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Eco mover, Glocal SCNU

소개

소개

융합예술학과

"융합예술학과 석·박사 과정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의 융합에 의한 사회적 역할과 지역사회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창작활동 및 연구를 병행할 수 있는 고급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학과소개

  • 인공지능과 디지털 기술로 대변되는 시대는 다양한 문화와 각 예술 분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능동적으로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 예술 인재를 필요로 합니다. 조형예술, 공연예술, 시간예술의 전통적 분야는 물론이고 유튜버, 인플루언서, 팟캐스터와 같이 새로운 환경에 의해 출현한 직업군에서도 입체적 예술 감각과 다양한 아이디어를 연계해 나갈 수 있는 유연한 창작 능력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는 전통적 방식의 심화된 단일 전공의 보수적 가치로부터 탈피하여 각 분야와의 능동적 연계 필요성으로 귀결됩니다. 그러므로 국립순천대학교의 각 전공들은 본질적으로 서로 밀접한 연관 속에 있습니다. 오늘날 AI와 스마트폰으로 상징되는 효율성 높은 다양한 매체의 활용으로 인해 국내외의 직업 환경, 개인의 가치관, 지구촌의 라이프 스타일 등 모든 분야에서 융합에 의한 새로운 창조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융합예술학과는 음악, 문학, 연극, 영화, 미술, 사진, 디자인 등의 전문화된 각 문화·예술 분야의 특징적 역량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특성화된 예술교육으로 융합하여 설계함으로써,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종합적 안목을 가진 융합예술 인재를 양성합니다.

교육목표

  • 융합예술학과는 석·박사 과정의 교육을 통해 미래의 문화산업과 창작활동을 선도적으로 이끌어갈 예술 전문 인력을 육성한다는 목표하에 다양한 분야의 문화·예술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교육하고 있습니다. 시대가 요구하는 융합의 필요성과 보편화의 흐름은 다양한 문화의 특징과 예술적 요소들의 특징을 삶의 양식에 능동적으로 적응시키고 새로운 흐름을 창조적으로 선도할 수 있는 융합형 예술 인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융합예술학과에서는 공연예술, 복식 연구, 사운드 디자인, 영상, 만화, 사진, 문학 등의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팀티칭을 비롯하여 광범위한 이론과 작품제작을 교육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창의적이고 유연한 융합형 예술 인재 교육을 체계화시키기 위하여
    • 첫째, 문화와 예술의 새로운 페러다임이 요구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사고 개발
    • 둘째, 디지털 시대의 공유 문화에 부합하는 진취적인 융합예술관 확립을 통한 능동적 자세 확립
    • 셋째, 문화·예술의 다양한 콘텐츠를 융·복합적으로 통합해 나갈 수 있는 인문학적 지식과 첨단 매체 기술 연구
    • 넷째, 예술·문화·과학의 융합 과정을 통한 작품제작과 논문연구 병행으로 글로벌 마인드의 미래지향적 전문가 양성을 합니다.

진로 및 전망

  • 문화예술전문가, 공연예술가, 게임 오디오 디자이너, 멀티미디어 사운드 디자이너, 디지털 콘텐츠 크리에이터, 오디오 포스트 프로덕션 전문가, 음향 효과(SFX) 디자이너, 영화감독, VFX 아티스트, 애니메이션 제작자, 멀티미디어 설치 아티스트, 독립 다큐멘터리 제작자, 유튜브 콘텐츠 크리에이터, 공간디자인 큐레이터, 전시/무대공간디자인 큐레이터, 도시계획 및 디자인 관리, 융합예술관련 교육 프로그래머, 도시 재생 전문가, 예술기획자, 예술단체, 문화예술기관, 문화교류 관계자, 기업의 문화마케팅 및 문화전략 담당자, 메세나 운영자, 축제 기획자, 비영리문화 단체장, 정부/시청/구청 등 공공기관의 공공환경, 도시디자인 정책 전문가, 도시재생 및 친환경 도시관련 건축가, 지자체 도시 정책자, 건축인테리어 디자이너, 공공디자인 경영자, 학예사, 스토리텔러, 이벤트 관련회사 경영자, 미디어아트 기획자, 엔터테인먼트산업계 기획 전문가, 문화기반 창업 및 마케팅 전문가, 문화프로그램 기획자, 국제문화교류전문가 등의 활동이 가능함.

핵심역량

핵심역량
학과/전공 취업 직무군 필요역량(전공능력) 개설 교과목

융합예술학과

- 예술관련 교사 및 교수
- 학예사
- 온라인 콘텐츠 개발자
- 무대공간 디자이너
- 디자인 정책 전문가
- 공연예술가
- 공무원

이론과 실제

미디어아트

인간과 음향

한국복식사 특론

융복합 표현 능력 개발

음향시스템

디지털 컴퓨팅과 예술

미디어 융복합 예술

융합예술의 이론적 기반 체계화

뉴미디어 이론 연구

글로벌 콘텐츠 연구

논문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