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형. (2019). 정보기술 활용의 지속과 발전경로에 대한 결정요인 연구: 지방자치단체의 모바일 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박사학위논문.
김준형. (2013). 공공 스마트폰 앱(app)의 수준 측정 및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연구논문 실적
조세현·정서화·차세영·김준형. (2021). 협력적 혁신을 위한 정책연구자의 활동과 역할: 열린정책랩(Open Policy Lab)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17(4): 65-97. (KCI; 교신저자)
김민영·김준형·이사빈·염지선. (2021). 지속가능한 스마트 시티 운영을 위한 조직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보, 17(4): 65-97. (KCI; 교신저자)
Yoo, J. S., Kim, K. M., & Kim, J. H. (2021). Government reorganization in the ICT Sector: Analysis of multi-level factors from the case of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n Advanced Science, Engineering and Information Technology, 11(3): 1178-1185. (SCOPUS; 교신저자)
Kim, J. H., Cha, S. Y., Cho, S-H., & Lee, J-H. (2020). Government innovation and state/society resilience enhancement after disaster/crisis: Focusing on government innovation cases in the COVID-19 response process. Public Policy Review, 1: 87-108. (비등재지; 제1저자)
Kim, J. H., Youm, J. S., & Kim, M. Y. (2020). Exploring the influential factors of citizen satisfaction with smart city services: A resource-based theory perspective. Public Policy Review, 1: 109-130. (비등재지; 제1저자)
Kim, J. H. & Eom, S. J. (2019). The managerial dimension of open data success: Focusing on the open data initiatives in Korean local governments. Sustainability, 11(23): 6758. (SSCI; 제1저자)
Kim, J. H. & Eom, S-J. (2018).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government data openness: The case of open data initiatives in Korean metropolitan governments.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in Dynamical and Control Systems, 10(S11): 9-21. (SCOPUS; 제1저자)
Eom, S-J., Hwang, H., & Kim, J. H. (2018). Can social media increase government responsiveness? A case study of Seoul, Korea.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5(1): 109-122. (SSCI; 공동저자)
저서 실적
김동욱·김경우·김민천·김성부·김준형·남태우·류효종·성욱준·이영·전삼·정충식. (2021). 스마트 시티의 정책 이슈. 서울: 윤성사.
엄석진·김준형·최낙범·황한찬·정희정·서교리. (2020). 정부의 디지털 혁신. 고양: 문우사.
학회발표 실적
김준형·이사빈·염지선·김민영. (2020). 지속가능한 스마트 시티 운영을 위한 정부혁신 방안 연구: 조직관리 혁신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0. 12. 18. 서울, 한국. (온라인 전행)
이재호·조세현·차세영·김준형. (2020). 재난/위기 이후 국가/사회 회복력 향상을 위한 정부혁신 방안 연구: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의 정부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0. 8. 27. 서울, 한국. (온라인 진행)
Eom, S-J. & Kim, J. H. (2019). The managerial dimension of open data success: Focusing on the open data initiatives in Korean local governments. In the proceedings of Society of Open Innovation and Meijo University 2019. June 28 - July 1, 2019. Nagoya, Japan.
Eom, S-J., Kim, J. H., & Hwang, H. C. (2018). The internal dynamics of South Korean government for industrial policy in the era of economic growth: The transaction cost approach. In the proceedings of the 25th World Congress of Political Science. July 21-25, 2018. Brisbane, Australia.
연구보고서 실적
[고유과제] 김준형·차세영·이재호·강정석. (2021). 공공부문 디지털 수준진단 모델 개발 및 활용방안. 한국행정연구원.
[수탁과제] 이재호·김준형·임태훈·이영환·박광동. (2021). 지방자치단체 데이터자치권 강화 방안. (발주기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수탁과제] 이재호·김준형·신승윤. (2021). AI 등 신기술 국내외 도입 현황 조사·분석. (발주기관: 행정안전부)
[수탁과제] 이재호·최호진·이도석·홍승헌·김준형·정수현·김은주·김민영. (2021). 디지털 국방혁신을 추진하기 위한 국방정보화 조직 설계. (발주기관: 국방부)
[수시과제] 임성근·강정석·이재호·차세영·김준형. (2021). 행정안전부 온-나라 문서 사용 행태 분석. 한국행정연구원. (의뢰기관: 행정안전부)
[고유과제] 김준형·이사빈·염지선·김민영. (2020). 지속가능한 스마트 시티 운영을 위한 정부혁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 박사후연구원 (2022년 3월 ~ 2023년 10월)
학위논문 실적
정부기관 간 협력에 관한 연구: 일자리 이슈에서 조정 기제 작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2.
고도성장기의 산업정책 네트워크 분석: 수출진흥확대회의와 월간경제동향보고회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연구논문 실적
Two heads are better than one even within government bureaucracy: how does an inter-departmental network evolve?.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2025. (단독저자, SCOPUS)
한국 국가의 사회 탐지 제도화, 1945-2016. 행정논총, 62(2), 1-34. 2024. (주저자: KCI)
가상세계에서 공공서비스의 제공 가능성과 평가 방법: 가상현실(VR) 기반 산림 치유 프로그램 사례연구. 한국행정학보, 58(1), 2024. (주저자, KCI)
서비스 중심 디지털플랫폼의 설계 방안: 이사-주거 중심의 통합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6(4), 2023. (교신저자, KCI)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한 정책 미세조정의 가능성: 세종시 공공자전거 어울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32(2), 2023. (주저자, KCI)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한 지능적인 공공 정책 의사결정의 가능성: 증거 기반 시나리오에 기반한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모델링, 한국행정학보, 57(1), 2023. (주저자/교신저자, KCI)
스마트워크와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변화에 대한 이론적 탐색.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25(4), 2022. (주저자, KCI)
전자청원과 온라인 이슈 공중 관계의 형성: 청와대 국민청원에서 심신미약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32(3), 2021. (주저자, KCI)
지방정부에서 전자청원 시스템의 효과성: 서울시 전자청원과 서면 청원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5(3), 2021. (주저자, KCI)
Korea’s Early COVID-19 Response: Findings and Implications,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21, 18(16)(SSCI, JCR Q1), Shin Kue Ryuand Soon Gwan Chung(Correspondence).
문재인정부 자치분권 추진의 주요 내용과 특징: 다양성, 공동체, 그리고 주민주권(2021, 한국거버넌스학회보)
과세자주권 확대방안 연구: 탄력세율제 활용의 한계를 중심으로(2018.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역대정부 지방분권과제와 성과에 대한 평가(2018, 지방행정연구)
정책의 창(Policy Window) 모형을 적용한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개최과정 분석(2014, 한국지방자치학회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