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케어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발 역량
|
·데이터 기반 수요자의 특성을 고려한 웰케어 서비스 기술 개발
·데이터 기반 융합형 웰케어 서비스 수요자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웰케어 서비스의 질 향상 기술 개발
·웰케어 서비스 성과 측정 기술 개발
·데이터 기반 서비스 도메인별 웰케어 프로그램 개발
·웰케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기반 정보관리 프로그램 개발
|
·웰케어 가상현실 콘텐츠/디바이스 산업, 웰케어 네트워크 기업 등
·학교/시설/기업 단체급식 업체 등
·건강기능식품 분야, 스포츠 재활클리닉, 스포츠 건강관리 센터 등
·사회복지기관, 병원 등
|
웰케어 서비스 실천 역량
|
·대상별 웰케어 서비스 개입
·웰케어 서비스 이용자 데이터 관리
·데이터 기반 서비스 영역별 웰케어 수요 발굴 및 전문기관 연계
·서비스 영역별 웰케어 서비스 질 관리(성과 측정, 평가 및 피드백)
·서비스 영역별 웰케어 서비스 융합
|
·사회복지기관, 노인/장애인, 아동/청소년/가족, 의료/정신건강 관련 기관
·공공부문(지자체 공무원, 공단 등), 국·공립·사립학교, 병원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