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교수진 소개

HOME 교양교육원 소개교수진 소개
  • IMG_112151.png

    백혜선 (Paik, Hye Sun) 교수

    직급
    부교수
    전공
    국어교육, 독서교육
    이메일
    hs100@scnu.ac.kr
    전화번호
    061)-750-3807
    fax
    061)-750-5084

    학력

    •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학사 (2004)
    • 고려대학교 국어교육학과 석사 (2008)
    • 고려대학교 국어교육학과 박사 (2014)

    주요경력

    • 2020. 03. - 현재 순천대학교 교육혁신본부 교양교육원 부교수
    • 2016. 03. - 2020. 03.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조교수
    • 2014. 03. - 2016. 02.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연구교수
    • 2010. 03. - 2010. 12.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기관평가연구센터 위촉연구원

    연구분야

    • 읽기, 쓰기 교육
    • 국어과 교수학습방법
    • 교사 교육

    주요연구실적

    국내학술지
    • 최건아·백혜선·이수진(2020). 여성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성차별 담화에 대한 사례 연구. 리터러시연구, 11(2), 263-300.
    • 백혜선(2019). 읽기 교육에서 교사 신념에 대한 연구 동향 고찰. 리터러시연구, 10(6), 329-356..
    • 백혜선·김영란(2019). 독서토론 지도를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한 문헌 연구. 한국어문교육, 19, 43-75.
    • 백혜선(2018). 상위인지 읽기 전략의 국어 교과서 수용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 24, 37-63.
    • 백혜선·방상호(2018). 대학생의 쓰기 효능감 양상 연구. 리터러시연구, 9(1), 101-126.
    • 백혜선(2017). 독서 토론 수업에서 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 연구: 중학교 방과 후 독서 토론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독서연구, 43, 157-181.
    • 백혜선·박소희·이규만(2017). 국어 교과서 ‘매체 자료 활용하여 발표하기’ 단원의 매체 및 복합양식성 교육 내용 분석. 청람어문교육, 61, 181-211.
    • 백혜선·류보라(2017). 국어과 예비교사의 교육 실습에서 나타나는 수업 화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7), 679-705.
    • 박혜영·백혜선(2017). 일본의 핵심역량 교육과 국가수준 국어과 평가. 국어교육, 159, 105-135.
    저역서
    • 정희모 외(2020). 글쓰기 교육과 교수 방법. 경진출판.(공저)
    • 노명완 외(2012). 읽기 전략과 읽기 수업(Reading Strategies and Practices: A Compendium). 한우리북스.(공역)
    • 이관규 외(2008). 언어 탐구와 인식(Language exploration and awareness). 박이정.(공역)
  • 이온순 (Lee, On-Soon)

    이온순 (Lee, On-Soon)교수

    직급
    부교수
    전공
    영어학
    이메일
    oslee@scnu.ac.kr
    전화번호
    061)-750-3808
    fax
    061)-750-5084

    학력

    • 가톨릭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문학사 (2002)
    •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영어학 석사 (2005)
    •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언어학 석사 (2011)
    •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언어학 박사 (2014)

    주요경력

    • 동아대학교 기초교양대학 (강의전담) 조교수 (2017-2020)
    • 가톨릭대, 고려대, 건국대, 동국대, 한양대 시간강사 (2014-2017)
    •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Teaching Assistant (2006-2012)

    연구분야

    • 제2언어습득
    • 심리언어학
    • 언어교수법

    주요연구실적

    • Lee, O.-S (2019). Suprasegmental instruction and EFL learners’ listening and speaking. Journal of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25(4), 41-60.
    • Lee, O.-S., Park, J., & Chang, H.J. (2018). A study on high school and college English education program articula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24(4), 149-167.
    • Lee, O.-S. (2018). Implicit statistical learning ability in L1 sentence processing.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n Journal, 26(3), 51-70.
    • Lee, O.-S. (2017). Notetaking strategies use in EFL learners’ listening comprehension and integrated speaking performance. Journal of Linguistic Science, 81, 257-276.
    • Lee, O.-S. (2017). A task effect based explanation for advanced L2 learners’ insensitivity to agreement errors in L2 sentence processing. Journal of Language Science, 24(2), 317-335.
    • Lee, O.-S. (2016). Testing the role of expectation in L2 processing of English RCs. Journal of Korean Linguistics, 41(3), 501-519.
    • Lee, O.-S. (2016). Artificial grammar learning ability predicts L2 processing of English number agreement. Language Research, 52(1), 87-114.
  • 신홍임 (Shin, Hong-Im)교수

