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Eco mover, Glocal SCNU

프로그램 개요

프로그램 개요

S-SOA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Architecture
Design Build Sustain Community


건축학교육인증프로그램

국립순천대학교 건축학부의 건축학사 학위는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KAAB)이 제시하는 인증기준 및 절차를 준수하고 건축학교육 전문학위 인증을 취득한 프로그램으로서, 캔버라협약(Canberra Accord) 회원 인증기관들과 유네스코-세계건축사연맹(UNESCO-UIA) 건축학교육인증기구(UVCAE)가 동시에 인정하는 전문학위 프로그램이다. 인증 받은 건축학교육 전문학위 취득을 건축사등록원에 등록하는 등록 건축사의 필수 자격 요건으로 명시하고 있는 것은 국제적 추세이다. (www.kaab.or.kr 참조) 국내 건축학교육 전문학위 프로그램은 교육기관의 선택에 의해 5년제 학부 학위과정 또는 학석사 연계/통합 학위과정 또는 2년제 이상 대학원 학위과정으로 운영되며, 인증의 지속적 유지를 위해 정기적으로 인증심사를 받아야 한다.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은 인증기준 및 절차를 바탕으로 인증심사를 수행하며, 각 교육 프로그램은 그 심사결과에 따라 6년(최초인증은 5년) 인증, 4년(최초인증은 3년) 인증, 조건부 3년(최초인증은 조건부 2년) 인증, 인증유예 및 거부 판정을 받을 수 있다. 국립순천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학사 학위 교육 프로그램은 2019년 최초인증(최고등급 5년) 이후, 2024년 재인증(최고등급 6년)을 획득하여 건축학교육 전문학위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다. 

학과소개

국립순천대학교 건축학부는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KAAB)으로부터 2회 연속 최우수 등급 인증을 받은 학과로 우리사회의 "지속 가능한 공공성"을 위한 전문적인 건축인 배출을 목표로 5년제 전문 학위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디자인 스튜디오 교육을 기반으로 계획 및 설계, 이론, 역사, 친환경 분야는 물론 공학 분야의 기초에 이르기까지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합니다.

특히 디자인 스튜디오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우리가 살고있는 환경에 관한 깊이 있는 리서치와 토론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보다 나은 환경을 구축하는 건축 디자인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석·박사 과정에는 계획 및 설계, 역사, 기술 및 건축공학 분야에서 심화된 교육과 연구를 통하여 건축전문가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우리 건축학부에서는 급변하는 오늘날의 사회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합리적이고 다층적인 의미를 지닌 건축을 실현하고 나아가 세계를 무대로 활동할 건축가와 건축에니지어를 육성하기 위하여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교육목표

국립순천대학교 건축학부의 교육 목표는 ‘지속가능한 공공성을 위한 전문적인 건축가 양성’입니다. 특히 ‘지속가능한 공공성’은 순천만 국가정원과 ‘생태수도’순천의 지역적 특성과 연계되어 친환경 건축의 구현, 전통건축의 보존과 지속성의 탐구, 사회적 약자를 포함한 윤리적인 건축 교육, 창의적이며 구축 가능한 설계교육의 목표를 지향합니다.

교육목표
교육목표 지속가능한 공공성을 위한 전문적인 건축가 양성

세부교육목표

1. 종합적 해결능력이 있는 창의적 건축가 양성 Design

2. 전문성을 가진 실무형 건축가 양성 Build

3. 지속가능한 건축을 실현하는 건축가 양성 Sustain

4. 지역과 사회에 대한 책임을 인지한 건축가 양성 Community

핵심역량

단과대학 전공능력

학과 전공능력

전공 교과목(맵핑)

교양 교과목

취업/창업 분야

창의적 문제 해결


융복합 종합 사고


글로컬 도전 역량

건축과 예술 및 과학기술

서양건축사

근대건축사

현대건축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 교육


자연과학 글쓰기


인문사회과학 글쓰기


영어작문


철학개론


심리학개론


미학개론


현대예술의 이해


미술의 이해


음악의 이해


사회학개론


경제학개론


사회복지학개론


사회학의 이해


지방자치와 지역발전


지역산업의 이해


지구과학 및 실험1


생태계와 환경오염


ICT : 창조적 융합 지식 생활


인류생활과 환경이슈


기후변화와 녹색도시


문명과 함께하는 기술

건축설계사무소 건축사


건설회사 건축기사


건축구조사무소 구조기사


건설엔지니어링회사 감리


한국토지주택공사 건축직

세계건축의 역사와 문화

서양건축사

근대건축사

현대건축

한국 건축과 전통

한국건축사

건축과 사회

건축과 인간행태

건축계획각론

한국건축사

서양건축사

근대건축사

단지계획

현대건축

지속가능한 도시계획

행태와 공간구성

건축설계Ⅰ

CAAD

건축설계Ⅱ

디지털건축

건축설계Ⅲ

디지털패브리케이션

건축설계Ⅳ

건축설계Ⅴ

대지와 외부공간 계획

건축설계Ⅲ

건축설계Ⅳ

단지계획

건축설계Ⅴ

건축설계Ⅵ

조경디자인

건축설계Ⅶ

건축설계Ⅷ

안전설계

건축설계Ⅳ

건축법제도

건축설계Ⅴ

건축설계Ⅵ

건축설계Ⅶ

건축설계Ⅷ

건축재료와 구성방법

디지털 패브리케이션

건축설계Ⅴ

건축재료와 구법

BIM

건축설계Ⅷ

건물시스템 통합설계

건축설계Ⅴ

건축설계Ⅵ

건축설계Ⅶ

BIM

건축설계Ⅷ

건축과 도시설계

단지계획

지속가능한 도시계획

건축설계Ⅵ

건축설계Ⅶ

건축설계Ⅷ

연구기반 종합설계

건축영어

건축설계Ⅸ

건축설계Ⅹ

구조원리

구조역학

구조시스템

구조시스템

구조시스템

구조디자인

환경조절 시스템

환경시스탬

친환경 건축

단지계획

조경디자인

건축설비 시스템

친환경 건축

건축설비

시공 및 건설관리

시공관리학

프로젝트 수행과 건축사사무소 운영

건축실무

건축사법과 건축법 및 관계법령

건축법제도

건축실무


자체평가시스템


단계별 중장기 발전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