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국립순천대학교
입학안내
LOGIN
사학전공
학과소개
입학안내
학사안내
열린마당
국립순천대학교
지역혁신을 선도하는
글로컬 대학,
세계를 품은
남해안권 거점 대학!
학과소개
학과 소개
학과 연혁
교수진
전임교수
명예교수
강사
전공능력별 맵핑
졸업 후 진로
오시는길
학사안내
교과과정
나노·마이크로디그리
학과 내규
입학규정
졸업규정
일반대학원
교육대학원
열린마당
공지사항
Q&A
자유게시판
포토갤러리
동문게시판
학부광장
학생회공지
학생회활동
학생회게시판
수업광장
학부수업자료실
대학원수업자료실
SEARCH
검색 활성화
통합검색
검색
검색 비활성화
검색 비활성화
전체메뉴
HOME
LOGIN
전체메뉴 닫힘
Eco mover, Glocal SCNU
전임교수
전임교수
교수진을 소개합니다.
이욱 교수
이종수 교수
이정은 교수
오동선 교수
이 욱
교수 (Lee, Uk)
직급
교수
전공/학위
한국사(조선시대사)
전화번호
061-750-3476
이메일
lwwsh@scnu.ac.kr
더보기
학력 사항
고려대학교 사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졸업
경력 사항
역임
고려대, 성신여대, 안양과학대 강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연구원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한국국학진흥원 연구위원
경상북도, 전라남도 문화재전문위원
UBC(캐나다) 방문교수
순천대학교 박물관장
현임
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장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장
연구 실적
논문실적
「17세기 초반 예안 사족의 토지소유 분쟁과 그 성격」 『고문서연구』 40, 2012
「조선 세조대 기후특성과 재해 경감 노력」 『대기』 22-2, 2012
「15세기 후반 기후특성의 비교사적 고찰」 『국학연구』 21, 2012
「순천 왜교성전투와 조선민중의 동향」 『韓國史學報』 54, 2014
「18, 19세기 조선유학자의 정원 조영과 성격」 『남도문화연구』 26, 2014
「임진왜란 초기 대구지역의 의병 활동」 『역사학연구』 57, 2015
「三星齋 柳台衡의 현실인식과 개혁론」 『인천학연구』 22, 2015
「임란초기 영천지역 의병 항쟁과 영천성 복성復城」 『국학연구』 26, 2015
「광산김씨의 임란 의병활동과 의의」 『국학연구』 30, 2016
「임란 이후 순천지역 사족의 변화와 『승평지』 편찬」 『대구사학』 124, 2016
「무자오월일세폐수가초책 해제」 『민족문화연구』 81, 2018
「사도세자 관련 만인소의 정치적 의미」 『남도문화연구』 35, 2018
「18세기 제주의 진상제(進上制)와 상품유통」 『한국사연구』 186, 2019
「조선후기 실학자의 염정 개혁안과 성격」 『남도문화연구』 40, 2020
「『진자미전래상급용하구별책』의 내용과 자료적 가치」 『조선시대사학보』 97, 2021
저역서
『한국국학진흥원 국역총서 2 난졸재선생문집』, 한국국학진흥원, 2012(공역)
『서울 2천년사 15-조선시대 서울 경제의 성장』, 서울시사편찬위원회, 2013(공저)
『상주 병풍산』, 상주박물관, 2014(공저)
『국역삼성재유고』, 성심인쇄, 2015(공역)
『명장 정걸장군』, 고흥군, 국립순천대학교박물관, 2015(공저)
『순천 양천허씨의 임란기 구국활동과 충렬사』, 순천대 지리산권문화연구원, 2015(공저)
『임란기 이순신장군과 호남민중의 활약상』, 전남, 순천대학교 박물관, 2016(공저)
『정유재란사』, 임진정유 동북아평화재단, 2018(공저)
『쉽게 읽는 서울사』, 서울역사편찬원, 2019(공저)
『문효공 윤효손과 신도비』, 구례군, 국립순천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남원윤씨 문효공파 종회, 2019(공저)
『밀암 이재 문파연구』, 고려대학교 출판부, 2020(공저)
『만인의 청원』, 한국국학진흥원, 2020(공저)
『조선시대 지방통치체제와 사회 경제적 변화』, 화성시, 2020(공저)
『남도바다, 사람이 살다』, 전라남도, 한국학호남진흥원, 2020(공저)
닫기
이종수
교수 (Lee, Jong-Su)
직급
교수
전공/학위
한국 불교사
전화번호
061-750-3477
이메일
su5589@scnu.ac.kr
더보기
학력 사항
동국대학교 사학과 졸업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석사 졸업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 졸업
경력 사항
전라남도 문화재 전문위원(2021.01.~2022.12)
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HK교수(2014.09.~2017.08.)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조교수(2013.03.~2014.08.)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2011.11.~2013.02)
경기도 문화재 전문위원(2014.05.~2017.04.)
