사(2001.04~2003.03)
한국셔양사학회 이사(2000.06~2002.05)
국립순천대학교 인문사회대학 인문학부 학부장(2000.03~2001.02)
한국서양문화사학회 편집위원(1999.03~2003.02)
국립순천대학교 사학과 학과장(1999.03~2001.02)
국립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주임교수(1999.03~2001.02)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위원(1998.03~2024.08)
국립순천대학교 사학과 교수(1998.03~2024.08)
독일 자유베를린 대학교 visiting scholar(1997.09~1998.02)
국립 강원대학교 강사(1986.03~1997.08)
고려대학교 강사(1986.03~1997.08)
연구사항
논문실적
「존 페어맨 프레스톤 선교사와 순천선교부」, 『남도문화연구』 43, 2021.08.
「한국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현황과 재편방향」, 『인문학술』 6, 2021.05.
「미국 남장로회 한국선교부의 순천 스테이션 설치와 운영」, 『남도문화연구』 37, 2019.08.
「한국 인문학분야 학술지 현황과 개선방향」, 『인문학술』, 2019.05.
「한국 중학교 세계사교육과 서구중심주의-2015년 교육과정 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역사학연구』 72, 2018.11.
「미국 남장로교의 호남선교: 연구동향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와역사』 49, 2018.09.
「서양사 총설: 2015~2016년- 새로운 60주년을 향해」, 『역사학보』 , 2017.09.
「순천만국가정원과 남도문예르네상스」, 『남도문화연구』 32, 2017.06.
「한국고등학교 세계사교육과 서구중심주의」, 『서양사론』, 2017.06.
「The Current State and Historico-geographical Background of Mt. Jirisan Region Immigrants」,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 2016.08.
「세계사로 본 이슬람사와 반서구중심주의: 마셜 호지슨을 중심으로」, 『역사와담론』 79, 2016.07.
「‘극단의 시대’와 에릭 홉스봄: 정치노선과 유럽중심주의에 대한 입장변화를 중심으로」, 『역사와문화』 30, 2015.11.
「역사 고전읽기 : 세계화시대에 다시 본 『독일이데올로기』- “교류(Verkehr)형태”를 중심으로」, 『서양사론』 124, 2015.03.
「Reorienting Reorient: East Asia and 15th-19th Century Joseon」, 『The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2, 2014.07.
「대학박물관과 지자체 교류: 국립순천대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고문화』 82, 2013.12.
「지구화시대에 세계사와 같이 나가야 할 한국사」, 『역사와 문화』, 2013.11.
「에릭 홉스봄과 ‘미완의 시대’」, 『역사와 문화』 25, 2013.05.
「한국 서양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유럽중심주의 서양사를 넘어 세계사로」, 『내일을 여는 역사』 50, 2013.03.
「식민 지배를 넘어 평화적 공존으로」, 『서양사론』 113, 2012.06.
「유럽중심주의 세계사와 한국서양사」, 『서양사론』 110, 2011.09.
「'빅히스토리'로 다시 보는 인류사: 데이비드 크리스천을 중심으로」, 『내일을 여는 역사』 42, 2011.03.
「소수자와 같이 가야 할 역사」, 『서양사론』 108, 2011.03.
「글로벌 히스토리는 가능한가」, 『내일을여는역사』 40, 2010.09.
「식민주의 이후의 식민성-미국의 세계전략과 푸에르토리코-」, 『서양사론』 106, 2010.09.
「'글로벌 히스토리'와 세계사교육」, 『역사와문화』 20, 2010.09.
「유럽중심주의 세계사에 대한 비판과 반비판을 넘어」, 『역사학연구』 39, 2010.06.
「유럽중심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을 넘어-라틴아메리카 '근대성.식민성 연구그룹'의 탈식민전략」, 『역사비평』, 2008.08.
「단과대학 개편에 따른 중.장기 발전방안 수립 연구위원회 2008년 연구보고서」, 『인문예술대학 중장기 발전방향 연구』, 2008.04.
「전지구적 세계체제로 본 세계사와 동아시아사: 안드레 군더 프랑크」, 『역사비평』 82, 2008.0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체제 변동과 한미관계」, 『서양사학연구』 1, 2007.12.