    직급
    부교수
    전공
    인지심리
    이메일
    shin7038@scnu.ac.kr
    전화번호
    061)-750-3809
    fax
    061)-750-5084

    학력

    • 서강대학교 독어독문학과 학사 (1995)
    • 독일 Trier 대학교 심리학 석사(Diplom) (2002)
    • 독일 Trier 대학교 심리학 이학박사(Dr.rer.nat) (2005)

    주요경력

    • 2014. 03 - 2020. 07 영남대학교 교육중점 전임교원
    • 2012. 09 - 2013. 02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연구교수
    • 2010. 09 - 2012. 08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BK사업단 연구교수
    • 2006. 12 - 2010. 08 연세대학교 의과학사업단 연구교수

    연구분야

    • 의사결정
    • 마음지각
    • 고정관념/여성
    • 이중언어 처리
    • 유머

    주요연구실적

    국내학술지
    • 신홍임(2023). 선량한 유머를 위한 심리적 거리. 사회과학연구, 34, 3-17.
    • 신홍임(2023). 문화성향, 자기대상화와 성적 객체화된 여성에 대한 암묵적 태도.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8, 51-69.
    • 신홍임(2022). 미니멀리즘, 사회적 가치와 행복의 관계. 감성과학, 25, 21-32.
    • 신홍임(2022). 디지털시대 여성의 몸, 자기대상화와 사회참여.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7, 269-283.
    • 신홍임(2022). 로봇의 주도성에 대한 마음지각과 윤리적 의사결정. 사회과학연구, 33, 179-194.
    • 신홍임(2021). 불쾌한 골짜기: 로봇 속성의 의인화, 마음지각 및 도덕적 처우의 관계. 감성과학, 24, 3-16.
    • 신홍임(2021). 누가 마음을 갖고 있는가? 로봇에 대한 마음지각과 도덕판단. 사회과학연구, 32, 195-213.
    • 신홍임(2021). 나는 순수했다!: 아동기에 대한 자서전적 기억과 친사회적 행동. 감성과학, 24, 73-90.
    • 신홍임(2020). 이 세상에 내 고양이만 있으면: 외로움이 의인화 및 비인간화에 주는 영향. 감성과학, 23, 23-34.
    • 신홍임(2020). 미래시간조망과 친사회적 행동의 동기화. 사회과학연구, 31, 199-216.
    • 신홍임(2019). 자율주행차와 윤리적 의사결정: 누가 사는 것이 더 합당한가? 감성과학, 22, 15-30.
    • 신홍임(2019). 여성의 자기대상화, 자기조절초점 및 사회참여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20, 883-904.
    • 신홍임(2019). 사랑할까, 먹을까?: 동물과 성적 객체화된 여성에 대한 마음지각의 관계. 감성과학, 22, 69-82.
    • 신홍임(2019). 한국 수화의 도상성에 따른 TOF현상. 한국심리학회지: 인지및생물, 31, 81-88.
    • 신홍임(2018). 사회적 관계가 개인의 정보처리와 정서경험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및사회문제, 24, 29-47.
    • 신홍임(2017). 심리적 거리와 의사결정: 집단규범에의 동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31, 103-123.
    국제학술지
    • H. Shin, & J. Kim (2020). My computer is more thoughtful than you: Loneliness, anthropomorphism and dehumanization. Current Psychology,39,445-453.
    • J. Kim, H. Shin, & H. Lee (2020). Broad-minded planning and narrow-minded action. Asia Pacific Journal of Marketing and Logistics, 32, 961-974.
    • H. Shin, & J. Kim (2017). Foreign language effect and psychological distance. Journal of Psycholinguistic Research, 46, 1339-1352.
    • H. Shin, & W. Wippich (2016). The role of the situation model for rereading benefits in Korean-German bilinguals. Journal of Psycholinguistic Research, 45, 1021-1032.
  • 정유남(Cheong, Yunam) 교수

    직급
    조교수
    전공
    글쓰기(문해력)
    이메일
    yncheong@scnu.ac.kr
    전화번호
    061)-750-3806
    fax
    061)-750-5084

    학력

    • 서울여자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문학사 (2004)
    •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문학석사 (2006)
    • 미국 Duquesne University 교육학석사 (2012)
    •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 문학박사 (2016)

    주요경력

    •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HK연구교수 (2021-2024)
    • 고려대, 서울교대, 서울여대, 중앙대 등 시간강사 (2017-2024)
    •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2017)