연구 실적
논문실적
「해남 은적사의 문헌자료와 역사」, 『불교학보』 95, 2021.06.
「조선시대 이전 유마경의 전래와 간행」, 『서지학연구』 85, 2021.03.
「근현대 화엄사와 도광·도천 대종사의 불사」, 『남도문화연구』 39, 2020.04.
「조선시대 생전예수재의 설행과 의미」, 『불교학연구』 61, 2019.12.
「조선후기 환성 지안의 통도사 주석과 문도의 유풍 계승」, 『남도문화연구』 36, 2019.04.
「담양 용화사 소장 불서의 종류와 가치」, 『서지학연구』 75, 2018.09.
「18세기 불교계의 표충사(表忠祠)와 수충사(酬忠祠) 건립과 국가의 사액」, 『불교학연구』 56, 2018.09.
「지리산권 원효설화의 특징과 문화사적 의미」, 『보조사상』 49, 2017.11.
「조선후기 불교 신행의 전통과 현대적 계승」, 『동아시아불교문화』 31, 2017.09.
「전근대 지리산 불교의 역사적 변천과연구 과제」, 『한국불교학』 81, 2017.02.
「19세기 불교 外緣의 변화와 그 영향 -국가 권력층을 중심으로-」, 『동국사학』 61, 2016.12.
「16-17세기 유학자의 유람록으로 본 금강산 불교」, 『남명학연구』 51, 2016.09.
「19세기 『두류전지』의 지리산寺庵에 관한 기록 연구」, 『남도문화연구』 30, 2016.06.
「삼국·통일신라시대 山寺의 정착과 보살주처신앙의 성립」, 『남명학연구』 49, 2016.03.
「18세기 불교계의 동향과 송광사의 위상」, 『보조사상』 45, 2016.02.
「16-18세기 유학자의 지리산 유람과 승려 교류」, 『남명학연구』 46, 2015.06.
「조선후기 화엄학의 유행과 그 배경」, 『불교학연구』 42, 2015.04.
「해남 대흥사의 천불 조성과 그 시주자들」, 『강좌미술사』 43, 2014.12.
「응송 박영희 소장 불교문헌의 종류와 가치」, 『불교학보』 68, 201.08.
「북한의 불교 고문헌과 그 특성」, 『서지학연구』 58, 2014.06.
「조선후기 가흥대장경의 復刻」, 『서지학연구』 56, 2013.12.
「1652년 官府文書를 통해 본 효종대 불교정책 연구」, 『한국불교학』 67, 2013.10.
「조선시대 연등회의 存廢와 불교사적 의미」, 『불교연구』 37, 2012.08.
「조선후기 三門修學과 禪 논쟁의 전개」, 『한국불교학』 63, 2012.08.
「조선후기 불교 私記 집성의 현황과 과제」, 『불교학보』 61, 2012.04.
「17세기 유학자의 불교인식 변화」, 『보조사상』 37, 2012.02.
「조선후기 大芚寺 현창 운동과 그 의미」, 『동국사학』 50, 2011.06.
「19세기 건봉사 만일회와 불교사적 의미」, 『동국사학』 49, 2010.12.
「조선후기 불교 履歷科目의 선정과 그 의미」, 『한국사연구』 150, 2010.09.
「17세기 말 心性論에 있어서 儒佛 교섭의 가능성」, 『보조사상』 32, 2009.08.
「黃檗版一切經に嘉興續藏が收錄されていない理由について」, 『東アジア佛敎硏究』 7, 2009.05.
「19세기 『山史略抄』의 佛敎史 서술」, 『동국사학』 45, 2008.12.
「숙종 7년 중국선박의 표착과 백암성총의 불서간행」, 『불교학연구』 21, 2008.12.
「18세기 기성쾌선의 念佛門 연구 - 念佛門의 禪敎 껴안기 -」, 『보조사상』 30, 2008.08.
「조선후기 淨土思想 연구- 《한국불교전서》 소재 정토 서적을 중심으로 -」, 『회당학보』 13, 2008.06.
「조선후기 불교계의 心性 논쟁 - 雲峰의 『心性論』을 중심으로 -」, 『보조사상』 29, 2008.12.