「인문정책연구기관 설립추진을 위한 실행로드맵」,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연구보고서, 2007.10.
「외국에서의 인문학의 학제간 연구.교육 및 인문진흥관련 법 사례조사 연구」, 『인문정책연구총서』, 2007.06.
「1987년 이후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의 다원화와 과제」, 『마르크스주의 연구』 1, 2007.05.
「자본주의 세계체제는 유럽에서 시작되었나?」, 『서양사론』 90, 2006.09.
「역사연구방법론과 거시사-K. 마르크스, E. 홉스봄, G.A. 프랑크를 중심으로」, 『독일연구-역사·사회·문화』, 2005.12.
「한국 인문진흥정책 기반조성 방안」, 『연구보고서』, 국무총리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05.12.
「한국인문진흥보고서」, 국무총리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연구보고서, 2005.12.
「동아시아, 세계의 중심되다」, 『월간 NEXT』, (주)NEXT, 2005.12.
「마르크스위주 역사하에 미래가 있는가」, 『역사와문화』, 2005.10.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상호개방'과 재구조화」, 『인문비평』, 2005.09.
「포스트 모던 역사학과 지방사」, 『전남사학』 23, 2004.12.
「A. G. 프랑크의 세계체제론과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주의 연구』 2, 2004.11.
「마르크스-엥겔스의 국가론: 계급국가론과 이행기 문제를 중심으로」, 『서양사론』 82, 2004.09.
「세계사의 새로운 발견과 과제」, 『서양사론』 82, 2004.09.
「E. 베른슈타인의 역사관」, 『인문논총』 4, 2004.08.
「아직도 끝나지 않은 `독일문제`」, 『서양사론』, 2003.12.
「(서양사)독일사」, 『역사학보』, 2003.09.
「E. 베른슈타인의 헤겔변증법 비판과 유기적 진화론」, 『전남사학』, 2002.12.
「서구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의 몇 가지 이론적 모색」, 『역사문제연구』 7, 2001.12.
「유럽통합시기의 탈민족주의적 독일사」, 『독일연구-역사.사회.문화』 2, 2001.12.
「마르크스-엥겔스와 인종주의:유대인과 아일랜드 인을 중심으로」, 『서양사론』 70, 2001.09.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의 위기와 “포스트 모던” 역사학」, 『전남사학』 16, 2001.07.
「통독 이후 독일 역사는 어떠한 방향으로 쓰여져야 하는가?」, 『독일연구-역사.사회.문화』 1, 2001.07.
「순천대학교 교양교육분야 자체평가연구」, 순천대학교 교양교육분야 자체평가연구위원회, 2000.09.
「구 소련 개혁파와 평화공존 노선」, 『순천대학교 인문사회과학논문집』 1, 1999.12.
「아시아적 생산양식 논쟁과 시대구분문제」, 서양사학연구, 1999.10.
「통독이후 동독사 연구현황과 근대독재논쟁」, 『전남사학』, 1998.12.
「현대제국주의론의 이론구조와 쟁점」, 순천대 지역개발연구지, 1998.12.
「윌러스틴의 자본주의 세계체제론과 제국주의론」, 근대세계체제론의 역사적이해, 1996.09.
「1980년대 이후 한국의 맑스주의 연구」, 『과학과 사상』, 1995.03.
「마르크스의 역사발전론 연구경향과 문제점」, 『강원사학』, 1994.12.
「독일사회민주주의와 베른쉬타인의 수정주의」, 『인문학연구』, 1994.12.
「1980년대 이후 한국 역사학계의 몇가지 이론적 쟁점」, 『정치경제연구』, 1994.09.
「과도기적 이행기에 대한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국가론」, 『인문학연구』, 1993.12.
「한국에서의 역사적 유물론 연구현황과 전망」, 『사총』, 1993.12.
「맑스-엥겔스의 역사발전론에서의 목적론적 해석」, 『서양사론』, 1993.05.
「맑스-엥겔스의 역사발전론 5단계론과 다원론적 해석」, 『강원사학』, 1992.12.
