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생명정보분석과정

HOME 학사안내나노·마이크로디그리생명정보분석과정

마이크로디그리

생명정보분석과정


과정 개요(소개)

  • 분자생물학적 기초와 응용 능력 개발
  • 빅데이터 분석 및 알고리즘 활용 능력 함양
  • 생명정보 분석을 위한 기초 이론 및 실무 능력 배양
  • 실무중심의 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문제해결 능력 강화
  • 미생물유전체학, 농생명정보학 등 생명정보 핵심 교과목 편성
  • 빅데이터 분석, 컴퓨터알고리즘 등 데이터 처리 관련 교과목 구성
  • 분자생물학 등 생명과학 기초 교과목 포함
  • 이론과 실습을 연계한 통합적 교육과정 운영

과정 편성표(교육과정 편람 참고)

개설
학부·학과·전공
학기 과목코드 교과목명 학점 시간 이수  구분 이수학점
이론 실습

농생명과학전공

1,2

AL2001

식물미생물유전체학

3

3

0

택1

9

농생명과학전공

1,2

AL0857

농생명정보학및실습

3

2

2

택1

인공지능공학전공

1

IC2021

자료구조

3

3

0

택1

인공지능공학전공

2

IC0666

데이터베이스

3

3

0

택1

의생명과학전공

1

BI0610

분자생물학

3

3

0

필수

교과목 개요

교과목명 교과목 개요 비고

식물미생물유전체학

유전물질인 DNA에서 파생된 생물정보를 다루는 

유전체학을 농업과 연관된 다양한 미생물

(바이러스, 세균, 진균, 선충 등)을 통해 연구방법 및 

이론을 습득한다.


농생명정보학및실습

DNA, RNA, 단백질 등 다양한 생물정보를 다루기 위한 

오믹스 기술 및 기초 컴퓨터 분석 능력 함양을 위한 실습을 한다.


자료구조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구조와 이를 처리하는 방법인 배열, 스택, 큐, 리스트, 그래프, 트리 등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응용한 순환, 탐색, 정렬방법을 활용하여 데이터 및 정보의 효과적 처리를 위한 기본적인 알고리즘을 학습한다.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및 구현하는 데 필요한 기본 개념, 데이터 모델의 개념, 데이터 기술 언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설계, 질의어 처리, 트랜잭션, 동시성 제어, 회복 기법 등을 학습한다. 데이터의 모델과 DBMS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SQL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관리, 조작을 실습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능력을 배양한다.


분자생물학

생명정보의 흐름인 DNA복제, RNA전사, 단백질합성과정, 유전자 발현조절현상을 분자수준에서 이해하게 한다.


참여교원

구분 학부·학과·전공 성명 비고

주관학과

농생명전공

김기태

책임교수

참여학과

인공지능공학전공

심춘보

참여교수

참여학과

의생명과학전공

박항수

참여교수

맨위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