저역서
『월봉집』, 동국대학교출판부, 2021(단독 역서)
『조선의 왕실사찰 삼각산 흥천사』, 흥천사, 2018(공저)
『묵담대종사, 그의 선교율』, 묵담대종사문도회, 2017(공저)
『돌에 새겨진 범어사』, 금정총림 범어사성보박물관, 2017(공저)
『지리산권 불서』, 선인, 2016(단독)
『지리산권 불교의 사상과 문화』, 선인, 2015(공저)
『지리산권 인물의 삶과 정신』, 선인, 2015(공저)
『동아시아 한국불교사료. 일본문헌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공동 역서)
『사지자료집 1 - 대흥사편 1』, 동국대학교출판부, 2014(공동 역서)
『운봉선사심성론』, 동국대학교출판부, 2011(단독 역서)
『한국천태종사』, 대한불교천태종 출판부, 2010(공저)
닫기
이정은
교수 (Lee, Jung-Eun)
직급
조교수
전공/학위
한국 현대사
전화번호
061-750-3478
이메일
karenin012@scnu.ac.kr
더보기
학력 사항
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 석사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 박사 졸업
경력 사항
고려대학교 박물관 연구원(2006.07~2008.02)
역사문제연구소 사무국장(2008.03~2010.02)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원(2010.03~2012.02)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원(2012.03~2016.02)
고려대학교 BK21+ 한국사학미래인재양성사업단 연구교수(2018.03~2018.12)
고려대학교 강사(2018.03~2018.12, 2022.03~2022.08)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2019.01~2022.08)
연구 실적
논문실적
「해방 직후 전남 동부지역의 지주·소작관계 변화와 농지문제」, 『역사문제연구』57호, 2025.
「한국 수출전선의 첨병, ‘상사맨’의 등장과 ‘신화’」, 『역사문제연구』56호, 2025.
「‘안동준 자료’를 통해 본 제7대 국회의 예산 심의 활동과 정부재정」, 『사학연구』154, 2004.
「해방 이후 전남동부지역 식민지기 경제 유산 고찰-여수를 중심으로」,『인문학술』12, 2024.
「여순사건과 농지개혁, 그리고 지역의 경험 아울러보기」,『인문학술』제10호, 2023.
「2020~2021년 팬데믹 시기 ‘정중동’의 한국현대사 연구」, 『역사학보』255, 2022.
「1980년대 후반 증시호황기 ‘개미’의 탄생과 시련」, 『역사비평』139, 2022.
「1950년대 나일론 유행의 정치경제적 조건과 자본의 대응」, 『역사와담론』100, 2021.
「군사정부, 부정축재 대자본가들을 만나다」, 『역사비평』135호, 2021.
「전태일의 ‘태일피복’ 구상과 1960-1970년대 평화시장 봉제업계」, 『역사문제연구』45호, 2021.
「1950년대 후반 경영능력 제고 시스템의 가동과 ‘현대’ 경영자 양성」, 『한국사연구』188호, 2020.
「‘공식’ 경제의 이면- 한국과 세계의 접속자, 아이젠버그」, 『역사비평』 125호, 2018.
「1960년대 외자도입법 시행하 박정희 정부의 외자도입 인가 실태- 1966~1969년 상업차관을 중심으로」, 『경제사학』 제42권 제2호, 2018.
「박정희 정권기 대자본의 정유업 진출 경쟁과 정책 견인」, 『역사비평』 122호, 2018.
「1960년대 대자본의 일본 외자도입 개시와 조직적 대응」, 『사학연구』 128호, 2017.
「박정희 정권 시기 대자본의 외자도입과 금융기관 진출 연구(1960~1973년)」, 고려대 한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8.
「자본시장 육성과 기업공개- 1967~1973년 전경련의 추진과 기업의 시행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34호, 2015.
「전경련의 ‘합리적’ 내자 조달방안 요구와 전개:1966~1972년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32, 2014.
「5·16군사정부의 상업차관 도입과 운용 : 대자본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84호, 2012.
「4.19에 대한 대자본가의 대응과 축적방식의 변화」 『역사문제연구』 25, 2011.
「1970년대 초중반 두 차례의 경제위기와 박정희 정부의 대응」, 『한국사학보』 38, 2010.
「1950년대 노동 지배 담론과 노동자의 대응」, 『역사비평』 83호, 2008.
「1950년대 자본주의적 노동문제의 인식과 대응-노무관리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 19호, 2008.
「1950년대 대한방직협회의 활동과 성격-원조경제하 조직을 통한 대자본가의 이윤추구 방식과 한계」, 고려대 한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6.8.