「맑스-엥겔스의 역사발전론에 나타난 영속혁명론과 민주주의」, 『인문학연구』, 1992.12.
「헤르더의 사상에 나타난 총체적 역사인식」, 『사총』, 1992.06.
저역서
『전남동부지역 기독교 기관과 지역사회』, 국립순천대 인문학술원 종교역사문화센터, 2021(공저)
『제도와 문화현상』, 선인, 2020(공저)
『전남동부 기독교 선교와 한국사회』, 선인, 2019(공저)
『탈서구중심주의는 가능한가』, 아카넷, 2016(공저)
『지리산과 이상향』, 순천대·경상대 인문한국지리산권문화연구단, 2015(공저)
『지리산의 저항운동』, 순천대·경상대 인문한국지리산권문화연구단, 2015(공저)
『역사용어사전』, 서울대 역사연구소, 2015(공저)
『역사주의: 역사와 철학의 대화』, 경인문화사, 2014(공저)
『지리산권 동학농민혁명』, 지리산권문화연구원, 2014(공저)
『내촌마을의 삶과 터전』, 지리산권문화연구원, 2014(공저)
『순천 운평리 유적 3』, 순천대학교 박물관, 2014(공저)
『Geopolitics and Trajectories of Development: The Case of Korea, Japan, Taiwan, Germany, and Puerto Rico』, Institutue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y, 2010(공저)
『역사가들: E. H. 카에서 하워드 진까지』, 역사비평사, 2010(공저)
『중유럽민족문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재단, 2009(공저)
『맑스주의와 정치』, 문화과학사, 2009(공저)
『21세기 역사학 길잡이』, 경인문화사, 2008(공저)
『유럽중심주의 세계사를 넘어 세계사들로』, 푸른역사, 2009(공저)
『20대에 읽어야 할 한 권의 책』, 책세상, 2005(공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의 새로운 시작을 위하여』, 책세상, 2003(단독)
『역사론』, 민음사, 2002(단독)
『서양문명과 인종주의』, 지식산업사, 2002(공저)
『인류의 역사철학에 대한 이념』, 책세상, 2002(단독)
『포스트 모더니즘과 역사학』, 푸른역사, 2002(공저)
『곰브리치 세계사 1, 2권(감수)』, 자작나무, 1997(단독)
『비코와 헤르더』, 민음사, 1997(공저)
『1980년대 이후 한국의 맑스주의 연구』, 과학과사상, 1995(공저)
『마르크스의 역사적 유물론과 역사발전론』, 참한, 1994(단독)
『역사의 이론』, 문예출판사, 1988(단독)
닫기
더보기
학력 사항
전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사학과(문학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문학석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역사교육과(교육학박사)
경력 사항
순천대학교 박물관장
한국기와학회 회장
국립대학박물관협회장
호남고고학회 회장 역임.
현재 전라남도 문화재위원
한국성곽학회 부회장
한백문화재연구원 이사
호남문화재연구원 이사
전주문화유산연구원 이사
동북아지석묘연구소 이사
나라문화재연구원 이사
연구 실적
논문실적
「康津 玉蓮寺 木造釋迦如來坐像과 腹臟」, 『文化史學』 창간호, 1994.
「광양 옥룡사 선각국사 도선의 부도전지와 석관」, 『文化史學』 6?7합집, 1997.
「전남 동부지역의 백제산성 연구」, 『文化史學』 18호, 2002.
「寶城邑城에 대한 硏究」, 『文化史學』 24호, 2005.
「여수 흥국사 소장 ‘順天 大興寺 銅鐘’에 대한 고찰」, 『文化史學』 32호, 2009.
「順天 鴻內洞土城에 對한 硏究 - 순천의 호족 박영규를 중심으로 -」, 『한국성곽학보』 18, 2010.
「광양 마로산성 출토 막새기와에 대한 고찰」, 『文化史學』 33호, 2010.
「`期 百濟기와의 特徵과 成立過程」, 『文化史學』 35호, 2011.
「호남지방의 백제산성」, 『한국성곽학보』 26, 2014.
