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디그리
스마트농생명
개설 학부·학과·전공 | 학기 | 과목코드 | 교과목명 | 학점 | 시간 | 이수 구분 | 이수학점 | |
---|---|---|---|---|---|---|---|---|
이론 | 실습 | |||||||
농생명과학전공 | 1 | SG0651 | 4차산업혁명과 스마트농업 | 3 | 3 | 0 | 최소 택1 | 9 |
농생명과학전공 | 2 | SG0656 | 스마트작물생산 | 3 | 3 | 0 | ||
농생명과학전공 | 2 | SG0657 | 스마트토양양분관리 | 3 | 3 | 0 | ||
인공지능공학전공 | 1 | IC0680 | 머신러닝 | 3 | 3 | 0 | 최소 택1 | |
인공지능공학전공 | 2 | IC0683 | 딥러닝 기초 | 3 | 3 | 0 |
교과목명 | 교과목 개요 | 비고 |
---|---|---|
4차산업혁명과 스마트농업 | 본 과목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4차 산업혁명이 농업에 적용되었을 때 창출되는 무한한 가능성을 이해하는데 목적을 둔다. 4차 산업의 핵심 기술들인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클라우드 등을 소개하고, 이러한 기술들이 기존 농업에 적용되었을 때 창출되는 ‘스마트농업’에 대해서도 학습한다. 학생들은 실제 다양한 예제를 배움으로써 창의적인 생각과 융합기술을 습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가치창출 가능한 도전 능력을 기를 수 있다.. | |
스마트 작물생산 | 스마트 작물생산 교과목은 기초 작물생산은 물론 스마트 작물생산에 대한 개념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위해, 작물생산에 있어 작물육종, 재배생리, 작물재배환경 분야에 4차산업 기술들인 빅데이터와 ICT 기반 기술이 어떻게 활용 가능한지에 대한 관련기술을 이해하여 스마트 농업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 |
스마트 토양양분관리 | 스마트 농업의 핵심인 토양 양분, 수분관리 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토양 수분 및 양분 관리에 필요한 기본 지식과 토양 물리, 화학, 생물학적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조사할 수 있는 첨단 미래기술에 대해 학습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 농업 핵심 전공지식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창의력과 소통능력 배양을 통해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함 | |
머신러닝 | 데이터로부터 지식을 추출하는 머신러닝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서 최근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적절 하게 가공하고, 패턴을 추출하여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는 다양한 활동을 일컫는다. 본 교과목에서는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의 개념과 목적, 특징, 장단점 등에 대한 정성적인 논의를 통해 까다로운 수학의 부담이 없이 머신러닝 기법에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수학을 통한 해설은 최소한으로 하되, 다양한 머신러닝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코딩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이론과 실무를 균형있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 |
딥러닝 기초 | 본 과목에서는 딥러닝 개요부터 시작하여 신경망, 다층 신경망. 합성곱 신경망, 순환 신경망 등 딥러닝 기초를 다룬다., 아울러 다양한 신경망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분류하고 텍스트를 분류하는 과정을 학습하고 창의 융합 응용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창의력 및 융합능력과 소통 능력, 도전 능력을 고양 한다. | |
구분 | 학부·학과·전공 | 성명 | 비고 |
---|---|---|---|
주관학과 | 농생명과학전공 | 정용화 | 책임교수 |
주관학과 | 농생명과학전공 | 박숙영 | 참여교수 |
주관학과 | 농생명과학전공 | 김상윤 | 참여교수 |
참여학과 | 인공지능공학전공 | 신창선 | 참여교수 |
참여학과 | 인공지능공학전공 | 김종호 | 참여교수 |
참여학과 | 인공지능공학전공 | 박철영 | 참여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