저역서
『현대자동차 포니의 탄생과 성장』, 포니정재단, 2025 (공저)
『냉전의 기원과 연쇄』, 국립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5 (공저)
『전쟁의 경험과 기억』, 국립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4 (공저)
『투자권하는 사회 : 투자에서 투기까지, 대중투자 사회의 역사』, 역사비평사, 2023(공저)
『한국현대사 연구의 쟁점』,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2(공저)
『금천현대사』, 금천문화원, 2021 (공저)
『삼척 간첩단 조작 사건』, 책과함께, 2021 (공저)
『쉽게 읽는 서울사-현대편2』, 서울역사편찬원, 2021 (공저)
『간첩시대』, 책과함께, 2020 (공저)
『서울 동의 역사- 금천구』, 서울역사편찬원, 2020 (공저)
『서울 동의 역사-송파구』제2권, 서울역사편찬원, 2019 (공저)
『韓????展の始動 = Starting Development in Korea』 , 日本??評論社, 2018 (공저)
『역사 영상을 비추다』1~8권, 선인, 2017 (공저)
『한국현대 생활문화사 : 1960년대』, 창비, 2016 (공저)
『냉전분단시대 한반도의 역사 읽기 : 분단국가의 수립과 국제관계(1)』, 선인, 2015 (공저)
『광주시사』5권, 광주시사편찬위원회, 2010 (공저)
닫기
오동선
교수 (Oh, Dong-sun)
직급
조교수
전공/학위
한국 고대고고학
전화번호
061-750-3471
이메일
ods99@scnu.ac.kr
더보기
학력 사항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문학사)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고고학전공 (문학석사)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화인류고고학과 고고학전공 (문학박사)
경력 사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고고연구실 학예연구사
국립나주문화유산연구원 학예연구사
국립강화문화유산연구원 학예연구사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원 학예연구사
연구 실적
논문실적
「湖南地域 甕棺墓의 變遷」 『湖南考古學報』30, 湖南考古學會, 2008.
「羅州 新村里 9號墳의 築造過程과 年代再考-羅州 伏岩里 3號墳과의 비교검토」 『韓國考古學報』73, 韓國考古學會, 2009.
「榮山江流域圈 蓋杯의 登場과 變遷過程」 『韓國考古學報』98, 韓國考古學會, 2016.
「5~6세기 榮山江流域圈의 動向과 倭系古墳의 意味」 『百濟學報』20, 百濟學會, 2017.
「삼국시대 화살통의 등장과 전개과정」 『韓國考古學報』109, 韓國考古學會, 2018.
「영산강유역권 사비기 석실의 변천과 의미」 『韓國考古學報』112, 韓國考古學會, 2019.
「남원 아영분지 고분 조영세력의 변천과 성격」 『韓國考古學報』117, 韓國考古學會, 2020.
「영산강유역권의 백제 편입과정에 대한 고고학적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2.
「영산강유역권 백제 금속위세품의 변천과 토착세력의 동향」 『湖南考古學報』72, 湖南考古學會, 2022.
「고려시대 남경 궁궐의 위치 비정」 『한국중세사연구』71, 한국중세사학회, 2022.
「해남지역 고분의 변천과 역사적 의미」 『湖南考古學報』75, 湖南考古學會, 2023.
「백제의 서남해안지역 장악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韓國考古學報』129, 韓國考古學會, 2023.
「백제의 삼포천유역 장악과정과 토착세력의 동향」 『湖南考古學報』78, 湖南考古學會, 2024.
「웅진기 왕릉과 귀족묘의 구조 변천과 규제양상」 『한국고대사연구』115, 한국고대사학회, 2024.
「영산강유역권 옹관의 성립과 전개」 『韓國考古學報』133, 韓國考古學會, 2024.
「나주 다시고분군 조영세력의 변천과 역사적 의미」 『湖南考古學報』79, 湖南考古學會, 2025.
「백제 사비기 왕릉의 석실 구조 변천과 조영과정」 『韓國考古學報』126, 韓國考古學會, 2025.
저역서
『마한사 연구현황과 쟁점』, 국립나주박물관, 2024 (공저).
『백제인 죽은자의 이야기 산자의 해석』,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 한성백제박물관, 2024 (공저).
『해남 북일면 일대 고분군의 성격』, 해남군, 2023 (공저).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29호분』 발굴조사보고서,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23 (공저).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1차』 발굴조사보고서,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23 (공저).
『천오백년전, 나주의 기억』, 동신대학교 영산강문화연구센터, 2023 (공저).
『호남지역 삼국시대 화살통 제작기술 복원』,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23 (공저).
『나주 송제리 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22 (공저).
『영암 마한고분의 조사성과와 활용방안』, 솔기획, 2020 (공저).
『나주 정촌고분 출토 모자도 제작기술 복원』,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20 (공저).
『장수 동촌리 고분군 28, 25-1호』 발굴조사보고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20 (공저).
『고대 아시아의 독널문화』, 국립나주박물관, 2020 (공저).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 발굴조사보고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7 (공저).
『마한백제토기 연구 성과와 과제』, 학연문화사, 2017 (공저).
『마한 분구묘 비교 검토』, 학연문화사, 2015 (공저).
『고흥 야막고분』 발굴조사보고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4 (공저).
『나주시 문화유산 종합학술조사보고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09 (공저).
『나주 화정리, 나주 대안리 방두 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09 (공저).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