「珍島 雙溪寺 大雄殿 三尊佛像과 彫刻僧 熙藏」, 『文化史學』 44호, 2015.
저역서
『迦智山 寶林寺』, 용봉인쇄, 1995.
『호남의 불교문화와 불교유적』, 백산서당, 1998(공저).
『선암사』, 대원사, 2000(공저).
『麗水市의 山城』, 누리기획, 2003(공저).
『보성 列仙樓와 李舜臣』, 엔터, 2005(공저).
『명장 정걸장군』, 고흥군·국립순천대박물관, 2015(공저).
『임란순국공신 판관 김붕만』, 국립순천대학교박물관, 2016(공저).
『나말여초 신숭겸 연구』, 경인문화사, 2016(공저).
『임란기(壬亂期) 이순신 장군과 호남민중의 활약상』, 전라남도·순천대학교박물관, 2016(공저).
『전남의 임진왜란 관련 유적과 유물』, 국립순천대학교박물관, 2016.
『월출산과 왕인박사』, (사)왕인박사현창회, 2017(공저).
『나주 서성문 안 석등』, 국립순천대학교박물관, 2018(공저).
『한국의 기와』,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공저).
『문효공 윤효손과 신도비』, 도서출판 이안, 2019(공저).
『中國遼塔』, 학연문화사, 2019(공저).
『일본 데즈카야마대학 부속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국외소재문화재재단, 2020(공저).
『국역 추성지』, 도서출판 이안, 2020(공저).
닫기
더보기
학력 사항
고려대학교 사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졸업
경력 사항
역임
고려대, 성신여대, 안양과학대 강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연구원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한국국학진흥원 연구위원
경상북도, 전라남도 문화재전문위원
UBC(캐나다) 방문교수
순천대학교 박물관장
현임
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장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장
연구 실적
논문실적
「17세기 초반 예안 사족의 토지소유 분쟁과 그 성격」 『고문서연구』 40, 2012
「조선 세조대 기후특성과 재해 경감 노력」 『대기』 22-2, 2012
「15세기 후반 기후특성의 비교사적 고찰」 『국학연구』 21, 2012
「순천 왜교성전투와 조선민중의 동향」 『韓國史學報』 54, 2014
「18, 19세기 조선유학자의 정원 조영과 성격」 『남도문화연구』 26, 2014
「임진왜란 초기 대구지역의 의병 활동」 『역사학연구』 57, 2015
「三星齋 柳台衡의 현실인식과 개혁론」 『인천학연구』 22, 2015
「임란초기 영천지역 의병 항쟁과 영천성 복성復城」 『국학연구』 26, 2015
「광산김씨의 임란 의병활동과 의의」 『국학연구』 30, 2016
「임란 이후 순천지역 사족의 변화와 『승평지』 편찬」 『대구사학』 124, 2016
「무자오월일세폐수가초책 해제」 『민족문화연구』 81, 2018
「사도세자 관련 만인소의 정치적 의미」 『남도문화연구』 35, 2018
「18세기 제주의 진상제(進上制)와 상품유통」 『한국사연구』 186, 2019
「조선후기 실학자의 염정 개혁안과 성격」 『남도문화연구』 40, 2020
「『진자미전래상급용하구별책』의 내용과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사학보』 97, 2021
저역서
『한국국학진흥원 국역총서 2 난졸재선생문집』, 한국국학진흥원, 2012(공역)
『서울 2천년사 15-조선시대 서울 경제의 성장』, 서울시사편찬위원회, 2013(공저)
『상주 병풍산』, 상주박물관, 2014(공저)
『국역삼성재유고』, 성심인쇄, 2015(공역)
『명장 정걸장군』, 고흥군, 국립순천대학교박물관, 2015(공저)
『순천 양천허씨의 임란기 구국활동과 충렬사』, 순천대 지리산권문화연구원, 2015(공저)
『임란기 이순신장군과 호남민중의 활약상』, 전남, 순천대학교 박물관, 2016(공저)
『정유재란사』, 임진정유 동북아평화재단, 2018(공저)
『쉽게 읽는 서울사』, 서울역사편찬원, 2019(공저)
『문효공 윤효손과 신도비』, 구례군, 국립순천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남원윤씨 문효공파 종회, 2019(공저)
『밀암 이재 문파연구』, 고려대학교 출판부, 2020(공저)
『만인의 청원』, 한국국학진흥원, 2020(공저)
『조선시대 지방통치체제와 사회 경제적 변화』, 화성시, 2020(공저)
『남도바다, 사람이 살다』, 전라남도, 한국학호남진흥원, 2020(공저)
닫기
더보기
학력 사항
동국대학교 사학과 졸업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석사 졸업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졸업
경력 사항
전라남도 문화재 전문위원(2021.01.~2022.12)
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HK교수(2014.09.~2017.08.)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조교수(2013.03.~2014.08.)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2011.11.~2013.02)
경기도 문화재 전문위원(2014.05.~2017.04.)
