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Eco mover, Glocal SCNU

나노·마이크로디그리

나노·마이크로디그리

나노디그리
역사콘텐츠전문가과정


과정 소개

  • 역사학적 지식과 방법론을 디지털 기술과 융합하여, 시대적 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역사 콘텐츠 교육을 제공합니다.
  • GIS 프로그램을 활용해 역사 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다양한 주제도와 시각 자료를 제작하며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오픈 데이터셋 활용 능력을 기릅니다.
  •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스토리텔링 이론과 실습을 통해, 기획에서 촬영·편집까지 전 과정을 경험하며 영상·출판·디지털 미디어 등 다양한 콘텐츠를 창작합니다.
  • 과정을 통해 HGIS 및 디지털 역사콘텐츠 분야의 전문성을 갖춘 융합형 인재로 성장하며, 학문적 성과를 사회와 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춥니다.

과정 편성표(교육과정 편람 참고)

개설
학부·학과·전공
학기 과목코드 교과목명 학점 시간 이수 구분 이수학점
이론 실습

사학전공

1

HI0851

HGIS(역사지리정보시스템) 활용연습

3

2

2

선택

9

사학전공

2

HI0852

HGIS(역사지리정보시스템) 응용

3

2

2

선택

문예창작학전공

1

LI0692

디지털 콘텐츠 기획

3

3

0

선택

영상디자인학전공

2

DE1516

디지털 스토리텔링

3

3

0

선택

교과목 개요

연번 교과목명 교과목 개요 (교육 목표 및 교육 내용)

1

HGIS(역사지리정보시스템) 활용 연습

- 역사지리정보를 반영한 자료를 수집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실습.
- 전통시대 다양한 형식의 사료 이해를 기반으로 기초 수준의 코딩을 적용하여 공공기관의 오픈 데이터셋 활용법 학습.
- GIS 프로그램을 구동 및 기초 학습.

2

HGIS(역사지리정보시스템) 응용

- G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단순 주제도, 다변량 주제도, 시계열 지도, 삽화(Illustration) 등 다양한 이미지 표현 실습.
- 지도 혹은 일러스트 형식으로 제작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책, 영상 등 다양한 미디어 매체의 역사문화 콘텐츠로 확장 탐구.

3

디지털 콘텐츠 기획

- 스토리텔링으로부터 최종 영상물 창작에 이르는 미디어 콘텐츠 제작 과정 실습.
- 발굴, 기획, 시나리오화, 그리고 다양한 촬영기법과 편집기술 등을 활용해 콘텐츠 제작 실무의 전 과정 수행.

4

디지털 스토리텔링

- 디지털 기술 기반의 콘텐츠 제작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법의 이론 학습과 실습.
- 디지털 인터랙티브/리니어 스토리텔링 등 디지털 기술환경에 따른 스토리텔링 과정 전반 학습.

참여교원

구분 학부·학과·전공 성명 비고

주관 학과

사학전공

이정은

책임교수

사학전공

양정현

참여교수 (학술연구교수)

참여 학과

문예창작학전공

김영남

참여교수

영상디자인학전공

김동조

참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