    연구분야

    • 의미론
    • AI인문학
    • 글쓰기
    • 언어교육

    주요연구실적

    국내학술지
    • 정유남(2023). 생성 AI 활용 비윤리 텍스트 데이터의 의미 해석. 한국어의미학, 82, 179-206.
    • 정유남(2023). 방언 어휘와 AI 교육콘텐츠. 한국어학, 101, 187-213.
    • 정유남·송영숙·유현조(2023). 한국어 중첩 개체명의 말뭉치 구축 연구. 국어학, 105, 309-344.
    • 정유남(2023). 말뭉치 기반 비윤리 문장의 의미 연구: 부사어와 서술어 구성을 중심으로. 한말연구, 64(6), 1-21.
    • 정유남(2022). 인공지능 번역기의 오류 분석 연구: 졸업연설문 번역 텍스트를 중심으로, 인공지능인문학연구, 11, 81-120.
    • 정유남(2022). 의미적 신어의 생성 과정과 사회문화적 의미: 남북한에서 사용되는 ‘긴장’과 ‘갈등’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72, 539-574.
    • 정유남(2021). 자연언어처리를 위한 남북 외래어 고찰: <우리말샘>과 <조선말대사전>을 중심으로. 한국사전학, 37, 125-151.
    저역서
    • 정유남·박혜숙(2024). AI 공감 대화. 커뮤니케이션북스.
    • 정유남 외(2023). 더 나은 AI, 더 나은 삶 1. 마이북하우스.
    • 정유남·이영희(2022). AI 시대의 공부법: 인공지능 시대, AI 리터러시가 답이다. 마이북하우스.
  • IMG_160504.png


    최승윤(Choi, Seongyune) 교수

    직급
    조교수
    전공
    AI융합교육, 컴퓨터교육
    이메일
    yncheong@scnu.ac.kr
    전화번호
    061)-750-5625
    fax
    061)-750-5629

    학력

    • 경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 컴퓨터교육전공 학사 (2016)
    • 경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석사(2019)
    •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박사 (2024)

    주요경력

    • 고려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2024.03 ~ 2025.02)
    • 서율교육대학교, 고려대학교 시간강사 (2024.03 ~ 2025.02)
    • 경기도교육청 교사 (2016.09 ~ 2025.02)

    연구분야

    • AI융합교육
    • AI in education
    • Educational Data Science

    주요연구실적

    국내학술지
    • Choi, S., & Kim, H. (2024). The impact of a large language model-based programming learning environment on students’ motivation and programming ability.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1-30.
    • Jeon, J., Lee, S., & Choi, S. (2024).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on speech-recognition chatbots for language learning: Implications for future directions in the era of large language models.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32(8), 4613-4631..
    • Choi, S., Jang, Y., & Kim, H. (2024).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intention to us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s for learning.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32(8), 4049-4062.
    • Chung, K., Kim, S., Jang, Y., Choi, S., & Kim, H. (2024). Developing an AI literacy diagnostic too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1-32.
    • Lee, U., Park, Y., Kim, Y., Choi, S., & Kim, H. (2024). Monacobert: Monotonic attention based convbert for knowledge tracing.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Tutoring Systems (pp. 107-123). Cham: Springer Nature Switzerland.
    • Choi, S., Jang, Y., & Kim, H. (2023). A deep learning approach to imputation of dynamic pupil size data and prediction of ADHD. International Journal on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32(06), 2350020.
    • Choi, S., Jang, Y., & Kim, H. (2023). Influence of pedagogical beliefs and perceived trust on teachers’ acceptance of educ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39(4), 910-922.
    • Choi, S., Lee, D., Kim, J., Jang, Y., & Kim, H. (2023). Designing LLM-based Code Reviewing Learning Environment for Programm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6(5), 1-11.
    • Jang, Y., Choi, S., Kim, S., & Kim, H. (2023). The SNS-based E-mentoring and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an Online Course.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26(2), 147-164.
    • Jang, Y., Choi, S., Jung, H., & Kim, H. (2022). Practical early prediction of students’ performance using machine learning and eXplainable AI.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27(9), 12855-12889.
    • Jang, Y., Choi, S., Cho, H., & Kim, H. (202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odular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5(5), 1-14.
    • Jang, Y., Choi, S., & Kim, H. (202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undergraduate students’ attitudes toward the eth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T-EAI) and analysis of its difference by gender and experience of AI education.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27(8), 11635-11667.
맨위로 가기