연구 실적
논문실적
「해남 은적사의 문헌자료와 역사」, 『불교학보』 95, 2021.06.
「조선시대 이전 유마경의 전래와 간행」, 『서지학연구』 85, 2021.03.
「근현대 화엄사와 도광·도천 대종사의 불사」, 『남도문화연구』 39, 2020.04.
「조선시대 생전예수재의 설행과 의미」, 『불교학연구』 61, 2019.12.
「조선후기 환성 지안의 통도사 주석과 문도의 유풍 계승」, 『남도문화연구』 36, 2019.04.
「담양 용화사 소장 불서의 종류와 가치」, 『서지학연구』 75, 2018.09.
「18세기 불교계의 표충사(表忠祠)와 수충사(酬忠祠) 건립과 국가의 사액」, 『불교학연구』 56, 2018.09.
「지리산권 원효설화의 특징과 문화사적 의미」, 『보조사상』 49, 2017.11.
「조선후기 불교 신행의 전통과 현대적 계승」, 『동아시아불교문화』 31, 2017.09.
「전근대 지리산 불교의 역사적 변천과연구 과제」, 『한국불교학』 81, 2017.02.
「19세기 불교 外緣의 변화와 그 영향 -국가 권력층을 중심으로-」, 『동국사학』 61, 2016.12.
「16-17세기 유학자의 유람록으로 본 금강산 불교」, 『남명학연구』 51, 2016.09.
「19세기 『두류전지』의 지리산寺庵에 관한 기록 연구」, 『남도문화연구』 30, 2016.06.
「삼국·통일신라시대 山寺의 정착과 보살주처신앙의 성립」, 『남명학연구』 49, 2016.03.
「18세기 불교계의 동향과 송광사의 위상」, 『보조사상』 45, 2016.02.
「16-18세기 유학자의 지리산 유람과 승려 교류」, 『남명학연구』 46, 2015.06.
「조선후기 화엄학의 유행과 그 배경」, 『불교학연구』 42, 2015.04.
「해남 대흥사의 천불 조성과 그 시주자들」, 『강좌미술사』 43, 2014.12.
「응송 박영희 소장 불교문헌의 종류와 가치」, 『불교학보』 68, 201.08.
「북한의 불교 고문헌과 그 특성」, 『서지학연구』 58, 2014.06.
「조선후기 가흥대장경의 復刻」, 『서지학연구』 56, 2013.12.
「1652년 官府文書를 통해 본 효종대 불교정책 연구」, 『한국불교학』 67, 2013.10.
「조선시대 연등회의 存廢와 불교사적 의미」, 『불교연구』 37, 2012.08.
「조선후기 三門修學과 禪 논쟁의 전개」, 『한국불교학』 63, 2012.08.
「조선후기 불교 私記 집성의 현황과 과제」, 『불교학보』 61, 2012.04.
「17세기 유학자의 불교인식 변화」, 『보조사상』 37, 2012.02.
「조선후기 大芚寺 현창 운동과 그 의미」, 『동국사학』 50, 2011.06.
「19세기 건봉사 만일회와 불교사적 의미」, 『동국사학』 49, 2010.12.
「조선후기 불교 履歷科目의 선정과 그 의미」, 『한국사연구』 150, 2010.09.
「17세기 말 心性論에 있어서 儒佛 교섭의 가능성」, 『보조사상』 32, 2009.08.
「黃檗版一切經に嘉興續藏が收錄されていない理由について」, 『東アジア佛敎硏究』 7, 2009.05.
「19세기 『山史略抄』의 佛敎史 서술」, 『동국사학』 45, 2008.12.
「숙종 7년 중국선박의 표착과 백암성총의 불서간행」, 『불교학연구』 21, 2008.12.
「18세기 기성쾌선의 念佛門 연구 - 念佛門의 禪敎 껴안기 -」, 『보조사상』 30, 2008.08.
「조선후기 淨土思想 연구- 《한국불교전서》 소재 정토 서적을 중심으로 -」, 『회당학보』 13, 2008.06.
「조선후기 불교계의 心性 논쟁 - 雲峰의 『心性論』을 중심으로 -」, 『보조사상』 29, 2008.12.
저역서
『월봉집』, 동국대학교출판부, 2021(단독 역서)
『조선의 왕실사찰 삼각산 흥천사』, 흥천사, 2018(공저)
『묵담대종사, 그의 선교율』, 묵담대종사문도회, 2017(공저)
『돌에 새겨진 범어사』, 금정총림 범어사성보박물관, 2017(공저)
『지리산권 불서』, 선인, 2016(단독)
『지리산권 불교의 사상과 문화』, 선인, 2015(공저)
『지리산권 인물의 삶과 정신』, 선인, 2015(공저)
『동아시아 한국불교사료. 일본문헌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공동 역서)
『사지자료집 1 - 대흥사편 1』,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공동 역서)
『운봉선사심성론』, 동국대학교출판부, 2011(단독 역서)
『한국천태종사』, 대한불교천태종 출판부, 2010(공저)
닫기
더보기
학력 사항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 석사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 박사 졸업
경력 사항
고려대학교 박물관 연구원(2006.07~2008.02)
역사문제연구소 사무국장(2008.03~2010.02)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원(2010.03~2012.02)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원(2012.03~2016.02)
고려대학교 BK21+ 한국사학미래인재양성사업단 연구교수(2018.03~2018.12)
고려대학교 강사(2018.03~2018.12, 2022.03~2022.08)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2019.01~2022.08)
연구 실적
논문실적
「2020~2021년 팬데믹 시기 ‘정중동’의 한국현대사 연구」, 『역사학보』255, 2022.
「1980년대 후반 증시호황기 ‘개미’의 탄생과 시련」, 『역사비평』139, 2022.
「1950년대 나일론 유행의 정치경제적 조건과 자본의 대응」, 『역사와담론』100, 2021.
「군사정부, 부정축재 대자본가들을 만나다」, 『역사비평』135호, 2021.
「전태일의 ‘태일피복’ 구상과 1960-1970년대 평화시장 봉제업계」, 『역사문제연구』45호, 2021.
「1950년대 후반 경영능력 제고 시스템의 가동과 ‘현대’ 경영자 양성」, 『한국사연구』188호, 2020.
「‘공식’ 경제의 이면- 한국과 세계의 접속자, 아이젠버그」, 『역사비평』 125호, 2018.
「1960년대 외자도입법 시행하 박정희 정부의 외자도입 인가 실태- 1966~1969년 상업차관을 중심으로」, 『경제사학』 제42권 제2호, 2018.
「박정희 정권기 대자본의 정유업 진출 경쟁과 정책 견인」, 『역사비평』 122호, 2018.
「1960년대 대자본의 일본 외자도입 개시와 조직적 대응」, 『사학연구』 128호, 2017.
「박정희 정권 시기 대자본의 외자도입과 금융기관 진출 연구(1960~1973년)」, 고려대 한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8.
「자본시장 육성과 기업공개- 1967~1973년 전경련의 추진과 기업의 시행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34호, 2015.
「전경련의 ‘합리적’ 내자 조달방안 요구와 전개:1966~1972년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32, 2014.
「5·16군사정부의 상업차관 도입과 운용 : 대자본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84호, 2012.
「4.19에 대한 대자본가의 대응과 축적방식의 변화」 『역사문제연구』 25, 2011.
「1970년대 초중반 두 차례의 경제위기와 박정희 정부의 대응」, 『한국사학보』 38, 2010.
「1950년대 노동 지배 담론과 노동자의 대응」, 『역사비평』 83호, 2008.
「1950년대 자본주의적 노동문제의 인식과 대응-노무관리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 19호, 2008.
「1950년대 대한방직협회의 활동과 성격-원조경제하 조직을 통한 대자본가의 이윤추구 방식과 한계」, 고려대 한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8.
저역서
『한국현대사 연구의 쟁점』,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2(공저)
『금천현대사』, 금천문화원, 2021 (공저)
『삼척 간첩단 조작 사건』, 책과함께, 2021 (공저)
『쉽게 읽는 서울사-현대편2』, 서울역사편찬원, 2021 (공저)
『간첩시대』, 책과함께, 2020 (공저)
『서울 동의 역사- 금천구』, 서울역사편찬원, 2020 (공저)
『서울 동의 역사-송파구』제2권, 서울역사편찬원, 2019 (공저)
『韓????展の始動 = Starting Development in Korea』 , 日本??評論社, 2018 (공저)
『역사 영상을 비추다』1~8권, 선인, 2017 (공저)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 1960년대』, 창비, 2016 (공저)
『냉전분단시대 한반도의 역사 읽기 : 분단국가의 수립과 국제관계(1)』, 선인, 2015 (공저)
『광주시사』5권, 광주시사편찬위원회, 2010 (공저)
닫기
더보기
학력 사항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동양사학과 졸업(문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동양사학과 졸업(문학석사)
대만 국립정치대학교 역사학연구소 졸업(문학박사)
경력 사항
순천대학교 인예대 사학과 교수 역임
동북아역사재단 역사연구실장 역임
연구 실적
논문실적
석사논문: 1920년대 초 北京軍閥政府와 列强--臨城事件의 처리과정을 중심으로
박사논문: 戰前平津地區知識分子對日本侵華反應之硏究(1931-1937)--以《獨立評論》·《大公報》·《國聞週報》爲中心之探討
발표논문
1. 列强與北京政府對臨城事件(1923年)之對應, 『中國農業大學 社會科學學報』, 1996年 1-2 期 合刊, 1996, 6
2. 9·18사변(1931년)과 中國北方知識人, 『全南史學』, 제11집, 1997, 12
3. 日本의 熱河 侵略과 『獨立評論』(1932-1933), 『中國現代史硏究』, 제3집, 1997,6
4. 抗日戰爭前 일본의 中國侵略에 대한 平津 지식인의 반은-傅斯年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東洋史學硏究室 編, 『中國近現代史의 재조명2』, 지식산업사, 1999, 12
5. 傅斯年對抗日問題的認識與反應(1931-1937年), 北京日本學硏究中心, 『世紀之交的決擇- 近代中日韓三國歷史發展比較』, 世界知識出版社, 2000年 10月
6. 丁文江의 抗日問題認識과 反應, 『中國學報』, 제42집, 2000, 12
7. 『大衆生活』週刊과 12·9학생운동(1935년), 『全南史學』, 제17집, 2001, 12
8. 『大衆生活』週刊과 抗日問題, 『中國學報』, 제44집, 2001, 12
9. 沈鈞儒와 憲政問題, 『東洋史學硏究』, 제79집, 2002, 7
10. 回顧와 展望: 中國現代(1911-), 『歷史學報』, 제175집, 2002, 9
11. 『東亞日報』 中國特派員 申彦俊(1904-1938)의 中國時局問題認識, 『역사문화연구』, 제23집, 2005, 12
12. 廣州農民運動講習所의 設立意圖와 敎育內容, 『역사문화연구』, 제27집, 2007, 6
13. 第1次 出國 前 鄒韜奮의 抗日問題認識과 反應, 『역사문화연구』, 제30집, 2008. 6.
저역서
『中國近現代史의 재조명2』, 지식산업사, 1999(공저)
『타자인식과 상호 소통의 역사』, 신서원, 2011(공저)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